※ 다음 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10점)
1. 다음 기상 전문을 보고 아래의 질문에 답하시오.
(1) 권계면 고도의 노점온도
(2) TTAA에 3번째 줄의 77141, 26139, 43008에서 43008의 해석
(3) 95.7 hPa 면의 기온
(4) 925 hPa 면의 기온
(5) 850 hPa 면의 노점온도
2. 지구온난화 예측을 불확실하게 하는 요인 3가지
3. 대기의 에어로졸(aerosol) 정의 및 입자의 크기에 따른 수농도 분포의 도식화
4. 지표대기층(Boundary layer)에서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잠열과 현열의 비
5. 전선의 형성, 발달, 그리고 쇠약에 영향을 미치는 대기 흐름 중 가장 중요한 운동학적 양
(kinematic quantity)
6. 종관 규모 운동에 동반되는 수평 방향의 풍속이 연직 속력에 비하여 한 자릿수(one
order) 이상의 차이가 나는 원인 및 스케일 분석 관점에서의 비율
7. 중위도 지방 상층 제트류의 강화나 쇠약을 설명하기 위한 운동량 플럭스(momentum
flux)와 온도 플럭스(temperature flux)의 문제점 (단, 제트류의 2차 순환을 고려할 것)
8. 중위도 지방에서 이동성 저기압의 발생을 설명하는 이론
9. 자료 동화 방법론 3가지 종류
10. Geopotential (지위)의 단위
11. 다음 문장의 ( )안에 적절한 용어를 쓰시오.
The Ciausius-Clapeyron equation은 온도에 따라 ( )이(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설명하거나,
압력에 따라 얼음의 ( )이(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설명한다.
12. 중력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구름 A (그림에서 하얀 줄처럼 보이는 구름)의 명칭
13. 다음 위성사진과 같이 열대지방에서 상승한 공기가 중위도 지방(한반도)으로 북상하는 현상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25점)
1. 전선 모의에 있어서 기온의 0차 불연속(기온의 불연속)과 1차 불연속(기온경도의
불연속)을 가정한 각각의 모델에서 전선 부근의 연직기온 분포, 수평바람 분포, 수평
기압 분포를 묘사하시오.
2. 대륙과 해양의 영향을 각각 받는 두 관측 지점에서 나타나는 시간 강수량의 기후학적인
일변동성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3. 태풍의 경우 상층으로 갈수록 저기압성이 약화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4. 아래 그림을 이용하여 CIN(Convective INhibition)을 설명하고, 아침에 관측한 CIN의
크기에 따라 그날의 일기를 예보하는 기준을 설명하시오.
5. 1000 hPa과 700 hPa 사이의 기층에서 수증기 혼합비 w = 10g/kg인 경우 이 기층의
가강수량(precipitable water depth, PW)을 구하고 이를 강우량 깊이(mm)로 변환
하시오.
(단, 중력가속도 g는 10 m/sec 2 , 대기의 수증기 밀도 ρw는 0.001 kg/m 3 ,
6. 성층권에서 오존의 생성과정과 제거(파괴)과정을 화학반응식으로 설명하고, 성층권에
도달한 태양자외선 복사광이 왜 2% 정도만 지표에 도달하는지를 설명하시오.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25점)
1. 한반도의 국지풍인 동해선풍의 정의 및 발달 조건을 설명하시오.
2. 전지구적인 복사균형을 고려하면 지구온난화에 따른 지구 표면 혹은 대류권 하층의
기온 상승은 성층권의 기온 하강으로 귀결된다. 이 현상의 기작(mechanism)을 설명
하시오.
3. 그림에서 ab층은 건조단열 감율보다 기온감율이 작고, cd층은 건조단열감율과 기온감율이
동일하지만, 그림의 correct analysis에서 불안정으로 판정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4. 비오는 날 자동차 창에 서린 김을 제거하기 위해 공기 히터(heater)를 켜기도 하고
에어컨을 켜기도 할 때 다음을 설명하시오.
(1) 두 장치가 자동차 창의 김을 제거하는 원리
(2) 두 장치 중 김제거 효과가 뛰어난 장치 및 그 이유 (단, 한반도의 여름철, 자동차
창문은 닫혔으며 자동차는 주행중임)
5. 한랭전선이 통과할 때 등압선(isobars), 등온선(isotherms), 바람(winds), 그리고 강우역
(rain area)을 그림으로 설명하시오.
6. 기상청은 항공기 등을 이용하여 몇 차례 인공강우 실험을 한 바 있다. 인공강우에서
구름씨를 뿌리는(cloud seeding) 기술은 구름의 특성에 따라 크게 차이가 있으며, 시딩
(seeding) 재료도 다르다. 시딩 대상으로서 온난구름(warm cloud)과 한랭구름(cold
cloud)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그리고 이들 구름에 시딩할 수 있는 재료와 강수과정을
설명하시오.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25점)
1. 사막의 지표면 열수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우리나라에서 벼농사를 위한 논의 물이 강수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다음 그림을 참고하여 적도기단과 열대기단의 생성원인과 특징을 비교하고,
intertropical front가 한국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시오.
4. 하지는 양력으로 6월 22일 경이며 이 날 전후로 하루 정도의 오차가 나는데 비해
음력의 경우 해마다 날짜가 차이가 큰 이유를 설명하시오.
5. 지구온난화 과정에서 여러 가지 기상요소들의 되먹임 현상(feedback)을 고려할 수 있다.
다음 두 가지 요소의 되먹임현상을 설명하시오.
(1) 수증기의 증가
(2) 극지방 ice albedo 감소
6. 역사적인 대기오염 사건으로 1952년 영국의 런던스모그(London smog)와 1968년
미국의 LA스모그(LA smog)를 들 수 있다. 이 두 사건의 특성과 발생 시기의 기상
상태를 설명하시오.
'기출문제 > 기상예보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24회 기상예보기술사 기출문제 (0) | 2025.02.07 |
---|---|
제121회 기상예보기술사 기출문제 (0) | 2025.02.07 |
제118회 기상예보기술사 기출문제 (1) | 2025.02.07 |
제115회 기상예보기술사 기출문제 (0) | 2025.02.07 |
제112회 기상예보기술사 기출문제 (1) | 2025.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