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산림기술사

제135회 산림기술사 기출문제 및 예상답안

information net 2025. 2. 21. 17:20
728x90
반응형
SMALL

 

 

 

 

Temu | Explore the Latest Clothing, Beauty, Home, Jewelry & More

Make Temu your one-stop destination for the latest fashion products, cosmetics & more. Free shipping on items shipped from Temu. Free returns within 90 days. Shop on Temu and start saving.

www.temu.com

 

 

 

 

https://www.credit.co.kr/linkprice/lpfront.jsp?a_id=A100694098&m_id=mycredit1&p_id=289990904QRVuj&l_id=0000&l_cd1=B&l_cd2=1&rd=20&url=https%3A%2F%2Fwww.credit.co.kr&dev_id=&advertising_id=&app_id=&idfa=&dl=&kw=&lpfront_url=https%3A%2F%2Fwww.credit.co.kr%2Flinkprice%2Flpfront.jsp&s=appac

 

www.credit.co.kr

 

 

 

 

※ 총 13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10점)
1. 산림청에서 제시하고 있는 조림사업의 종류와 정의

산림청에서 제시하는 조림사업은 산림을 보다 가치 있는 자원으로 만들기 위해 나무를 심는 활동을 말하며, 다양한 목적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뉩니다. 주요 조림사업의 종류와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경제림 조성
- 양질의 목재를 지속적으로 생산하고 공급하기 위한 산림 조성 사업입니다. 경제림육성단지나 불량림 수종갱신지 등이 대상지로 포함됩니다
 
2. 유휴토지 조림
- 과거에 개간된 다락밭 등 한계농지와 같은 유휴토지에 특용수(약용수)나 유실수(열매를 맺는 나무)를 심는 사업입니다. 이를 통해 토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합니다
 
3. 큰나무 공익조림
- 경관 조성 및 산림의 공익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 큰 나무를 심는 사업입니다. 주요 도로변, 관광지, 생활권 주변 등이 대상지로 선정됩니다
 
4. 산림재난 방지조림
- 산불, 병해충, 태풍 등으로 피해를 입은 산림을 복구하고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조림 사업입니다. 재난 피해지 및 위험지가 주요 대상입니다
 
5. 섬지역 산림가꾸기
- 강한 해풍과 척박한 토양 등 열악한 자연환경으로 훼손된 섬지역 산림을 녹화하는 사업입니다. 도서지역의 산림 훼손지가 주요 대상입니다
 
이러한 조림사업은 국고와 지방비 지원을 통해 이루어지며, 일부는 자부담금이 필요합니다. 또한, 각 사업의 목적에 따라 심는 수종과 비용도 다르게 책정됩니다. 예를 들어, 경제림 조성에는 소나무, 잣나무 등이 사용되며, 섬지역 산림가꾸기에는 큰 나무와 함께 객토 및 유기질 비료 등의 추가 작업이 포함됩니다

 

 

 

산림기술사 필기교재 (푸른잎사귀 원장) - 산림/조경 | 쿠팡

쿠팡에서 산림기술사 필기교재 (푸른잎사귀 원장)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산림/조경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2. 채종원, 채종림, 채종임분

산림청에서 제시하는 채종원, 채종림, 채종임분은 우수한 산림용 종자를 생산하고 공급하기 위한 중요한 시설들입니다. 각각의 정의와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채종원
 
채종원은 유전적으로 우수한 나무들의 집단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우량한 조림용 종자를 지속적으로 생산·공급할 목적으로 조성됩니다
- 수형목의 종자 또는 클론(clone)을 이용해 조성된 임분입니다
- 열등한 유전인자를 지닌 외부 화분오염을 방지합니다
- 대량의 우수한 종자를 쉽게 채취할 수 있도록 운영·관리됩니다
 
채종원은 전국에서 형질이 우수한 수형목을 선발하여 접목, 삽목 등 무성번식 방법으로 묘목을 생산해 조성합니다
 
채종림
 
채종림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 우량 임분입니다:
 
- 채종원산 종자로 조림에 필요한 소요량을 충당할 수 없을 때 부족된 종자수요를 충족시킬 목적으로 지정됩니다.
- 산림청장이 지정한 산림이나 수목을 말합니다
- 채종원 다음으로 우수한 종자를 생산하기 위해 지정된 산림입니다
 
채종임분
 
채종임분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집니다:
 
- 채종원과 채종림에서 조림용 종자 공급량이 부족하다고 판단되거나, 채종원 및 채종림이 지정되지 않은 수종의 종자를 잠정적으로 채취하는 임분입니다
- 채종림 지정요건에는 미달되지만, 형질이 일반적으로 우량한 임분을 말합니다
- 채종림 다음으로 우수한 종자 생산을 위해 지정한 산림입니다
 
이러한 시설들은 산림자원 조성의 기본이 되는 우수한 종자를 확보하고 공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채종원, 채종림, 채종임분의 순서로 종자의 품질과 관리 수준이 높으며, 이를 통해 우리나라 산림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3. 침엽수와 활엽수의 대표적인 산림병해

침엽수와 활엽수는 각각 다양한 산림병해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대표적인 병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침엽수의 주요 병해
 
1. 소나무재선충병
- 소나무, 해송, 잣나무 등 소나무류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병해입니다
- 2024년 기준 전국적으로 약 90만 그루가 감염되었으며, 특히 경북 지역의 피해가 심각합니다
 
2. 잿빛곰팡이병
- 주로 피압된 침엽수의 어린나무에서 발생합니다
- 많은 눈이 수관에 머물 경우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3. 소나무혹병
- 소나무에 발생하는 진균성 질병입니다
 
4. 잣나무털녹병
- 잣나무에 발생하는 녹병의 일종입니다
 
5. 페스탈로치아병
- 어린 침엽수에서 발생하는 병해입니다
 
활엽수의 주요 병해
 
1. 참나무시들음병
- 참나무류에 발생하는 심각한 병해로, 나무를 고사시킬 수 있습니다.
 
2. 버즘나무 갈색점무늬병
- 버즘나무에 발생하는 병해로, 주로 봄에 발생합니다
 
3. 밤나무 줄기마름병
- 밤나무에 발생하여 줄기를 마르게 하는 병해입니다.
 
4. 상록활엽수의 깍지벌레 피해
- 최근 조경수로 각광받는 상록활엽수에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공통적인 병해
 
1. 가지마름병
- 침엽수와 활엽수 모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병해입니다
 
2. 뿌리썩음병
- 다양한 수종에서 발생하며, 주로 토양 관련 문제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러한 병해들은 기후변화, 환경 스트레스, 부적절한 관리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악화될 수 있습니다. 특히 침엽수는 기후변화에 더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장기적인 산림 관리 계획이 필요합니다. 효과적인 병해 관리를 위해서는 예방, 조기 발견, 적절한 처치가 중요하며, 필요에 따라 수종 전환 등의 방법도 고려해야 합니다.


4. 대형산불의 정의와 특성

대형산불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고 특성을 가집니다:
 
정의
대형산불은 산불로 인한 피해면적이 100ha 이상이고, 산불 지속시간이 24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주요 특성
 
1. 발생 시기와 지역
- 주로 3~4월에 강원 동해안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합니다
- 1991년부터 2023년 사이 발생한 대형산불 총 74건 중 36건(약 50%)이 강원 동해안 인근에서 발생했습니다
 
2. 환경적 요인
- 지형, 기상, 연료의 3가지 산불 환경인자가 모두 갖추어진 지역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한 지형적 특성, 건조한 날씨, 양간지풍이라 불리는 강풍이 주요 요인입니다
 
3. 식생 특성
- 소나무 단순림 지역에서 수관화로 쉽게 확산됩니다
- 소나무는 정유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불이 잘 붙고 오래 지속되는 특성이 있습니다
 
4. 확산 속도
- 강풍을 타고 빠르게 확산되며, 불똥(비화)이 최대 2km까지 날아가 새로운 산불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5. 피해 규모
- 대형산불로 인한 피해면적은 전체 산불 피해면적의 상당 부분을 차지합니다. 강원 동해안 지역의 경우 전체 피해면적의 56%를 차지했습니다
 
6. 기후변화와의 연관성
- 기후변화로 인한 평균기온 상승과 강수량 감소는 대형산불 발생 건수와 면적 증가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7. 진화의 어려움
- 넓은 화재 면적, 산악 지형의 특성, 강풍 등으로 인해 진화가 매우 어렵습니다
 
대형산불은 이러한 특성들로 인해 생태학적, 경제적으로 막대한 피해를 초래하며, 효과적인 예방과 대응을 위해서는 첨단 기술과 전략적 자원 배치가 필요합니다
 


5. 「지속가능한 산림자원 관리지침」의 임연부 조성의 대상지와 작업방법

「지속가능한 산림자원 관리지침」에 따른 임연부 조성의 대상지와 작업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상지
 
임연부 조성의 주요 대상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산림과 농경지, 도로, 주거지 등이 접하는 경계 지역
2. 산림 가장자리 지역
3. 벌채구역과 벌채구역 사이의 20미터 이상 폭의 지역
 
작업방법
 
임연부 조성 및 관리를 위한 주요 작업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수림대 조성
- 최소 폭 20미터 이상의 수림대를 설치합니다
- 가능한 한 8부 능선 이상의 기존 임분과 연결되도록 합니다
 
2. 식생 관리
- 다양한 수종으로 구성된 혼효림으로 조성합니다.
-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등 다층구조로 관리합니다.
 
3. 솎아베기
- 임연부 지역의 산불 위험요소 제거를 위해 솎아베기를 실시합니다
- 수관울폐도를 50~80%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4. 가지치기
- 필요에 따라 하층 식생의 생육을 위해 상층 수목의 가지치기를 실시합니다.
 
5. 내화수림대 조성
- 마을, 도로, 농경지 인접 지역 산림에는 내화수림대를 조성합니다
- 침엽수림의 경우, 강도의 솎아베기를 실시하거나 약도의 솎아베기를 수회 반복 실시하여 혼효림으로 유도합니다
 
6. 하층식생 관리
- 임연부의 생태적 기능 향상을 위해 하층식생을 적절히 관리합니다.
 
7. 주기적 관리
- 임연부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인 관리작업을 실시합니다.
 
이러한 임연부 조성 및 관리 작업을 통해 산림의 생태적 기능을 향상시키고, 산불 등의 재해를 예방하며, 경관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예문사 조경기술사 논술 기출문제풀이 - 논술/문학 | 쿠팡

쿠팡에서 예문사 조경기술사 논술 기출문제풀이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논술/문학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6. 「사방사업의 설계·시공 세부기준」의 해안침식방지사업의 기본원칙과 시공기준

「사방사업의 설계·시공 세부기준」에 따른 해안침식방지사업의 기본원칙과 시공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본원칙
 
1. 해안의 침식방지와 경관 보호가 필요한 지역을 우선적으로 선정합니다
 
2. 해안침식지의 복구와 함께 수림대를 조성할 수 있습니다
 
3. 대상지는 국·공유지 및 지번이 부여되지 않은 해안 지역(빈지)을 우선적으로 선정합니다
 
4. 대상지의 고도분포, 기복량, 경사, 수계 등을 고려하여 선정합니다
 
시공기준
 
1. 구조물의 기초는 최대한 깊게 설치하여 침식을 방지합니다
 
2. 구조물의 계획고는 방파제 설치기준에 따른 최고 만조위선을 초과하도록 설치해야 합니다
 
3. 해안의 모래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구조물 전면에 모래포집공을 설치합니다
 
4. 해안사구 조성 시 식생을 활용하여 모래의 이동을 방지합니다. 특히 해안식물, 초본류, 관목 등을 파식하여 모래날림을 방지합니다
 
5. 해안침식 방지를 위한 구조물 설치 시,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설계합니다.
 
6. 해안방재림 조성 시, 내염성이 강한 수종을 선택하여 식재합니다.
 
이러한 기본원칙과 시공기준을 통해 해안침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동시에 해안 생태계와 경관을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7. 「산림조합법」의 임업인의 범위

「산림조합법」에 따른 임업인의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3헥타르 이상의 산림에서 임업을 경영하는 자
 
2. 1년 중 90일 이상 임업에 종사하는 자
 
3. 임업경영을 통한 임산물의 연간 판매액이 120만원 이상인 자
 
4. 「산림조합법」 제18조에 따른 조합원으로서 임업을 경영하는 자
 
추가적으로, 「산림조합법」 제18조에 따른 조합원의 자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구역에 주소 또는 산림이 있는 산림소유자
 
2. 해당 구역에 주소 또는 사업장이 있는 임업인
 
조합원이 될 수 있는 산림소유자의 최소 산림면적은 300제곱미터부터 1천제곱미터까지의 범위에서 정관으로 정합니다
 
또한,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16조제1항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2조제1항제1호에 따라 등록된 산림용 종묘생산업자도 임업인의 범위에 포함됩니다
 
임업인의 범위에는 다음과 같은 경우도 포함됩니다:
 
- 3백제곱미터 이상의 포지를 확보하고 조경수 또는 분재소재를 생산하거나 산채 등 산림부산물을 재배하는 자
- 대추나무 1천제곱미터 이상을 재배하는 자
- 호두나무 1천제곱미터 이상을 재배하는 자
- 밤나무 5천제곱미터 이상을 재배하는 자
- 잣나무 1만제곱미터 이상을 재배하는 자
- 연간 표고자목 20세제곱미터 이상을 재배하는 자
 
 

 

 

 

 

쿠팡이 추천하는 산림기술사 합격 관련 혜택과 특가

쿠팡이 추천하는 산림기술사 합격 특가를 만나보세요. 로켓와우 회원은 다양한 할인과 무료 배송 및 반품 혜택도 누릴 수 있어요.

www.coupang.com

 

 

 


8. 산림정책 이론의 종류 및 예정조화론

산림정책 이론의 종류
 
산림정책 이론은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산림공유론: 산림을 공유물로 규정하고, 모든 사람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론입니다
 
2. 토지국부론: 토지를 잘 이용하면 국민에게 유익하고 국가의 이익이 된다는 사상으로, 토지개발을 통해 국부를 증진시키고자 하는 이론입니다
 
3. 치산치수론: 산을 다스리는 것이 나라의 근본이라는 논리로, 홍수 방지를 위해 상류의 산림을 관리해야 한다는 이론입니다
 
4. 공익우선론: 모든 재산권은 공공복리에 맞도록 행사되어야 한다는 논리로, 보안림제도나 산림계획제도 등이 이 이론에 기반합니다
 
5. 예정조화론: 적당한 목재생산이 산림의 공익성 달성에 유리하다는 이론으로, 경제수종의 식재 및 벌채와 산림 보전을 조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6. 산업적 임업론: 자본주의 경제체제에 맞게 산업으로서의 임업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논리입니다
 
7. 난개발규제론: 국토보전이나 수원함양 등의 공익적 기능을 유지하고 난개발에 의한 산림의 기능 저하를 방지하는 데 목적을 두는 이론입니다
 
8. 수익자부담론: 산림자원을 플러스의 공공재로 보전하는 것을 임업정책의 목표로 삼아야 한다는 이론입니다
 
9. 지속가능 임업론: 산림이 갖고 있는 다양한 편익을 영구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산림을 지속가능하게 경영·관리함으로써 인류사회 복지향상에 기여한다는 새로운 정책이론입니다
 
예정조화론
 
예정조화론은 독일의 철학자 라이프니츠가 주장한 이론으로, 산림정책 이론 중 하나로 언급되기도 하지만, 본래는 형이상학적 개념입니다.
 
1. 기본 개념:
- 라이프니츠는 세계가 '단자(모나드)'라는 독립적인 실체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았습니다
- 이 단자들은 서로 독립적이며 상호간에 어떠한 인과 관계도 가지지 않습니다
 
2. 조화의 원리:
- 각 단자가 서로 분리되고 간섭받지 않지만, 그들 각자의 목적은 대규모의 조화를 이룹니다
- 이 조화는 신에 의해 미리 계획되고 설계되었다고 봅니다
 
3. 산림정책에의 적용:
- 산림정책에서 예정조화론은 적당한 목재생산이 산림의 공익성 달성에 유리하다는 이론으로 해석됩니다
- 경제수종의 식재 및 벌채와 산림이 황폐되지 않도록 조화시키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4. 비판과 의의:
- 예정조화론은 때로 환상적이고 공허한 헛소리의 대명사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 그러나 이러한 환상이 그 자체로 유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분야를 연결하는 하나의 거대한 환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예정조화론은 산림정책에서 경제적 이용과 생태적 보전 사이의 균형을 추구하는 데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현대의 지속가능한 산림관리 개념과도 연결됩니다.


9. 산림경영의 의사결정 요소

산림경영의 의사결정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의사결정 요소
 
1. 생산요소
- 노동: 임업에 투입되는 인력
- 임지: 산림 경영이 이루어지는 토지
- 자본: 산림 경영에 필요한 재정적 자원
 
2. 경영 목적
- 목재 생산
- 비목재 임산물 생산 (버섯, 산채, 약초 등)
- 공익적 기능 (경관, 국토 보안, 수원 함양, 보건 휴양 등)
 
3. 생태적 요소
- 산림 생태계의 건강성 유지
- 생물 다양성 보전
 
4. 경제적 요소
- 수익성 최대화
- 지속가능한 자원 이용
 
5. 사회적 요소
- 지역사회의 요구 반영
- 현세대 및 미래 세대의 편익 고려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복잡한 산림경영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기법이 사용됩니다:
 
1. 최적화 모델
- Tabu Search(TS) 휴리스틱 알고리즘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목표와 조건을 만족시키는 최적화된 경영계획 수립
2. 공간적 요소 고려
- GIS 등을 활용하여 공간적 특성을 반영한 의사결정
 
3. 생태적 고려사항
- 야생조류 서식지 등 생태적 요소를 고려한 의사결정 모델 개발
4. 선형계획법
- 순수익 최대화를 위한 의사결정 시스템에 활용
 
5. 다목적 의사결정
- 목재 생산, 생태계 보전, 휴양 기능 등 다양한 목적을 동시에 고려
 
산림경영의 의사결정은 이러한 다양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하며,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해 생태적, 경제적, 사회적 측면의 균형을 추구해야 합니다.
 


10. 임업노동의 특성과 능률 향상방안

임업노동의 특성과 능률 향상방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드리겠습니다.
 
임업노동의 특성
 
1. 작업 환경의 특수성
- 경사가 심하고 장애물이 많은 산림에서 작업이 이루어집니다
- 넓은 면적에서 작업이 이루어져 작업 감독이 어렵습니다
 
2. 높은 노동 강도
- 임업노동은 전신을 이용하는 중노동으로, 1일 약 4800~5200kcal의 에너지를 소비합니다
- 다른 업종에 비해 에너지 소비량이 많아 체격과 체력이 중요합니다
 
3. 계절성과 불안정성
- 계절에 따라 작업 내용이 달라지며, 일용직 형태의 취업이 많습니다
 
4. 높은 위험성
- 경사지에서의 작업, 무거운 목재 취급 등으로 인해 사고 위험이 높습니다
- 단독 작업이 많아 사고 발생 시 즉각적인 대처가 어렵습니다
 
5. 전문성 요구
- 벌채, 운반 등의 작업에는 별도의 훈련이 필요합니다
 
임업노동 능률 향상방안
 
1. 교육 및 훈련 강화
- 임업 전문 강사를 양성하여 현장 중심의 실질적인 안전교육을 실시합니다
- 계절별 주요 작업에 대한 구체적이고 시의성 있는 교육을 제공합니다
 
2. 임업 기계화 및 스마트화 촉진
-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임업기계와 장비를 개발하고 보급합니다
-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안전장치(예: 생명감지센서가 부착된 안전모) 개발을 추진합니다
 
3. 작업 환경 개선
- 임도를 지속적으로 확충하여 접근성과 응급상황 대처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 안전관리계획서 작성 및 제출을 의무화하여 체계적인 안전관리를 도모합니다
 
4. 노동력 관리 개선
- 임업노동자의 적성검사를 실시하고 정기적으로 자격을 갱신합니다
- 젊은 노동력 유입을 위해 임금 수준을 높이고 복리후생을 개선합니다
 
5.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술 도입
- 고성능 임업기계를 도입하여 노동생산성을 높이고 산업재해를 줄입니다
- 가선집재 방식 등 임업기계장비를 활용하여 예산을 절감하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킵니다
 
이러한 방안들을 통해 임업노동의 특성을 고려하면서 노동 생산성을 높이고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을 것입니다.


11. 홍수위흔적법

홍수위흔적법은 최대 홍수 유량을 산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 홍수 후 현장에서 관찰되는 흔적을 이용하여 홍수위와 유량을 추정하는 기법입니다. 이 방법의 주요 특징과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특징
 
1. 홍수 직후 유로를 조사하여 쓰레기, 표토침식 등의 위치에서 홍수위를 추정합니다
 
2. 실제 홍수 흔적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현실적인 홍수 상황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3. 계측기기가 없거나 홍수 중 직접 측정이 어려운 지역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절차
 
1. 현장 조사: 홍수 후 유로를 따라 홍수 흔적을 조사합니다. 이때 쓰레기 퇴적, 표토 침식, 식생 피해 등의 흔적을 확인합니다
 
2. 홍수위 추정: 확인된 흔적을 바탕으로 최고 홍수위를 추정합니다. 이때 최고 수위 흔적표나 최고 수위계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3. 횡단면 측량: 유로의 횡단면을 측량하여 홍수 시 통수 단면적을 계산합니다
 
4. 유량 계산: 추정된 홍수위와 측량된 횡단면적을 이용하여 Manning 공식 등의 등류공식으로 유량을 계산합니다
 
5. 보정 및 검증: 필요시 다른 방법으로 산정된 유량과 비교하거나, 인근 관측소의 자료를 활용하여 결과를 검증합니다.
 
주의사항
 
1. 홍수위와 유량이 서서히 변화될 때에만 적용해야 합니다
 
2. 적절한 하천구간 선정이 중요하며, 가급적 직선적인 선형을 가지고 통수단면의 변화가 작은 구간을 선택해야 합니다
 
3. 홍수흔적이 남은 직선구간이 없을 경우, 확대부보다는 축소부가 좋으며, 최소 3개 이상의 횡단면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홍수위흔적법은 실제 홍수 사상을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정확한 흔적 판별과 적절한 구간 선정이 결과의 신뢰성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주의 깊게 적용해야 합니다.
 


12. 「산림관리기반시설의 설계 및 시설기준」의 간선임도·지선임도의 시설기준에 따른 옆도랑, 배수구의 설치

「산림관리기반시설의 설계 및 시설기준」에 따른 간선임도·지선임도의 옆도랑과 배수구 설치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옆도랑 설치
 
1. 깊이: 옆도랑의 깊이는 30cm 내외로 설치합니다.
 
2. L자형 설치:
- 암석이 집단적으로 분포된 구간
- 능선부분과 절토사면의 길이가 길어지는 구간
- L자형 상부지점에는 배수시설을 설치해야 합니다.
 
3. 동물 이동: 옆도랑은 동물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설치해야 합니다.
 
4. 유수 완화: 종단기울기가 급한 구간에서는 중간에 유수를 완화하는 시설을 설치합니다.
 
5. 외향경사 적용:
- 성토면이 안정되고 종단경사가 5% 미만인 경우, 옆도랑을 파지 않고 3~5% 내외로 외향경사를 줄 수 있습니다.
- 이 경우 30m 내외 간격으로 노출형 횡단수로를 비스듬히 설치합니다.
 
배수구 설치
 
1. 통수단면: 최대홍수유출량의 1.2배 이상으로 설계·설치합니다.
 
2. 간격과 지름:
- 기본적으로 100m 내외 간격으로 설치합니다.
- 지름은 1,000mm 이상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시 800mm 이상으로 설치 가능합니다.
 
3. 재질: 공인시험기관에서 외압강도가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 이상으로 인정된 제품을 사용합니다.
 
4. 집수통 및 날개벽: 콘크리트·조립식 주철맨홀 등으로 시공하며, 현지 석재 활용이 용이할 경우 석축쌓기로 설계 가능합니다.
 
5. 도수로·물받이: 유출구로부터 원지반까지 설치합니다.
 
6. 동물 이동: 배수구도 동물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설치해야 합니다.
 
7. 노출형 횡단수로: 종단기울기가 급하고 긴 구간에는 노면 유수를 차단하기 위해 노출형 횡단수로를 많이 설치합니다.
 
8. 유입방지시설: 나뭇가지나 토석 등으로 배수구가 막힐 우려가 있는 지형에는 유입구에 유입방지시설을 설치합니다.
 
이러한 기준들은 임도의 안정성과 기능성을 확보하고, 환경과 야생동물을 고려한 설계를 위한 것입니다.

 

 

 

 

쿠팡이 추천하는 6개월집중 산림기술사 관련 혜택과 특가

쿠팡이 추천하는 6개월집중 산림기술사 특가를 만나보세요. 로켓와우 회원은 다양한 할인과 무료 배송 및 반품 혜택도 누릴 수 있어요.

www.coupang.com

 

 

 


13. 「산지관리법」의 산지전용의 정의

「산지관리법」에 따르면, "산지전용"이란 산지를 다음의 용도 외로 사용하거나 이를 위하여 산지의 형질을 변경하는 것을 말합니다:
 
1. 조림, 숲 가꾸기, 입목의 벌채·굴취
2. 토석 등 임산물의 채취
3. 산지일시사용
 
즉, 산지전용은 산지를 본래의 산림 관련 용도가 아닌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거나, 그러한 사용을 위해 산지의 형태를 변경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구체적으로, 산지를 택지, 공장, 관광휴양시설 등으로 사용하거나 이를 위해 산지의 형질을 변경하는 것이 산지전용에 해당합니다. 이는 산지의 기능을 근본적으로 변경하는 행위로, 법적 규제의 대상이 됩니다.
 
산지전용을 하려는 경우, 그 용도를 정하여 산지의 종류 및 면적 등의 구분에 따라 산림청장, 시·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이는 무분별한 산지 훼손을 방지하고 산림자원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https://www.99flower.co.kr/linkprice/gateway/index.php?lpinfo=A100694098%7C289990904QRVw0%7C0000%7CB%7C1&url=http%3A%2F%2Flink.99flower.co.kr

 

www.99flower.co.kr

 

 

 

 

JEJUPASS-LPINFO

 

www.jejupass.com

 

 

※ 총 6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25점)
1. 수형목의 정의와 선발요령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수형목의 정의와 선발요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수형목의 정의
 
수형목(plus tree)은 채종원 및 채수포의 조성에 필요한 접수와 삽수 등을 채취하기 위해 지정된 우수한 형질의 나무를 말합니다. 즉, 주위의 나무에 비해 생장이 좋고, 수간이 곧으며, 가지 발달이 적고 자연낙지성이 크며, 병해충 피해가 적은 외형상 우량한 나무를 의미합니다
 
수형목 선발요령
 
1. 선발 대상
- 임상의 둘레나 도로변의 나무, 고립목은 제외합니다
- 침엽수의 경우 20년생 이상, 활엽수의 경우 10년생 이상의 나무를 대상으로 합니다
 
2. 선발 밀도
- 침엽수 인공림: 1만제곱미터당 3본 이상 선발하지 않습니다
- 활엽수 인공림: 1만제곱미터당 3본 이상 선발하지 않습니다
- 천연림: 1만제곱미터당 1-2본 이상 선발하지 않습니다
 
3. 생장 기준
- 주위 정상목 10본의 평균보다 수고 5%, 직경 20% 이상 클 것
- 형질이 뛰어날 경우, 평균 이상의 생장만 보여도 선발 가능합니다
 
4. 형질 기준
- 수간이 완만하고 굽거나 비틀어지지 않아야 합니다
- 수관이 좁고 가지가 가늘며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아야 합니다
- 지하고가 높고 자연낙지성이 큰 것을 선발합니다
 
5. 건강성
- 심한 병충해에 걸리지 않은 나무를 선발합니다
 
6. 종자 생산
- 상당량의 종자가 달릴 수 있는 나무를 선택합니다
 
이러한 선발요령을 통해 우수한 유전형질을 가진 수형목을 선발하여 채종원 조성 및 우량 종자 생산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쿠팡이 추천하는 2025년 최신 산림기술사 관련 혜택과 특가

쿠팡이 추천하는 2025년 최신 산림기술사 특가를 만나보세요. 로켓와우 회원은 다양한 할인과 무료 배송 및 반품 혜택도 누릴 수 있어요.

www.coupang.com

 

 


2. 산벌작업의 정의와 대면적 작업 시 장단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산벌작업의 정의와 대면적 작업 시 장단점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산벌작업의 정의
 
산벌작업(selection cutting)은 임분 내에서 일정한 기준에 따라 개별 나무를 선택하여 벌채하는 작업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주로 불균일 영급의 산림이나 혼효림에서 적용되며, 임분의 구조와 수종 구성을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목재를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대면적 산벌작업의 장점
 
1. 생태계 보전:
- 산림의 수직구조를 유지하여 생물다양성 보전에 유리합니다.
- 야생동물의 서식지를 보호하고 생태계 기능을 유지합니다.
 
2. 경관 유지:
- 산림의 전체적인 경관을 크게 훼손하지 않아 미관상 유리합니다.
 
3. 토양 보호:
- 벌채 후에도 임분이 유지되어 토양 침식을 방지합니다.
 
4. 지속적인 목재 생산:
- 정기적으로 성숙목을 벌채하여 지속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5. 천연갱신 촉진:
- 임내 광환경 개선으로 천연갱신이 촉진됩니다.
 
6. 임분 구조 개선:
- 열악한 개체를 제거하여 임분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대면적 산벌작업의 단점
 
1. 작업의 복잡성:
- 개별 나무를 선택하여 벌채하므로 작업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됩니다.
 
2. 고비용:
- 작업의 복잡성으로 인해 비용이 증가합니다.
 
3. 숙련된 인력 필요:
- 적절한 나무 선택과 벌채를 위해 고도로 숙련된 작업자가 필요합니다.
 
4. 잔존목 피해 위험:
- 벌채 과정에서 주변 나무들이 손상될 위험이 있습니다.
 
5. 광환경 변화 제한:
- 임내 광환경 개선 효과가 제한적이어서 음수의 갱신에 불리할 수 있습니다.
 
6. 병해충 관리 어려움:
- 다양한 연령대의 나무가 혼재하여 병해충 관리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7. 작업 효율성 저하:
- 개별 나무 단위의 작업으로 인해 대규모 기계화가 어렵습니다.
 
산벌작업은 생태적 가치를 유지하면서 지속적인 목재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지만, 작업의 복잡성과 비용 증가 등의 단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산림의 특성과 관리 목적에 따라 적절한 작업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
 

 

 
3. 「산림문화ㆍ휴양에 관한 법률」의 자연휴양림시설의 종류 및 설치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산림문화ㆍ휴양에 관한 법률」에 따른 자연휴양림시설의 종류 및 설치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연휴양림시설의 종류
 
1. 숙박시설
- 산림휴양관
- 숲속의 집
- 야영장
 
2. 편익시설
- 주차장
- 화장실
- 취사장
- 샤워장
 
3. 위생시설
- 오수처리시설
- 쓰레기처리장
 
4. 교육시설
- 산림박물관
- 자연학습장
- 숲속교실
 
5. 체험ㆍ운동시설
- 등산로
- 산책로
- 체육시설
- 산림욕장
 
6. 전시시설
- 수목원
- 산림동물원
 
7. 안전시설
- 안전펜스
- 대피소
 
설치기준
 
1. 시설 설치에 따른 산림형질변경 면적(산책로 등 제외)은 10ha 이하가 되도록 합니다.
 
2. 숙박시설은 자연휴양림 전체 면적의 1% 이하로 설치합니다.
 
3. 시설물은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설계하며, 가급적 목재를 사용합니다.
 
4. 산림 훼손을 최소화하고 자연친화적인 방식으로 시설을 설치합니다.
 
5. 장애인, 노약자 등 모든 이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합니다.
 
6.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시설을 적절히 배치합니다.
 
7. 산불 등 재해 발생 시 대피할 수 있는 안전시설을 설치합니다.
 
이러한 기준을 통해 자연휴양림은 산림의 지속가능한 이용과 국민의 휴양 수요를 동시에 충족시키는 공간으로 조성됩니다.
 

 

 

 

 

 

쿠팡이 추천하는 합격보장 산림기술사 관련 혜택과 특가

쿠팡이 추천하는 합격보장 산림기술사 특가를 만나보세요. 로켓와우 회원은 다양한 할인과 무료 배송 및 반품 혜택도 누릴 수 있어요.

www.coupang.com

 

 

 


4. 동령림과 이령림 경영에서 요구되는 결정인자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동령림과 이령림 경영에서 요구되는 결정인자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동령림 경영의 결정인자
 
1. 벌기령: 동령림에서는 임분 전체가 같은 나이이므로, 벌기령이 주요 결정인자입니다.
 
2. 임분구조: 동령림의 단순한 구조를 고려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3. 수확간벌: 생장촉진과 임분구조 개선을 위한 간벌 계획이 중요합니다.
 
4. 갱신수종: 벌채 후 조림할 수종의 선택이 중요한 결정인자입니다.
 
이령림 경영의 결정인자
 
1. 회귀년: 이령림에서는 벌채와 갱신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므로 회귀년이 중요한 결정인자입니다.
 
2. 임분구조: 다양한 연령대의 나무로 구성된 복잡한 구조를 고려해야 합니다.
 
3. 잔존임목축적수준: 벌채 후 남겨둘 임목의 양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지속가능성 과정: 지속적인 생산을 위한 관리 과정이 필요합니다.
 
공통 결정인자
 
1. 임분구조: 동령림과 이령림 모두 임분구조를 고려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2. 수확간벌: 두 경영 방식 모두 적절한 간벌 계획이 중요합니다.
 
3. 잔존임목축적수준: 벌채 후 남길 임목의 양을 결정하는 것은 두 경영 방식에서 모두 중요합니다.
 
이러한 결정인자들을 고려하여 각 경영 방식에 맞는 적절한 산림관리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5. 산사태복구에 사용되는 정지작업의 공종 종류와 각각의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산사태복구에 사용되는 정지작업의 주요 공종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단끊기
- 수평으로 실시하며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시공해 내려갑니다.
- 단의 너비는 50~70cm 내외로 합니다.
- 단의 수직높이는 0.6~3.4m 내외로 하되 조정 가능합니다.
- 절취토사의 이동은 최소화합니다.
- 상부 첫 단의 수직 높이는 1m 내외로 합니다.
 
2. 흙막이
- 재료로는 돌, 통나무, 바자, 떼, 돌망태, 블록, 콘크리트, 앵글, 크리브망 등을 사용합니다.
- 설치방향은 원칙적으로 산비탈을 향하여 직각이 되도록 합니다.
 
3. 물고랑
- 수분이 부족한 산복 등에 등고선을 따라 물고랑을 파서 시공합니다.
- 토양침식을 방지하고 토사 건조방지 기능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4. 단쌓기
- 떼단쌓기: 경사 25° 이상인 급경사지에 적용하며, 높이와 너비는 30cm 내외로 합니다.
- 돌단쌓기: 비탈면을 1:0.3으로 하고 높이는 1m 내외로 합니다.
- 혼합쌓기: 떼와 돌을 혼합하여 쌓습니다.
- 마대쌓기: 떼 운반이 어려운 지역에 실시합니다.
 


6. 임도의 종단선형에서 설치하는 종단곡선과 시거에 대하여 그림을 그리고 설명하시오.

임도의 종단선형에서 종단곡선과 시거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주행을 위해 중요한 요소입니다. 종단곡선과 시거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종단곡선
 
종단곡선은 서로 다른 종단 경사가 접속되는 구간에 설치하는 곡선으로, 운동량 변화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고 정지시거를 확보하는 역할을 합니다. 종단곡선은 볼록형과 오목형으로 구분됩니다.

   
 
시거
 
시거는 운전자가 전방의 장애물을 인지하고 안전하게 정지할 수 있는 거리를 말합니다. 종단곡선 설계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소입니다.
 
볼록형 종단곡선에서의 시거

 

 
 
볼록형 종단곡선에서는 곡선의 정점이 시거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충분한 곡선 반경을 확보하여 정지시거를 보장해야 합니다.
 
오목형 종단곡선에서의 시거

 
  
오목형 종단곡선에서는 주간에는 시거 확보가 용이하지만, 야간에는 전조등 빛의 도달 거리를 고려하여 설계해야 합니다.
 
종단곡선의 설계 시에는 설계속도에 따른 적절한 종단곡선 변화비율을 적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설계속도 40km/h인 경우 볼록곡선은 5m/%, 오목곡선은 7m/%의 변화비율 이상으로 설계해야 합니다
 
이러한 종단곡선과 시거의 적절한 설계를 통해 임도에서의 안전한 주행과 효율적인 운영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Sites-crocs_kr-Site

 

www.crocs.co.kr

 

 

 

 

Agoda Official Site | Free Cancellation & Booking Deals | Over 2 Million Hotels

Book your perfect holiday with Agoda and enjoy our great discounts on hotels, homes, flights and activities. Get the Agoda app!

www.agoda.com

 

 

※ 총 6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25점)
1.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정의와 지정 구분 및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정의, 지정 구분 및 내용
 
1. 정의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은 산림 내 식물의 유전자, 종, 또는 산림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해 보호와 관리가 필요한 산림을 의미합니다. 이는 「산림보호법」에 따라 지정되며, 자생식물이 집단적으로 분포하거나 생태적 가치가 높은 지역을 대상으로 합니다
 
 
2. 지정 구분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은 다음과 같은 7가지 유형으로 구분됩니다:

 
 
3. 지정 내용
- 대상 면적: 자생식물이 집단적으로 분포된 5,000㎡ 이상의 지역을 대상으로 하며, 필요 시 유역 전체를 포함하여 지정할 수 있습니다.
- 관리 주체: 시·도지사 또는 지방산림청장이 지정 및 관리합니다
- 목적:
- 생물다양성 보전
- 멸종위기 및 희귀식물 보호
- 산림생태계의 건강한 유지와 복원
- 현황 (2024년 기준):
- 지방자치단체와 지방산림청에서 각각 여러 개소를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총 면적은 수백만㎡에 달합니다
 
 
 
4. 의의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은 우리나라 고유의 산림 생태계와 유전자원을 체계적으로 보전하기 위한 제도로, 생물다양성 증진과 환경보전에 기여하며 지속가능한 산림 관리를 위한 기반을 제공합니다.
 


2. 산불예방 숲가꾸기 대상지를 선정하는 의사결정 흐름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산불예방 숲가꾸기 대상지를 선정하는 의사결정 흐름도는 산불 위험을 줄이고 산림의 건강성을 유지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이루어집니다. 주요 단계와 관련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의사결정 흐름도 주요 단계
 
① 대상지 선정
- 우선순위 지역 선정:
- 산불 발생 위험이 높은 지역(예: 생활권 주변, 보호대상 시설물 인근).
- 산불 취약 지역(강풍 지역, 건조 지역 등).
- 기존 자료 분석:
- 산불 발생 이력, 산림 유형, 기후 조건 등을 고려하여 대상지를 선정합니다.
 
② 현장 조사
- 산림 상태 평가:
- 임목 밀도, 수종 구성, 하층식생 상태를 조사합니다.
- 지형 및 환경 조건 확인:
- 경사도, 접근성, 토양 상태 등을 파악합니다.
- 위험 요소 분석:
- 산불 확산 가능성이 높은 요인(건조한 낙엽층, 연료량 등)을 분석합니다.
 
③ 작업 계획 수립
- 우선 작업 구역 설정:
-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작업의 우선순위를 정합니다.
- 작업 방법 결정:
- 간벌, 가지치기, 덩굴 제거 등 구체적인 작업 내용을 결정합니다.
- 작업 규모 및 자원 투입 계획:
- 작업 면적과 필요한 인력·장비를 계획합니다.
 
④ 실행 및 모니터링
- 작업 시행:
- 계획에 따라 숲가꾸기 작업을 수행합니다.
- 효과 모니터링:
- 작업 후 산불 위험 감소 효과와 생태적 변화를 관찰하고 기록합니다.
 
 
 
2. 주요 의사결정 기준
 
1. 산불 발생 가능성
- 과거 산불 발생 빈도와 규모.
- 기후 조건(건조한 계절, 강풍 지역 등).
 
2. 산림 구조
- 임목 밀도가 지나치게 높아 산불 확산 가능성이 높은 지역.
- 하층식생이 과도하게 발달한 지역.
 
3. 사회적 영향
- 생활권 및 주요 시설물 인근의 보호 필요성.
- 관광지나 경관 보호가 필요한 지역.
 
4. 경제적 효율성
- 작업의 접근성과 비용 대비 효과.
 
 
 
3. 의사결정 흐름도의 시각적 표현

 
 
4. 의의
이 흐름도를 통해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식으로 산불예방 숲가꾸기 대상지를 선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산불 위험을 줄이고 산림의 건강성과 공익 기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쿠팡이 추천하는 합격의 정석 산림기술사 관련 혜택과 특가

쿠팡이 추천하는 합격의 정석 산림기술사 특가를 만나보세요. 로켓와우 회원은 다양한 할인과 무료 배송 및 반품 혜택도 누릴 수 있어요.

www.coupang.com

 


3. 산림경영계획 작성 시 산림구획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산림경영계획 작성 시 산림구획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구획 순서
- 경영계획구 → 임반 → 소반 순으로 세분하여 구획합니다
 
2. 임반 구획
- 가능한 100ha 내외로 구획합니다
- 능선, 하천 등 자연경계나 도로 등 고정시설을 따라 구획합니다
- 산림경영계획구 유역 하류에서 시계방향으로 연속되게 아라비아숫자로 표기합니다
 
3. 소반 구획
- 1ha 이상으로 구획하되, 부득이한 경우 소수점 한자리까지 기록합니다
- 지형지물 또는 유역경계를 달리하거나 시업상 취급을 다르게 할 구역은 소반을 달리 구획합니다
- 유역하류에서 시계방향으로 1-1-1, 1-1-2, ... 연속되게 표기합니다
 
4. 보조소반 구획
- 소반 내에서 이용형태, 수종그룹, 계획상 계획기간 동안 달리 취급할 필요가 있는 경우 보조소반을 편성합니다
- 보조소반의 경우 1-1-1-1(1임반, 1보조임반, 1소반, 1보조소반) 등으로 표기합니다
 
5. 구획 기준
- 지종, 임종, 임상, 작업종이 상이할 때
- 임령, 지위, 지리 또는 운반계통이 상이할 때
- 기능(수원함양림, 산지재해방지림, 자연환경보전림, 목재생산림, 산림휴양림, 생활환경보전림)이 상이할 때
 
이러한 구획 방법을 통해 산림경영이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합니다
 


4. 우리나라 임업경영 특성 중 임업의 기술적 특성과 경제적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우리나라 임업경영의 기술적 특성과 경제적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술적 특성
 
1. 장기성:
- 임목 생산에는 수십 년의 긴 시간이 소요됩니다.
- 투자와 수확 사이의 기간이 매우 길어 세대를 뛰어넘는 경영이 필요합니다.
 
2. 대규모성:
- 임업은 넓은 면적의 산림을 대상으로 하는 대규모 경영에 적합합니다.
- 효율적인 경영을 위해서는 일정 규모 이상의 산림면적이 필요합니다.
 
3. 자연의존성:
- 기후, 토양 등 자연조건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 산불, 병해충 등 자연재해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4. 노동집약성:
- 산림작업의 특성상 기계화가 어려워 많은 노동력이 필요합니다.
- 작업 환경이 열악하여 숙련된 노동력 확보가 중요합니다.
 
경제적 특성
 
1. 저수익성:
- 장기간의 투자에 비해 수익성이 낮은 편입니다
- 2022년 기준 임업소득은 177만 9,000원으로 전체 임가 소득의 32% 정도에 불과합니다
 
2. 공익성:
- 목재 생산 외에도 수원함양, 대기정화 등 공익적 기능이 중요합니다.
- 이로 인해 국가나 공공단체에 의한 공기업 형태의 경영이 많습니다
 
3. 자본집약성:
- 임업은 노작경제보다는 자본경제로 성립하며, 대규모 투자가 필요합니다
- 개인보다는 국가, 공공단체, 대자본가에 의한 경영이 유리한 경우가 많습니다.
 
4. 운반비용의 중요성:
- 임산물은 중량에 비해 가격이 낮아 운반비용이 수익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5. 국제경쟁력 약화:
- 국내 임업은 국제 경쟁력이 약해 수출은 물론 국내 시장에서도 우위를 점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러한 특성들로 인해 우리나라 임업은 경영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는 임업직불금 제도 도입 등 다양한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5. 임도시공에 적용하는 비탈면안정공법에서 옹벽의 형식과 각각의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임도 시공에서 비탈면 안정화를 위해 사용되는 옹벽 공법은 다양한 형식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특징과 용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중력식 옹벽
- 정의: 옹벽 자체의 중량으로 토압에 저항하는 구조.
- 특징:
- 단순한 구조로 설계와 시공이 용이.
- 재료로 콘크리트, 돌 등이 사용되며, 대규모 절토사면에 적합.
- 높은 안정성을 제공하지만, 재료비와 시공비가 비교적 높음.
- 적용 사례: 비교적 낮은 절토사면이나 토압이 크지 않은 지역.
   
2. 부벽식 옹벽
- 정의: 벽체 뒷면에 부벽(버팀벽)을 설치하여 토압을 분산시키는 구조.
- 특징:
- 벽체 두께를 줄일 수 있어 경제적.
- 토압이 큰 지역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 가능.
- 부벽 설치로 인해 추가적인 공간이 필요함.
- 적용 사례: 고토압 지역이나 공간 제약이 없는 곳.
   
3. 캔틸레버식 옹벽
- 정의: 기초와 벽체가 일체화된 구조로, 벽체 하부의 캔틸레버(돌출된 구조)가 토압을 지탱.
- 특징:
-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하며, 재료 절감 효과가 있음.
- 정교한 설계와 시공이 요구됨.
- 기초가 약한 지반에서는 적용이 어려움.
- 적용 사례: 중간 높이의 절토사면.
   
4. 계단식 옹벽
- 정의: 옹벽을 계단 형태로 설치하여 토압을 단계적으로 분산시키는 구조.
- 특징:
- 경관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제공.
- 토압 분산 효과가 뛰어나며, 높은 절토사면에 적합.
- 시공비용이 상대적으로 높음.
- 적용 사례: 경관 보호가 중요한 지역이나 고토압 지역.
   
5. 기대기 옹벽
- 정의: 옹벽을 사면에 기대어 설치하여 토압을 지지하는 방식.
- 특징:
- 간단한 구조로 시공이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함.
- 안정성이 다소 낮아 추가 보강(앵커 등)이 필요할 수 있음.
- 적용 사례: 낮은 절토사면이나 임시 구조물.
   
6. 보강토 옹벽
- 정의: 흙 속에 보강재(지오그리드 등)를 삽입하여 흙 자체를 보강하고, 전면부를 블록 등으로 마감하는 방식.
- 특징:
- 경제적이며 시공 속도가 빠름.
- 다양한 지형에 적용 가능하며, 환경친화적 설계가 가능함.
- 전면부 마감재 선택에 따라 경관성을 높일 수 있음.
- 적용 사례: 장기적인 안정성이 요구되는 지역.
   
7. 앵커 옹벽
- 정의: 벽체와 지반을 앵커로 연결하여 토압을 견디는 방식.
- 특징:
- 높은 안정성을 제공하며, 고토압 지역에서도 사용 가능.
- 앵커 설치로 인해 설계와 시공이 복잡하고 비용이 높음.
- 적용 사례: 고절토 사면, 쐐기 활동 위험 지역.
   


 
결론
옹벽 공법은 비탈면의 안정화와 산사태 방지를 위해 필수적인 기술입니다. 각 형식은 현장의 지형 조건, 토압 크기, 예산 및 경관 요구사항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해야 합니다.
 


6. 임목수확장비 중에서 ‘하베스터’와 ‘프로세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하베스터와 프로세서는 임목수확작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고성능 임업기계입니다. 두 장비의 주요 특징과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하베스터 (Harvester)
 
- 정의: 하베스터는 벌도, 가지자르기, 조재목 마름질, 통나무자르기 등의 작업을 하나의 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다공정 임목생산기계입니다
 
- 주요 기능:
1. 벌도: 입목을 벌도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2. 가지제거: 벌도된 나무의 가지를 제거합니다.
3. 조재: 원하는 길이로 나무를 절단합니다.
 
- 구조: 굴삭기나 하베스터 전용 베이스머신의 크레인 붐 끝에 하베스터 헤드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 작업 시스템: 주로 포워더와 함께 사용되어 하베스터형 임목수확작업시스템을 구성합니다
 
프로세서 (Processor)
 
- 정의: 프로세서는 이미 벌도된 전목의 가지를 제거하고, 재장을 측정하며, 통나무를 자르는 등의 조재작업을 한 공정으로 수행하는 장비입니다
 
- 주요 기능:
1. 가지제거: 벌도된 전목의 가지를 제거합니다.
2. 조재: 원하는 길이로 나무를 절단합니다.
3. 재장 측정: 목재의 길이를 측정합니다.
 
- 구조: 그래플장치, 가지를 자르는 장치, 수간을 밀어내는 송재장치, 절단장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하베스터와 프로세서의 주요 차이점
 
1. 벌도 기능: 하베스터는 입목을 벌도할 수 있지만, 프로세서는 이미 벌도된 나무만을 처리합니다
 
2. 작업 범위: 하베스터는 벌도부터 조재까지 모든 과정을 수행하지만, 프로세서는 조재작업만 수행합니다
 
3. 작업 시스템: 하베스터는 주로 포워더와 함께 사용되는 반면, 프로세서는 타워야더형 임목수확작업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이러한 고성능 임업기계의 도입으로 임목수확작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작업자의 안전성도 개선되었습니다.
 

 

 

 

쿠팡이 추천하는 산림기능사 관련 혜택과 특가

쿠팡이 추천하는 산림기능사 특가를 만나보세요. 로켓와우 회원은 다양한 할인과 무료 배송 및 반품 혜택도 누릴 수 있어요.

www.coupang.com

 

 

※ 총 6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25점)
1. 생물다양성 협약의 정의와 나고야의정서의 주요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생물다양성 협약(CBD)의 정의
 
생물다양성 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은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고, 생물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과 유전자원의 이용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익을 공정하고 공평하게 분배하기 위해 1992년 리우 지구정상회의에서 채택된 국제 협약입니다
생물다양성은 생태계, 종, 유전자 수준에서의 다양성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인류의 식량, 의약품, 대기 및 수질 조절 등 건강한 환경 유지에 기여합니다
 
 
나고야 의정서의 주요 내용
 
나고야 의정서는 생물다양성 협약의 부속 의정서로,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ABS: Access and Benefit-Sharing)를 규율하기 위해 2010년 제10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COP10)에서 채택되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유전자원 접근(Access)
- 유전자원을 이용하려는 자는 자원 제공국의 사전통고승인(PIC: Prior Informed Consent)을 받아야 합니다.
- 자원 제공국의 법적 절차를 준수하여 접근 및 취득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2. 이익공유(Benefit-Sharing)
- 유전자원 이용으로 발생하는 경제적·비경제적 이익을 자원 제공국과 공정하고 공평하게 공유해야 합니다.
- 이익공유는 상호합의조건(MAT: Mutually Agreed Terms)에 따라 계약 형태로 이루어집니다.
- 이익에는 로열티, 기술이전, 공동 연구개발 등이 포함됩니다
 
3. 이행 준수(Compliance)
- 각국은 나고야 의정서를 준수하기 위한 국내법을 마련해야 하며, 이행 여부를 모니터링합니다.
- 이를 통해 국제적 생물자원 거래의 투명성을 높이고, 생물해적행위(Biopiracy)를 방지합니다
 
4. 전통지식 보호
- 토착민 및 지역공동체(IPLC)의 전통지식(TK; Traditional Knowledge)을 보호하며, 이에 대한 경제적 대가를 보장합니다.
- 전통지식이 활용될 경우 관련 공동체와도 공정한 계약을 체결해야 합니다
 
의의
생물다양성 협약과 나고야 의정서는 생물자원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촉진하며, 선진국과 개도국 간 경제적 격차를 줄이고 국제적인 협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특히 나고야 의정서는 유전자원의 공정한 거래와 이익 분배를 통해 생물다양성 보전의 실질적인 동기를 제공합니다


2. 도시숲의 종류와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도시숲의 종류와 기능
 
1. 도시숲의 종류
도시숲은 조성 목적과 위치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구분됩니다:
 
1. 도시숲
- 도시 내 국민의 보건·휴양 증진, 정서 함양, 체험활동 등을 위해 조성된 숲.
- 「자연공원법」에 따른 공원구역은 제외.
 
2. 생활숲
- 생활권 및 학교 주변에서 쾌적한 생활환경과 자연학습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조성된 숲.
 
3. 마을숲
- 지역 주민의 생활환경 개선과 산림문화 보전을 위해 마을 주변에 조성된 숲.
 
4. 경관숲
- 우수한 산림 경관 자원을 보존하고 자연학습 교육을 위해 조성된 숲.
 
5. 학교숲
- 학교와 그 주변에서 학습환경 개선 및 자연학습 교육을 위해 조성된 숲.
 
6. 가로수
- 도로 구역 안 또는 주변 지역에 조성된 수목으로, 도시 경관 개선과 환경 보호 역할을 수행.
 
 
2. 도시숲의 주요 기능
 
1. 기후 완화 기능
- 여름 한낮 평균 기온을 3~7℃ 낮추고, 습도를 9~23% 높여 도시 열섬현상 완화.
- 나무 한 그루는 에어컨 10대의 냉방 효과를 제공.
 
2. 대기 정화 및 미세먼지 저감
- 미세먼지 농도 평균 25.6% 감소, 초미세먼지 농도 평균 40.9% 감소.
- 가로수 한 그루는 연간 약 35.7g의 미세먼지를 저감.
 
3. 소음 감소
- 자동차 소음을 75%, 트럭 소음을 80%까지 줄임.
- 폭 30m, 높이 15m의 숲은 소음을 약 10dB 감소시킴.
 
4. 심리적 안정 및 정서 함양
- 스트레스를 줄이고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
- 숲에서 15분간 나무를 바라보면 스트레스 호르몬(코티솔) 농도가 15.8%, 혈압이 2.1% 감소.
 
5. 생태계 보전 및 복원
- 생물다양성을 증진하고 생태계를 연결하여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룸.
 
6. 재해 방지 기능
- 홍수, 산사태 등 자연재해를 방지하고, 소음·매연 등 공해를 완화하여 국민 안전을 보호.
 
7. 휴양 및 복지 기능
- 산림욕, 산림치유, 놀이 및 학습 체험 공간 제공.
- 건강 증진과 여가활동 지원.
 
8. 역사·문화 보전
- 문화재와 전통마을 주변에 조성되어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고 진흥하는 역할 수행.
 
결론
도시숲은 단순히 녹지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 기후 완화, 대기 정화, 소음 감소 등 환경적 기능과 함께 심리적 안정, 재해 방지, 생태계 복원 등 다방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속가능한 도시 환경 구축에 기여합니다
 

 

 

 

 

산림(산업)기사 필답교재 저자산림기술사 및 푸른잎사귀임업조경학원 원장 - 농림분야 | 쿠팡

쿠팡에서 산림(산업)기사 필답교재 저자산림기술사 및 푸른잎사귀임업조경학원 원장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농림분야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

www.coupang.com

 

 


3. 국유림경영계획의 일반현황조사와 임황조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국유림경영계획의 일반현황조사와 임황조사
 
1. 일반현황조사
일반현황조사는 국유림 경영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산림의 외부적 조건과 관련된 전반적인 정보를 조사하는 단계입니다.
 
조사 내용
- 지형 및 위치: 산림의 위치, 면적, 경계, 지형적 특성(경사도, 방위 등).
- 토지 이용 현황: 국유림 내 토지의 사용 현황(임업, 농업, 기타 용도).
- 도로 및 접근성: 임도 및 주요 도로망과 접근 가능성.
- 기후 조건: 해당 지역의 기후(강수량, 온도 등)와 계절적 특성.
- 특수림 지정 현황: 경제림단지, 문화재 목재생산림, 경관림 등 정책적·특수 목적에 의해 지정된 산림.
- 보호구역 지정 여부: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수원함양보호구역 등.
 
목적
- 산림의 경영 가능성과 제한요소를 평가.
- 산림 관리 및 활용 계획 수립에 필요한 기본 자료 제공.
 
 
 
2. 임황조사
임황조사는 국유림 내 산림의 상태와 자원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는 조사로, 산림 내부의 생태적·경제적 특성을 분석합니다.
 
조사 내용
- 임분 구성:
- 주요 수종 및 혼효율(혼합된 수종 비율).
- 임령(나무의 나이)과 지위(토양 생산력).
- 입목 상태:
- 흉고직경(DBH), 수고(나무 높이), 재적(목재량) 등 입목의 생장 상태.
- 입목 밀도와 생장량.
- 하층 식생:
- 하층 식생의 종류와 분포 상태.
- 천연갱신 여부와 갱신 가능성.
- 병해충 및 재해 상태:
- 병해충 피해 여부 및 정도.
- 산불, 풍해, 설해 등의 자연재해 흔적.
- 토양 상태:
- 토양의 물리적·화학적 특성(토양 유형, 배수 상태 등).
 
조사 방법
- 전수조사: 조사 대상 지역 내 모든 입목을 조사하여 정확한 데이터를 확보.
- 표본조사: 표준지를 설정하여 대표적인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체를 추정.
 
목적
- 산림자원의 양과 질을 평가하여 지속가능한 경영 계획 수립.
- 벌채, 조림, 숲가꾸기 등의 시업 계획을 구체화하기 위한 자료 제공.
 
 
 
일반현황조사와 임황조사의 차이점

 
결론
일반현황조사는 국유림의 외부 환경과 조건을 파악하여 경영계획의 큰 틀을 마련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임황조사는 산림 내부 자원의 세부적인 상태를 분석하여 구체적인 시업 계획을 수립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 두 조사는 상호보완적으로 이루어져 국유림경영계획 작성에 필수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합니다.
 


4. 임업이율의 고저를 좌우하는 요인과 임업이율의 성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임업이율의 고저를 좌우하는 요인과 임업이율의 성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임업이율의 고저를 좌우하는 요인
 
1. 기간:
- 자본사용기간이 길수록 이율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 임업은 장기적인 투자를 요구하므로 일반적으로 낮은 이율이 적용됩니다.
 
2. 투자 규모:
- 대규모 투자일수록 위험이 분산되어 이율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3. 위험성:
- 산불, 병해충 등 자연재해의 위험이 높을수록 이율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4. 수익성:
- 예상되는 수익이 높을수록 투자자들이 낮은 이율을 수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5. 시장 조건:
- 목재 시장의 수요와 공급 상황이 이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임업이율의 성격
 
1. 자본이자의 성격:
- 임업이율은 대부이자가 아니고 자본이자입니다.
- 실제 대출에 따른 이자가 아닌, 투자된 자본에 대한 기대수익률을 의미합니다.
 
2. 평정이율의 성격:
- 임업이율은 현실이율이 아니고 평정이율입니다.
- 장기간에 걸친 평균적인 수익률을 반영합니다.
 
3. 명목적 이율:
- 임업이율은 실질적 이율이 아니고 명목적 이율입니다.
-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하지 않은 표면적인 이율을 의미합니다.
 
4. 장기이율:
- 임업의 특성상 장기간에 걸친 투자를 전제로 하므로 장기이율의 성격을 가집니다.
 
5. 복리 적용:
- 임업이율의 계산에는 일반적으로 복리가 적용됩니다.
 
이러한 임업이율의 특성을 고려하여 산림경영 계획을 수립하고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Surfshark VPN & all-in-one cybersecurity suites - Official Site

Surfshark VPN – secure your data ● Unlimited devices ● 24/7 support ● 3200+ servers in 100 countries ● No-logs policy ● RAM-only servers, & more.

surfshark.com

 

 

 

 

HotelsCombined | 여행 숙소 특가 상품을 찾아보세요

HotelsCombined에서 여행 숙소 특가 상품을 찾아보세요. 검색 한 번으로 다양한 인기 여행 사이트의 가격을 비교해 보고 마음에 드는 최적의 숙소를 찾아보세요!

www.hotelscombined.co.kr

 

 

 

 

21세기 자연환경관리기술사 - 자연환경 | 쿠팡

쿠팡에서 21세기 자연환경관리기술사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자연환경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5. 조재 및 집재 형태에 따른 목재수확작업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목재수확작업시스템은 조재 및 집재 형태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하베스터형 임목수확작업시스템
- 조재: 하베스터가 벌도와 조재를 동시에 수행
- 집재: 포워더를 이용
- 특징:
- 주로 평지나 완만한 경사지에서 사용
- 단목생산에 적합
- 2인 1조로 작업, 일일 생산량 40~80㎥ 목표
- 주로 유럽, 북미, 일본 등에서 사용
 
2. 펠러번처형 임목수확작업시스템
- 조재: 프로세서가 임도변이나 토장에서 수행
- 집재: 스키더를 이용한 전목집재
- 특징:
- 비교적 완만한 경사지에 적합
- 작업도와 집재로가 많이 개설된 지역에서 효과적
- 3인 1조로 작업, 일일 생산량 50~100㎥ 목표
- 주로 북미 동부지역에서 사용
 
3. 타워야더형 임목수확작업시스템
- 조재: 프로세서가 임도변이나 토장에서 수행
- 집재: 타워야더 또는 스윙야더를 이용한 전목집재
- 특징:
- 급경사지에 적합
- 가선의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한 이동식 타워 사용
- 5인 1조로 작업, 일일 생산량 30~40㎥ 목표
- 주로 중부 유럽, 북미 서부, 일본의 산악지역에서 사용
- 우리나라의 지형 조건에 가장 적합한 시스템으로 평가됨
 
이러한 시스템들은 지형 조건, 임도 개설 상태, 작업 규모 등을 고려하여 선택되며, 각 시스템의 효율성과 경제성은 적용 환경에 따라 달라집니다
 


6. 산림복원 시 적용하는 땅속흙막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땅속흙막이의 정의와 역할
 
땅속흙막이는 산림복원 및 사방사업에서 비탈면 안정화와 토사 유실 방지를 위해 설치되는 구조물입니다. 주로 비탈다듬기나 단끊기 작업으로 발생한 뜬흙(부유토사)을 계곡부에 투입하거나, 토사층의 활동을 방지하고 안정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땅속흙막이의 주요 특징
 
1. 설치 목적
- 토사의 전단저항과 마찰저항을 높여 토사층의 이동을 방지.
- 비탈면의 붕괴를 예방하고 유실된 토사를 안정적으로 고정.
- 산사태 및 토석류 발생 위험을 줄임.
 
2. 재료
- 현지에서 채취한 자연재료(돌, 흙 등)를 우선적으로 사용.
- 큰 돌과 석재를 충분히 활용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
 
3. 설치 방향
- 흙막이의 설치 방향은 원칙적으로 산비탈을 향하여 직각으로 설치.
- 상류를 향해 직각으로 축설하며, 비탈면의 경사에 따라 설계.
 
4. 경사 기준
- 돌땅속흙막이: 비탈 경사를 1:0.3으로 설계.
- 흙땅속흙막이: 비탈 경사를 1:1.0~1.3으로 설계.
 
5. 적용 지역
- 비탈면 복구가 필요한 산림복원 대상지.
- 계곡부나 토사가 유출될 가능성이 높은 지역.
   
 
땅속흙막이의 설치 과정
 
1. 비탈다듬기 및 단끊기
- 비탈면을 정리하여 뜬흙(부유토사)을 제거하고 안정적인 기반을 마련합니다.
 
2. 흙막이 설치
- 계곡부에 뜬흙을 투입한 후, 흙막이를 설치하여 토사를 고정합니다.
- 흙막이는 주변 지형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설계합니다.
 
3. 재료 배치
- 현지에서 채취한 석재와 흙을 활용하여 구조물을 쌓습니다.
- 구조물의 기초를 충분히 다져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4. 경사 조정
- 비탈면 경사를 완만하게 조정하여 붕괴 위험을 줄이고, 배수 기능을 강화합니다.
 
  
땅속흙막이의 효과
 
- 토사 유출 방지: 비탈면에서 발생하는 토사의 이동과 유출을 차단.
- 비탈면 안정화: 붕괴 위험 지역에서 비탈면을 고정하여 장기적인 안정성 확보.
- 생태 복원 기여: 식생 복원이 가능하도록 기반을 제공하며,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룸.
 
 
 
관련 공법과 연계
 
땅속흙막이는 다른 사방공법(예: 누구막이, 돌쌓기)과 함께 사용되어 산림복원 및 재해 방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특히, 주변 지형과 환경에 맞춘 설계와 시공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산림 생태계를 보호하고, 지속가능한 산림 관리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쿠팡이 추천하는 자연환경관리기술사 관련 혜택과 특가

쿠팡이 추천하는 자연환경관리기술사 특가를 만나보세요. 로켓와우 회원은 다양한 할인과 무료 배송 및 반품 혜택도 누릴 수 있어요.

www.coupang.com

 

 

 

 

 

쿠팡이 추천하는 자연환경관리 합격 관련 혜택과 특가

쿠팡이 추천하는 자연환경관리 합격 특가를 만나보세요. 로켓와우 회원은 다양한 할인과 무료 배송 및 반품 혜택도 누릴 수 있어요.

www.coupang.com

 

 

 

 

 

 

쿠팡이 추천하는 금방 이해하는 자연환경관리 관련 혜택과 특가

쿠팡이 추천하는 금방 이해하는 자연환경관리 특가를 만나보세요. 로켓와우 회원은 다양한 할인과 무료 배송 및 반품 혜택도 누릴 수 있어요.

www.coupang.com

 

 

 

쿠팡이 추천하는 너무나 쉬운 자연환경관리 관련 혜택과 특가

쿠팡이 추천하는 너무나 쉬운 자연환경관리 특가를 만나보세요. 로켓와우 회원은 다양한 할인과 무료 배송 및 반품 혜택도 누릴 수 있어요.

www.coupang.com

 

 

 

쿠팡이 추천하는 3개월만에 합격하는 자연환경관리 관련 혜택과 특가

쿠팡이 추천하는 3개월만에 합격하는 자연환경관리 특가를 만나보세요. 로켓와우 회원은 다양한 할인과 무료 배송 및 반품 혜택도 누릴 수 있어요.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