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조경기술사

제134회 조경기술사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

information net 2025. 2. 6. 14:37
728x90
반응형
SMALL

 
 
 
 
※ 총 13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 10점)
1. 에드워드 홀(Edward T. Hall)의 개인 공간 거리

에드워드 홀(Edward T. Hall)은 인간 간의 공간 사용 방식을 연구하며, 이를 4가지 인간관계 거리로 분류했습니다. 이는 그의 저서 *숨겨진 차원(The Hidden Dimension)*에서 소개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범주로 나뉩니다:
1. 친밀한 거리(Intimate Distance):
• 거리: 0~46cm
• 가족, 연인 등 매우 가까운 관계에서 사용되며, 신체적·정서적 정보를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는 거리입니다.
2. 개인적 거리(Personal Distance):
• 거리: 46cm~1.2m
• 친구나 가까운 지인과의 일상적인 대화에서 사용되며, 긴장감과 친밀감의 균형이 중요한 영역입니다.
3. 사회적 거리(Social Distance):
• 거리: 1.2m~3.6m
• 직장이나 공식적인 상황에서 주로 사용되며, 참여와 이탈이 자유로운 업무적 대화에 적합합니다.
4. 공적인 거리(Public Distance):
• 거리: 3.6m 이상
• 연설, 강연 등 공중을 대상으로 하는 상황에서 사용되며, 비언어적 소통이 중요합니다.
홀은 이러한 거리 개념이 문화와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고 주장하며, 이를 바탕으로 **근접공간학(Proxemics)**이라는 개념을 정립했습니다.



2.「수목원·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에서 정의한 희귀식물과 특산식물

「수목원·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 희귀식물: 우리나라 자생식물 중 개체 수와 자생지가 감소하여 특별한 보호와 관리가 필요한 식물입니다. 예로는 광릉요강꽃, 미선나무 등이 있습니다.
• 특산식물: 우리나라에만 분포하는 자생식물로, 특정 지역의 독특한 환경에서만 자라는 식물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으로 금강초롱꽃, 모데미풀이 있습니다.



3. 듀얼라이프

조경 분야에서 **듀얼라이프(Dual Life)**는 도시와 자연, 혹은 두 개의 상이한 생활 공간을 순환하며 살아가는 삶의 방식을 반영한 개념입니다. 이는 도시의 편리함과 자연의 여유로움을 동시에 누릴 수 있도록 설계된 공간과 조경을 의미합니다.
• 특징: 듀얼라이프는 도시 거주자들이 자연 속 제2의 거주지를 마련해 정기적으로 순환 거주하거나, 자연과 교감할 수 있는 조경 공간을 활용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 적용 사례: 예를 들어, 농촌과 도시를 연결하는 조경 설계나, 주거 단지 내 공유와 사유 자연을 모두 반영한 공간(예: 모듈 정원) 등이 있습니다.
이 개념은 지방소멸 대응, 환경 보전, 여가 증진 등 다양한 사회적·환경적 가치를 고려해 조경 설계에 활용됩니다.



4. 옹벽 설계시 안전율

옹벽 설계 시 안전율은 구조물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며, 주요 검토 항목과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활동 안정율 (Sliding Stability)
• 옹벽이 수평 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검토합니다.
• 평상시: 1.5 이상 (수동토압 포함 시 2.0 이상)
• 지진시: 1.2 이상.
2. 전도 안정율 (Overturning Stability)
• 옹벽이 회전하며 넘어가지 않도록 검토합니다.
• 평상시: 2.0 이상
• 지진시: 1.5 이상.
3. 지지력 안정율 (Bearing Capacity Stability)
• 옹벽 하부 지반이 과도한 압력으로 침하하거나 파괴되지 않도록 검토합니다.
• 평상시: 3.0 이상
• 지진시: 2.0 이상.
4. 전체 안정성 (Overall Stability)
• 옹벽 및 주변 지반의 종합적인 안전성을 평가합니다.
• 일반적으로 1.2~1.5 이상(지진시 1.1 이상).
안전율은 옹벽의 종류, 하중 조건(평상시/지진시), 설계 기준(KDS 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며, 설계 시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5. 노먼 볼로그(Norman Borlaug)의 녹색혁명

노먼 볼로그(Norman Borlaug)는 **녹색혁명(Green Revolution)**의 주역으로, 전 세계 식량 문제 해결에 획기적인 기여를 한 미국의 농학자입니다. 그는 병충해에 강하고 수확량이 높은 밀 품종을 개발하여 기아 문제를 완화하는 데 크게 이바지했습니다.
• 주요 업적:
1. 1940~60년대 멕시코에서 고수확 밀 품종을 개발하여 멕시코를 밀 수출국으로 전환시켰습니다.
2. 인도와 파키스탄에서도 그의 기술을 도입해 곡물 생산량을 대폭 증가시켜 식량 자급자족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3. 그의 연구는 중국, 필리핀 등지로 확산되어 쌀 등 다른 작물 품종 개발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 영향:
볼로그의 노력은 수억 명을 기아에서 구했으며, 그는 이를 통해 1970년 노벨평화상을 수상했습니다.
• 한계와 비판:
녹색혁명은 농약과 비료 사용 증가, 물 과다 소비, 품종 다양성 감소 등의 환경적·사회적 문제를 초래했다는 비판도 받았습니다.
볼로그는 말년까지도 아프리카 농업 발전과 새로운 품종 개발에 힘썼으며, 그의 업적은 인류의 식량 문제 해결에 지속적으로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6. 하하(Ha-Hah)기법

하하(Ha-Ha) 기법은 조경에서 정원의 경계부를 시각적으로 감추면서 기능적으로 구획하는 독창적인 설계 방식입니다. 주로 영국의 풍경식 정원에서 사용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1. 설계 방식:
• 정원의 경계에 깊은 도랑을 파고, 그 안쪽에 울타리나 경계를 설치합니다.
• 외부에서 보면 담장이 보이지 않아 자연스럽게 열린 경관을 제공합니다.
2. 기능적 목적:
• 가축이 정원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합니다.
• 목초지나 숲과 같은 외부 경관을 정원의 일부처럼 느끼게 하여 차경(借景) 효과를 극대화합니다.
3. 역사적 배경:
• 18세기 영국의 풍경식 정원에서 찰스 브릿지맨과 윌리엄 켄트 등이 도입했으며, 랜슬롯 브라운이 이를 발전시켰습니다.
• 이름은 사람들이 도랑을 보고 놀라며 웃는 모습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집니다.
하하기법은 자연과 인공의 조화를 추구하는 조경 철학을 잘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습니다.



7. 솟대의 기원 및 기능

솟대의 기원 및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원
• 솟대는 청동기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북아시아 샤머니즘 문화권에서 시작된 신앙물입니다. 만주, 몽골, 시베리아 등지에서 발견되며, 고대부터 하늘과 인간을 연결하는 매개체로 여겨졌습니다.
• 우리나라에서는 삼한시대의 **소도(蘇塗)**에서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신앙에서 유래하였으며, 마을의 안녕과 농사의 성공을 기원하기 위해 세워졌습니다.
기능
1. 마을 수호 및 경계 표시:
• 마을 입구에 세워 외부의 재앙과 잡귀를 막고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2. 풍년과 풍어 기원:
• 농경사회에서 풍작과 풍어를 빌기 위한 상징물로 사용되었습니다.
3. 하늘과 인간의 연결:
• 솟대의 장대와 새는 하늘과 땅, 인간과 신을 연결하는 통로로 여겨졌습니다. 새는 천신(天神)의 사자로서 소망을 전달하는 상징이었습니다.
4. 사회적·개인적 상징:
• 과거 급제자의 기념물이나 가문의 행운을 빌기 위해 세우기도 했습니다.
솟대는 단순한 조형물이 아니라, 공동체 신앙과 문화적 정서를 반영한 중요한 상징물로 자리 잡아 왔습니다.



8. 환경포텐셜(Potential)의 개념과 구성

환경포텐셜(Potential)**은 특정 장소에서 생태계가 형성되고 유지될 가능성을 평가하는 개념으로, 생물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는 생태계 복원, 종 서식지 평가 등에 활용되며, 다음과 같은 주요 구성 요소로 나뉩니다:
1. 입지포텐셜:
• 토지, 기후, 지형, 수환경 등 물리적 환경 조건의 잠재력을 의미합니다.
• 예: 토양 비옥도, 강수량, 지형 경사 등.
2. 종 공급포텐셜:
• 특정 지역으로 종이 이동하고 정착할 가능성을 평가합니다.
• 종의 이동력, 공급원과 수용처의 거리 등이 영향을 미칩니다.
3. 종간관계 포텐셜:
• 생물 간의 상호작용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 예: 상리공생(+) 또는 경쟁·포식(-) 관계.
4. 천이포텐셜:
• 시간에 따른 생태계 변화 가능성을 나타내며, 입지·종 공급·종간관계 포텐셜에 의해 결정됩니다.
• 예: 초기 군락에서 극상군락으로의 천이 과정.
이 개념은 환경 변화와 생태적 복원을 이해하고 설계하는 데 중요한 도구로 사용됩니다.



9. 참조생태계(Reference ecosystem)의 개념

참조생태계(Reference Ecosystem)**는 생태복원 및 관리에서 이상적인 기준으로 사용되는 생태계를 의미합니다. 이는 복원 대상 지역의 과거 상태나 유사한 자연 상태를 모델로 삼아 복원 목표를 설정하고, 성과를 평가하는 데 활용됩니다.
주요 개념
1. 정의:
• 인간의 간섭이 최소화된 자연 상태의 생태계 또는 개념적 모델로, 복원 대상 지역의 이상적인 구조와 기능을 나타냅니다.
2. 기능:
• 복원 목표 설정: 복원하려는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정의하는 기준 제공.
• 평가 기준: 복원 후 성과를 대조하고 비교하는 기준으로 활용.
• 관리 전략 수립: 지속 가능한 생태계 유지 및 관리 방향 제시.
3. 구성 요소:
• 입지적 특성: 지형, 기후 등 물리적 환경.
• 생물적 특성: 종 구성, 군락 구조 등.
• 시간적 요소: 과거 상태(역사적 자료) 또는 유사한 현재 생태계 참조.
활용 사례
• 습지, 산림, 하천 등 다양한 생태계 복원 프로젝트에서 참조생태계를 기반으로 설계 및 평가가 이루어집니다. 예를 들어, 훼손된 하천 복원 시 주변 자연 하천을 참조하여 목표 상태를 설정합니다.
참조생태계는 생태복원의 성공과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한 핵심 개념으로, 자연성과 조화를 이루는 복원을 가능하게 합니다.



10. 적응관리(Adaptive management)

적응관리(Adaptive Management)**는 복잡하고 불확실성이 큰 환경에서 효율적인 자원 관리와 생태계 복원을 위해 사용되는 순환적 접근 방법입니다. 이는 실행, 모니터링, 평가, 조정을 반복하여 관리 전략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체계적 과정입니다.
주요 개념
1. 정의:
• 복원 실행 후 모니터링과 평가를 통해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관리 방안을 조정하며, 불확실성에 대처하는 적응적 접근법.
• 일본에서는 이를 “순응관리”라 부르며, 자연재생사업에서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정의함.
2. 절차:
• 계획(Planning): 목표 설정 및 초기 전략 수립.
• 실행(Implementation): 관리 방안 실행.
• 모니터링(Monitoring): 결과 관찰 및 데이터 수집.
• 평가(Evaluation): 성과 분석 및 문제점 도출.
• 조정(Adjustment): 새로운 정보에 기반한 전략 수정.
3. 특징:
•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과정으로, 변화하는 환경 조건과 새로운 정보를 반영.
• 불확실성을 줄이고 장기적인 생태계 안정성을 확보.
4. 활용 분야:
• 생태하천 복원(예: 학의천 사례).
• 연안 서식지 복원(예: 바다숲, 갯벌 복원).
• 기후변화 대응 및 자연자원 관리 정책.
장점과 한계
• 장점: 유연성과 적응력을 통해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효과적인 관리 가능.
• 한계: 초기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이해관계자 간 협력이 필수적임.



11. 조경재료의 탄성(Elasticity)과 소성(Plasticity)

조경 재료에서 **탄성(Elasticity)**과 **소성(Plasticity)**은 재료의 변형 특성을 설명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두 성질은 외부 힘에 대한 재료의 반응을 나타내며, 조경 설계나 시공에서 적합한 재료를 선택하는 데 활용됩니다.
1. 탄성(Elasticity)
• 정의: 외력을 받아 변형되더라도, 힘이 제거되면 원래 상태로 복원되는 재료의 성질입니다.
• 특징:
• 변형은 응력과 변형률이 비례하는 탄성 영역에서 발생합니다.
• 탄성계수(Young’s Modulus)는 재료의 강성과 저항력을 나타내는 척도로, 값이 클수록 강한 탄성을 가집니다.
• 예: 강철, 나무, 콘크리트 등은 일정 범위 내에서 탄성을 보입니다.
• 활용: 조경 구조물에서 하중을 견디고 복원력이 필요한 경우 사용됩니다(예: 데크, 난간).
2. 소성(Plasticity)
• 정의: 외력을 받아 변형된 후, 힘이 제거되어도 원래 상태로 돌아가지 않고 영구 변형이 남는 성질입니다.
• 특징:
• 소성은 탄성한계를 초과한 후 발생하며, 이때부터 영구적인 변형이 시작됩니다.
• 점토와 같은 재료는 낮은 항복점을 가지고 있어 소성이 크며, 금속은 높은 항복점을 가집니다.
• 예: 점토, 석고, 일부 금속.
• 활용: 형태를 유지하거나 특정 모양으로 가공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경우 사용됩니다(예: 포장재, 조각).



12. 지피융기선(Branch bark ridge)

지피융기선(Branch Bark Ridge)**은 나무에서 가지와 줄기가 만나는 분기점에 있는 주름 모양의 융기된 부분을 말합니다. 이는 줄기 조직과 가지 조직의 경계선 역할을 하며, 가지치기와 같은 수목 관리 작업에서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주요 특징
1. 위치와 구조:
• 줄기와 가지가 만나는 지점에 형성되며, 주름진 모양으로 나타납니다.
• 줄기와 가지 조직이 분리되는 경계선으로, 나무의 자연적인 구조적 특징입니다.
2. 역할:
• 조직 보호: 지피융기선은 가지치기 시 줄기 조직과 가지 조직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준점으로 작용합니다.
• 방어 기능: 이 선을 기준으로 나무는 병원균의 침입을 막는 화학적 방어층(가지보호대)을 형성합니다.
• 유합 촉진: 가지치기를 할 때 지피융기선을 따라 절단하면 상처가 빠르게 아물고 부후균 침입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3. 가지치기에서의 활용:
• 가지를 자를 때 지피융기선의 바로 바깥쪽에서 절단하여 줄기 조직을 보호합니다.
• 지나치게 길게 가지를 남기거나, 지피융기선을 훼손하면 유합 조직 형성이 어려워지고 병원균 침입 위험이 높아집니다.
지피융기선은 수목 관리에서 나무의 건강과 생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올바른 가지치기의 핵심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13. 일액현상(Guttation)과 일비현상(Bleeding)
 

일액현상(Guttation)과 일비현상(Bleeding)은 식물에서 수분이 배출되는 두 가지 주요 과정으로, 각각 발생 원인과 방식이 다릅니다.
1. 일액현상 (Guttation)
• 정의: 식물이 뿌리압(root pressure)에 의해 잎 끝이나 가장자리의 **수공(hydathodes)**을 통해 수분을 방출하는 현상.
• 발생 조건:
• 밤이나 새벽처럼 기공이 닫혀 증산작용이 억제된 상태.
• 고습, 저온 환경에서 뿌리압이 상승할 때.
• 특징:
• 배출된 물방울에는 수분, 미네랄, 단백질 등이 포함됨.
• 주로 초본 식물이나 잔디에서 관찰됨.
• 예시: 스킨답서스, 몬스테라와 같은 실내 관엽식물에서 잎 끝에 맺힌 물방울.
2. 일비현상 (Bleeding)
• 정의: 식물의 줄기나 도관부(물관)에 상처가 생겼을 때, 내부의 **수액(sap)**이 배출되는 현상.
• 발생 조건:
• 줄기 절단 또는 물관에 손상이 발생했을 때.
• 뿌리압에 의해 수액이 상처 부위로 밀려 나옴.
• 특징:
• 배출되는 액체에는 물뿐만 아니라 당분과 영양소가 포함됨.
• 고로쇠나무, 메이플 등의 수액 채취 과정에서 활용됨.

 
 
 
※ 총 6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 25점)
1.「산림교육의 활성화에 관한 법률」에서 ‘유아숲체험원의 등록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산림교육의 활성화에 관한 법률」 제12조에 따르면, 유아숲체험원의 등록기준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합니다:
1. 등록 요건:
• 유아숲체험원 운영을 위해 필요한 시설과 장비를 갖추어야 하며, 안전한 체험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산림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적합한 장소와 공간이 요구됩니다.
2. 운영 자격:
• 산림교육 전문가(예: 숲해설가, 유아숲지도사 등)가 배치되어야 하며, 이들의 자격 기준은 법령에 따라 정해집니다.
3. 등록 절차:
• 유아숲체험원을 운영하려는 자는 산림청장 또는 지방자치단체장에게 등록 신청을 해야 합니다.
• 등록 후 변경 사항이 발생할 경우, 변경 등록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4. 안전 관리:
• 유아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며, 시설 점검 및 유지 관리 계획이 필요합니다.



2. 제주 돌 문화의 특성과 자원적 가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제주 돌 문화의 특성과 자원적 가치
제주 돌 문화는 화산섬으로 형성된 제주도의 자연환경과 주민들의 삶이 결합되어 만들어진 독특한 문화적 산물입니다. 이는 생활, 신앙, 방어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제주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핵심 요소로 평가받습니다.
1. 특성
1. 화산 지형과 돌의 풍부함:
• 제주는 화산활동으로 형성된 섬으로, 전 지역에 현무암이 풍부합니다.
• 돌은 척박한 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활용되었으며, 제주의 삶과 밀접하게 연결되었습니다.
2. 다양한 형태와 기능:
• 밭담: 농토를 구획하고 바람과 토양 유실을 막는 역할.
• 돌하르방: 마을의 수호신 역할을 하는 석상.
• 원담: 바닷고기를 잡기 위해 해안에 쌓은 돌담.
• 산담: 무덤 주변에 쌓은 돌담으로 신앙적 의미를 가짐.
3. 자연스러움과 실용성:
• 돌의 자연 형태를 최대한 활용하여 쌓는 기술이 특징이며, 이는 제주의 미적 감각과 실용성을 보여줍니다.
2. 자원적 가치
3. 문화유산적 가치:
• 밭담은 국가 중요농업유산 및 유엔 FAO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으로 등재되어 국제적으로 인정받았습니다.
• 제주의 돌문화경관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 후보로 추천될 만큼 독창성과 희소성을 지닙니다.
2. 생태적 가치:
• 돌담은 바람을 막고 토양을 보호하며, 생물 서식지를 제공하는 생태적 기능을 수행합니다.
3. 관광 자원:
• 제주돌문화공원과 같은 시설은 제주의 역사와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관광 명소로 자리 잡아 경제적 가치를 창출합니다.
4. 삶의 지혜와 전통 보존:
• 제주의 돌 문화는 주민들이 척박한 환경을 극복하며 쌓아온 삶의 지혜와 전통을 상징하며, 이는 현대에도 중요한 교육적·문화적 자원이 됩니다.
제주 돌 문화는 단순히 지역의 자연환경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이를 극복하고 활용해온 사람들의 역사와 지혜가 담긴 소중한 유산입니다. 이는 제주의 정체성을 대표하며, 보존과 전승을 통해 그 가치를 지속적으로 확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3. 수공간 조성 시 활용되는 ‘수생식물’과 ‘습생식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수생식물과 습생식물의 개념 및 특징
1. 수생식물 (Aquatic Plants)
• 정의: 물속 또는 물과 밀접한 환경에서 생육하는 식물로, 물에 적응된 형태적·생리적 특성을 지닙니다.
• 특징:
• 물속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며, 잎이나 줄기에 공기 저장 조직(통기조직)이 발달되어 있습니다.
• 분류:
• 침수식물: 식물체 전체가 물속에 잠김 (예: 검정말, 물수세미).
• 부엽식물: 뿌리는 물속에 있고 잎은 수면 위에 떠 있음 (예: 수련, 가시연꽃).
• 부유식물: 뿌리가 토양에 닿지 않고 물 위를 떠다님 (예: 부레옥잠, 개구리밥).
• 정수식물: 뿌리는 물속에 있지만 줄기와 잎이 물 위로 솟아 있음 (예: 갈대, 부들).
• 활용:
• 수질 정화(영양염류 흡수), 경관 조성, 생태적 서식지 제공.
2. 습생식물 (Wetland Plants)
• 정의: 항상 물이 고여 있지는 않지만, 습기가 많은 환경(습지, 연못 가장자리 등)에서 자라는 육상 식물.
• 특징:
• 과도한 수분에 적응된 구조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뿌리와 줄기가 약하고 증산 면적이 넓습니다.
• 물이 고인 곳에서는 생육하지 못하며, 주로 습윤한 토양에서 자랍니다.
• 예: 속새, 시페루스, 워터코인.
• 활용:
• 습지 복원, 경관 조성, 생태계 다양성 유지.



4. 식생천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식물군집의 형상 변화를 ‘환경조건’과 ‘진행방향’에 따라 설명하시오.

식생천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식물군집의 형상 변화
식생천이는 특정 지역에서 환경조건의 변화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식물군집이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입니다. 이는 환경조건과 진행방향에 따라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입니다.
1. 환경조건에 따른 변화
1. 수분 조건:
• 건성 천이: 건조한 환경에서 시작되며, 암반, 자갈밭, 사구 등에서 진행됩니다.
• 예: 나지 → 지의류/선태류 → 초본 → 관목 → 교목.
• 수생 천이: 물이 있는 환경(호수, 습지)에서 시작되며, 물이 줄어들면서 육상 생태계로 변합니다.
• 예: 빈영양호 → 부영양호 → 습원 → 초지.
2. 유발 지역:
• 1차 천이: 식생이 없는 불모지(암반, 용암대지)에서 시작되며, 지의류와 선태류가 초기 정착자로 등장.
• 2차 천이: 기존 식생이 파괴된 지역(산불, 휴경지 등)에서 매토종자나 뿌리 맹아를 통해 진행.
2. 진행방향에 따른 변화
3. 진행적 천이:
• 안정적인 환경에서 생물종과 생체량이 증가하며 복잡한 군집으로 발달합니다.
• 예: 나지 → 일년생 초본(바랭이, 여뀌류) → 다년생 초본(쑥, 개망초) → 관목(찔레꽃, 진달래) → 양수림(소나무) → 음수림(서어나무).
2. 퇴행적 천이:
• 교란이나 타감작용으로 인해 단순화된 군집으로 퇴보합니다.
• 예: 비탈면 녹화지역에서 칡, 환삼덩굴 등의 우점으로 정상적 식생 발달 지연.
3. 천이 형태:
• 방향적 천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일반적인 천이 과정.
• 순환적 천이: 숲 틈이나 국지적 교란으로 인해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국소적 천이.
극상 단계 (Climax Stage)
• 천이는 최종적으로 극상군락에 도달하며, 이는 환경과 평형을 이루는 안정된 상태입니다.
• 극상의 유형은 기후 조건(기후적 극상) 또는 지형·토양 조건(토지적 극상)에 따라 결정됩니다.
• 예: 서어나무, 까치박달 등이 극상림을 형성.
결론
식생천이는 환경조건(수분·유발 지역)에 따라 시작되며, 진행방향에 따라 복잡성과 안정성이 증가하거나 퇴보할 수 있습니다. 이는 생태계 복원 및 관리에 중요한 기준을 제공합니다.



5. 생태복원사업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생태복원사업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복원 목표에 부합하는 구체적인 기준이 필요합니다. 이는 생태적, 물리적, 화학적, 사회적 요소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결정됩니다.
1. 성공 판단 기준
(1) 생태적 기준
• 생물다양성: 복원된 지역에서 종 다양성과 군집 구조가 참조지역과 유사한지 평가합니다.
• 예: 출현종 수, 개체군 밀도, 군집 안정성.
• 서식지 제공: 복원된 생태계가 생물에게 적합한 서식지를 제공하는지 확인합니다.
• 예: 저서생물, 염생식물, 해조류 등 특정 생물군의 출현 여부.
• 생태계 기능 회복: 영양염 순환, 일차 생산성 등 생태계 서비스(공급·조절·지원 기능)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평가.
(2) 물리적 기준
• 지형 및 수리 환경: 복원된 지역의 물리적 환경이 안정적인지 확인합니다.
• 예: 침식 방지, 해안선 변화, 퇴적물 특성.
• 수문학적 균형: 물 흐름과 염분 변화 등 수문학적 조건이 참조지역과 유사한지 평가.
(3) 화학적 기준
• 수질 및 토양 상태: 복원된 지역의 화학적 특성이 개선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예: 수질 항목(영양염류, DO 등), 퇴적물 내 오염물질 농도.
(4) 사회적 기준
• 문화적 가치와 주민 만족도: 복원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평가합니다.
• 예: 여가·관광 자원으로서의 활용성, 주민 인식 조사.
• 경제적 가치: 복원된 생태계가 지역 경제에 기여하는 정도를 분석합니다.
2. 참조지역과 비교
• 복원의 성공 여부는 **참조지역(reference ecosystem)**과의 비교를 통해 판단됩니다.
• 참조지역은 자연 상태의 생태계로, 복원 목표 설정과 성공 판단의 기준이 됩니다.
3. 적응관리와 지속성
• 복원은 단일한 성공 여부로 판단하기보다는 목표를 향해 점진적으로 발전하는 과정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데이터 축적으로 설계 및 관리 방안을 조정하는 적응관리(adaptive management)가 필요합니다.
결론
생태복원사업의 성공 여부는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 회복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참조지역과 비교하여 판단합니다. 이를 통해 생물다양성 증진, 서식지 제공, 수질 개선 등 목표 달성 여부를 확인하며, 사회·문화적 가치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6. 탄소저감형 도시녹지 조성을 위한 수종 선정 시 고려사항과 조성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탄소저감형 도시녹지 조성을 위한 수종 선정 시 고려사항과 조성방법
1. 수종 선정 시 고려사항
탄소저감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수종을 선정할 때 다음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1. 탄소흡수 능력:
• 광합성을 통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수종이 우선됩니다.
• 예: 상록수(소나무, 잣나무)와 활엽수(느티나무, 은행나무).
2. 생장 속도와 바이오매스:
• 빠르게 성장하고 생체량이 큰 수종은 더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 예: 포플러, 버드나무.
3. 내공해성 및 내환경성:
• 도시 환경의 대기오염과 척박한 토양 조건에서도 잘 자라는 내공해성 식물이 적합합니다.
• 예: 회화나무, 플라타너스.
4. 다층 구조 식재 가능성:
• 상층 교목, 중층 관목, 하층 초본으로 구성된 다층 식재는 탄소흡수와 서식지 제공에 유리합니다.
5. 지역 특성 및 생태적 적합성:
• 지역 기후와 토양에 적합한 자생식물을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관리 부담을 줄이고 생태적 지속 가능성을 확보합니다.
2. 조성방법
탄소저감형 도시녹지를 조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3. 다층 군식 조성:
• 상층 교목(느티나무), 중층 관목(산수유), 하층 초본(맥문동)으로 구성된 다층 구조는 탄소흡수와 생물다양성 증진에 효과적입니다.
2. 녹지 네트워크 구축:
• 도심 공원, 가로숲길, 하천변 녹지 등을 연결하여 바람길과 탄소흡수원을 확충합니다.
3. 완충녹지 및 가로숲길 조성:
• 도로변 완충녹지를 통해 대기오염물질을 흡수하고 온실가스를 저감합니다.
• 예: 간선도로 주변에 대기정화 능력이 높은 수종(회화나무, 느티나무)을 식재.
4. 토양 탄소고정 강화:
• 토양 내 유기물을 증가시키고 탄소를 고정할 수 있는 식재 방법(멀칭, 토양개량)을 병행합니다.
5. 자연 기반 솔루션(NBS) 적용:
• 옥상 녹화, 투수성 포장, 도시농업 등 다양한 자연 기반 기술을 활용하여 도시 전반의 탄소 배출을 줄입니다.
6. 지역사회 참여와 관리:
• 주민 참여를 통해 녹지 유지·관리를 활성화하고, 교육 프로그램으로 탄소중립 의식을 확산시킵니다.
결론
탄소저감형 도시녹지는 적합한 수종 선정과 체계적인 조성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과 도시 환경 개선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다층 군식, 녹지 네트워크 구축, 완충녹지 활용 등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며, 지역 특성과 생태적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설계가 필수적입니다.

 
 
 
※ 총 6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 25점)
1. 도시숲 관련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 개념
2) 생태적 이점
3)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효과

1. 개념
• 도시숲은 도시 내에서 국민의 보건휴양, 정서 함양, 체험활동 등을 위해 조성·관리되는 산림과 수목을 의미합니다.
• 예: 공원, 가로수, 학교숲, 산림공원 등.
• 이는 단순히 물리적 공간을 넘어 환경·생태적 기능과 함께 문화적·공동체적 가치를 포함하며, 대기 정화, 기후 조절 등 다양한 생태계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2. 생태적 이점
1. 대기 질 개선:
•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를 흡수 및 저감하여 공기 질을 향상시킵니다.
• 예: 서울 홍릉숲은 주변보다 미세먼지를 25.6%, 초미세먼지를 40.9% 낮춤.
2. 기후 조절:
• 여름철 평균 기온을 37℃ 낮추고, 습도를 923% 상승시켜 도시 열섬현상을 완화합니다.
3. 생물다양성 보전:
• 야생생물에게 서식지와 먹이를 제공하며 생태계 건강성을 유지합니다.
4. 소음 감소:
• 숲은 소음을 흡수하고 차단하는 역할을 하여 도시의 소음 공해를 줄입니다.
3.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효과
3. 정신 건강 개선:
• 도시숲은 스트레스 해소와 우울증 완화에 효과적입니다.
• 예: 도시숲이 많은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우울 증상이 적게 나타남.
2. 면역력 증진:
• 숲에서 방출되는 피톤치드와 음이온은 면역 기능을 활성화하고 자연 치유력을 높입니다.
3. 여가 및 휴식 제공:
• 시민들에게 휴식 공간과 아름다운 경관을 제공하며 정서적 안정감을 줍니다.
4. 신체 건강 증진:
• 숲에서의 활동은 심혈관 건강 개선과 같은 신체적 혜택을 제공합니다.
결론
도시숲은 생태적 기능(대기 정화, 기후 조절 등)과 인간의 건강(정신적·신체적 치유)을 동시에 제공하는 중요한 도시 자원입니다. 지속적인 조성과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기후위기 대응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2. 우리나라 전통 조경의 대상인 궁궐, 사찰, 사대부 정원 등에 시공된 화계와 석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화계(花階)
개념:
• 화계는 경사진 지형을 계단 형태로 다듬어 흙의 유실을 방지하고, 꽃과 나무를 심어 장식한 전통 정원의 요소입니다.
• 주로 궁궐, 사찰, 사대부 정원의 후정(뒷마당)에 조성되며, 한국 전통 조경의 독특한 기법으로 꼽힙니다.
특징:
1. 구조:
• 장대석(긴 돌)이나 자연석을 이용해 계단형 단을 쌓아 흙을 고정.
• 상단에는 초화류(꽃)나 화목류(작은 나무)를 식재하고, 괴석이나 석분 등 점경물을 배치하여 경관을 연출함.
2. 역사적 활용:
• 고려시대부터 시작되어 조선시대에 발전.
• 궁궐에서는 왕비의 공간인 교태전 후정(아미산 화계) 등에서 대표적으로 나타남.
• 사대부 정원에서는 유교적 사상에 따라 후정에 조성되어 아녀자들의 위락 공간으로 활용됨.
3. 기능:
• 실용적: 흙의 유출 방지 및 배수 기능.
• 심미적: 꽃과 나무를 심어 경관의 아름다움 제공.
• 문화적: 내외부 공간의 경계를 형성하며, 정원 내 위계와 상징성을 부여.
2. 석단(石壇)
개념:
• 석단은 두 공간 간의 높이 차를 극복하기 위해 돌로 축조된 단으로, 주로 사찰이나 궁궐에서 나타나는 지형 경관 요소입니다.
특징:
1. 구조:
• 자연석 또는 장대석을 사용해 층층이 쌓아 올림.
• 배수와 안정성을 위해 약간 기울어진 허튼층쌓기 기법이 자주 사용됨.
2. 역사적 활용:
• 사찰: 경내 주요 공간 간 위계를 나타내며, 예불 공간과 일반 공간을 구분하는 역할.
• 예: 경주 불국사, 영주 부석사의 석단.
• 궁궐: 중심 건축물 주변에 조성되어 공간의 상징성과 경관미를 강조함.
3. 기능:
• 실용적: 지형 차이를 극복하고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탱.
• 상징적: 공간의 위계성을 부여하며 신성한 분위기를 조성.
• 심미적: 석재와 자연 요소가 어우러져 정원의 경관미를 향상.



3. 도시 내 빗물정원의 개념, 조성방법 및 관리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빗물정원의 개념
• 빗물정원은 도시에서 발생하는 빗물 유출을 완화하고, 빗물을 저장·침투시켜 자연스러운 물 순환을 돕는 정원입니다.
• 주로 불투수성 표면(도로, 주차장 등)에서 유출된 빗물을 모아 정화하고, 토양으로 서서히 스며들게 하여 홍수 예방과 열섬효과 완화에 기여합니다.
2. 조성방법
1. 위치 선정:
• 빗물이 자연스럽게 모이는 지대나 불투수성 표면 근처에 조성.
• 배수가 잘되는 지역이 적합하며, 건물 기초나 지하실에서 일정 거리(보통 3m 이상)를 유지해야 함.
2. 구조 설계:
• 바닥층 구성:
• 50~60cm 깊이로 땅을 파고, 30cm 자갈층을 깔아 빗물이 모일 수 있도록 함.
• 자갈 위에 10~20cm의 모래층을 추가하여 뿌리의 과도한 침투를 방지.
• 식재층 구성:
• 습지에서 잘 자라는 식물(습생식물)을 심어 빗물 정화와 경관 조성을 동시에 실현.
• 예: 속새, 사초류, 붓꽃, 꽃창포 등.
3. 식재 설계:
• 단일 식물군(그라스류, 홍띠 등) 또는 다양한 초본류와 관목류를 혼합하여 심음.
• 경관미를 고려해 식물 간 간격은 약 15~20cm로 유지.
4. 추가 설비:
• 필요 시 빗물저장고(컨테이너형 시스템)를 설치해 많은 양의 물을 저장하고 활용 가능.
3. 관리방안
3. 정기적 유지관리:
• 침적된 퇴적물 제거 및 배수 기능 점검.
• 식재된 식물의 건강 상태 확인 및 병충해 방제.
2. 식물 관리:
• 습생식물이 과도하게 번식하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가지치기 및 제거.
• 건조한 시기에는 보충 관수 실시.
3. 토양 관리:
• 토양의 투수성을 유지하기 위해 다공질 토양의 침적물 제거 및 교체 필요.
• 자갈층과 모래층의 배수 기능 점검.
4. 교육 및 주민 참여:
• 지역 주민들에게 빗물정원의 중요성을 알리고 관리에 참여하도록 유도.
• 공동체 활동으로 정원의 지속 가능성을 높임.
결론
빗물정원은 도시 내 물 순환 개선, 열섬효과 완화, 홍수 예방 등 다목적 기능을 수행하는 친환경 시설입니다. 올바른 설계와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진다면 도시 환경 개선과 생태적 균형 유지에 크게 기여할 수 있습니다.



4. 수질정화를 위한 습지 조성 시 고려사항과 조성기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수질정화를 위한 습지 조성 시 고려사항과 조성기법
1. 고려사항
수질정화를 목적으로 한 습지 조성은 환경적, 기술적, 생태적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1. 입지 조건:
• 수원의 확보: 습지가 하천, 저수지 등 수체와 가까워야 하며, 유입수량과 수질이 적절히 관리될 수 있어야 함.
• 토양 특성: 점토질 토양이 적합하며, 투수성이 낮아 물이 쉽게 스며들지 않는 지역이 유리.
• 지형: 경사가 완만한 지역(5% 이하)이 이상적이며, 배수가 원활해야 함.
2. 생태적 요소:
• 수생식물 활용: 갈대, 창포, 부레옥잠 등 수생식물은 유기물 분해와 영양염류 흡수를 통해 수질 정화에 기여.
• 생물다양성: 야생동물의 서식지를 제공하고 생태계를 복원할 수 있는 설계가 필요.
3. 기술적 설계:
• 체류시간: 물이 습지에서 충분히 머물러 오염물질이 침전 및 정화될 수 있도록 체류시간(6~48시간)을 확보.
• 수심 관리: 얕은 습지(0.10.3m)와 깊은 습지(0.31.0m)를 조합하여 다양한 수생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설계.
4. 경제성과 유지관리:
• 설치비와 운영비를 최소화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시스템을 도입해야 함.
2. 조성기법
효율적인 수질정화를 위해 다양한 기술과 생태적 접근을 결합한 방법을 사용합니다.
3. 습지 유형 구성:
• 얕은 습지와 깊은 습지 병행:
• 얕은 습지는 식물 뿌리와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고 영양염류를 흡수.
• 깊은 습지는 침전 및 산소 교환을 통해 정화 기능을 보완.
• 연못형 습지:
• 개방된 수역을 포함하여 경관미를 높이고 생물 서식지를 제공.
2. 정화 시스템 설계:
• 다공성 세라믹과 같은 매체를 활용하여 질소, 인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
• 미생물(예: 바실러스, 로도박터)을 활용한 산화·탈질 반응으로 유기물을 분해하고 영양염류를 제거.
3. 식재 설계:
• 정화 능력이 높은 식물을 선정하여 식재.
• 예: 갈대, 꽃창포(영양염류 흡수), 부레옥잠(부유성 식물), 개구리밥(표면 정화).
• 식재 밀도와 위치를 조절하여 최대한의 정화 효과를 도모.
4. 자연 친화적 설계:
• 직사각형 등 인공적인 형태는 지양하고,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자연스러운 형태로 설계.
3. 관리방안
습지가 지속적으로 수질정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정기적인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5. 유입수 모니터링:
• 유입되는 물의 양과 오염도를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적절히 조절.
2. 식생 관리:
• 과도하게 번식한 식물을 제거하고 새로운 식물을 보충하여 생태계를 유지.
• 병충해 방제 및 식물 건강 상태 점검.
3. 퇴적물 관리:
• 침전된 퇴적물을 주기적으로 제거하여 배수 기능 유지.
4. 시스템 유지보수:
• 세라믹 매체나 배관 시스템의 손상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 시 교체.
결론
수질정화를 위한 습지는 입지 조건, 생태적 요소, 기술적 설계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조성해야 하며, 지속적인 유지관리로 그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도시 내 물 순환 개선과 생태계 복원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5. 뉴욕 하이라인(High Line) 공원의 식재공사, 바닥포장공사 및 시설물 공사의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뉴욕 하이라인(High Line) 공원의 식재공사, 바닥포장공사 및 시설물 공사의 특징
1. 식재공사
• 다양한 식재 계획:
• 고가철로라는 특수한 조건으로 인해 토심이 얕은 구간에는 지피류와 초화류를, 토심이 깊은 구간에는 교목과 관목을 식재하여 경관적 다양성을 확보.
• 기존 철로 위에 자생했던 야생식물을 활용하여 자연스러운 식재를 구현.
• 방향성 있는 식재:
• 철로의 선형 구조를 강조하기 위해 식물 배치를 길게 늘어뜨려 속도감 있는 디자인을 연출.
• 현지 초화류 활용:
• 지역 생태계를 고려하여 현지에서 적응력이 높은 식물 약 200종을 사용,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하고 생태적 지속 가능성을 강화.
2. 바닥포장공사
• 콘크리트 블록 포장:
• 열린 이음매(open joint) 방식으로 설계된 콘크리트 널(Linear Concrete Plank)을 사용하여 빗물이 스며들 수 있는 투수성을 확보함.
• 철로의 방향성을 반영한 패턴으로 포장하여 공간의 역사적 맥락을 강조.
• 식재와의 조화:
• 포장재 사이 틈을 남겨 지피류를 심음으로써 자연과 인공 요소가 조화를 이루도록 설계.
• 다양한 포장 패턴:
• 산책로와 휴식 공간을 구분하기 위해 포장 패턴에 변화를 주어 공간의 기능성을 높임.
3. 시설물 공사
• 통합적 디자인:
• 벤치, 음수대, 자전거 거치대 등 시설물의 크기와 형태를 바닥 블록 폭에 맞춰 통일감 있게 설계.
• 다양한 휴식 공간:
• 일반 벤치 외에도 극장식 좌석과 독특한 형태의 휴식 공간을 배치하여 이용자 경험을 다양화.
• 기존 철도 구조 활용:
• 철도의 일부를 남겨 역사적 장소성을 강조하고, 이를 자전거 거치대나 분수대 등으로 재활용.
• 전망대 설치:
• 뉴욕 거리와 허드슨 강을 조망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도시와 자연의 연결성을 제공.
결론
뉴욕 하이라인 공원은 고가철로라는 독특한 장소성을 살려 식재, 바닥포장, 시설물을 통합적으로 설계했습니다. 자연과 인공 요소가 조화를 이루는 디자인은 도시 재생의 성공 사례로 평가받으며, 전 세계적으로 많은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6. 실내식물의 공기정화 메커니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실내식물의 공기정화 메커니즘
1. 공기정화의 주요 원리
실내식물은 다양한 생리적 작용과 토양 미생물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실내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공기를 정화합니다.
1. 잎을 통한 오염물질 흡수:
• 식물의 잎은 기공을 통해 이산화탄소(CO₂), 일산화탄소(CO),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등 오염물질을 흡수합니다.
• 흡수된 물질은 광합성 과정에서 대사산물로 전환되거나 식물체 내에서 저장됩니다.
2. 뿌리와 토양 미생물의 역할:
• 식물 뿌리는 토양 내 미생물과 상호작용하여 오염물질(휘발성유기화합물, 중금속 등)을 분해합니다.
• 뿌리에서 분비되는 물질은 특정 미생물이 번식하도록 유도하며, 이 미생물이 오염물질 제거에 기여합니다.
3. 증산작용 및 음이온 방출:
• 증산작용으로 수분을 방출하며 실내 습도를 조절하고, 초미세먼지(PM2.5)와 같은 부유먼지를 제거합니다.
• 식물이 방출하는 음이온은 양이온을 띠는 오염물질과 결합하여 중화시키거나 침강시킵니다.
4. 산소 및 휘발성 물질 방출:
• 광합성을 통해 산소(O₂)를 방출하며, 일부 식물은 항균성과 심리적 안정 효과를 주는 휘발성 물질(피톤치드 등)을 방출합니다.
2. 공기정화 효과를 극대화하는 요인
3. 광량 증가:
• 빛이 많을수록 광합성이 활발해져 공기정화 능력이 향상됩니다.
2. 적절한 화분 관리:
• 뿌리가 충분히 호흡할 수 있도록 배수가 잘 되는 토양과 지피재를 사용하면 정화 능력이 증가합니다.
3. 식물 종류:
• 스킨답서스, 산세베리아, 아레카야자, 관음죽 등은 포름알데히드, 벤젠, 암모니아 등의 제거에 효과적입니다.
3. 실내 공기정화의 한계와 보완
• 공기정화 효과는 식물 크기와 밀도에 따라 제한적이며, 실내 전체 공기를 정화하려면 다수의 식물이 필요합니다.
•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식물을 배치할 때 빛 조건을 개선하거나 인공조명(식물등)을 활용하면 정화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결론
실내식물은 잎과 뿌리를 통한 오염물질 흡수, 토양 미생물과의 상호작용, 증산작용 등을 통해 실내 공기를 정화하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효과적인 관리와 적절한 환경 조성을 통해 이러한 기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총 6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 25점)
1. 도시 하천 복원의 생태적·사회적 중요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도시 하천 복원의 생태적·사회적 중요성
1. 생태적 중요성
도시 하천 복원은 생태계 건강성을 회복하고, 자연과 인간이 공존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1. 생물다양성 회복:
• 복원된 하천은 다양한 동식물에게 서식지와 번식지를 제공합니다.
• 예: 물고기, 양서류, 조류, 곤충 등이 다시 하천으로 돌아오며 생물다양성이 증대.
• 외래종의 비율을 낮추고 자연종의 정착을 돕는 효과도 있습니다.
2. 수질 개선:
• 하천에 유입되는 오염원을 차단하고, 습지와 같은 자연 정화 시스템을 활용해 수질을 개선합니다.
• 여울·소 조성 및 수생식물 식재를 통해 물의 자정 능력을 강화합니다.
3. 물 순환 복구:
• 콘크리트로 덮인 하천을 복원하면 빗물을 흡수·저장하여 지하수 자원을 보충하고, 홍수 및 가뭄 위험을 줄입니다.
• 물의 자연스러운 흐름이 회복되어 도시와 농촌 지역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4. 기후 변화 대응:
• 복원된 하천은 도시 열섬현상을 완화하고, 탄소 흡수 및 공기 정화를 통해 기후 회복력을 강화합니다.
• 물의 증발냉각 효과로 주변 온도를 낮추는 데 기여합니다.
2. 사회적 중요성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사회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이 도시 하천 복원의 또 다른 중요한 측면입니다.
3. 친수공간 제공:
• 복원된 하천 주변에 산책로, 공원, 휴식 공간 등을 조성하여 도시민들에게 여가와 휴식을 제공합니다.
• 예: 서울 청계천 복원 사례는 주민들에게 자연과 교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삶의 질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2. 정신적·심리적 안정:
• 자연과 접촉함으로써 스트레스 해소와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합니다.
• 특히 녹지와 물길은 도시민들에게 정서적 안정과 건강 증진 효과를 가져옵니다.
3. 지역경제 활성화:
• 복원된 하천은 관광객 유치와 지역 상권 활성화를 도모하며, 경제적 가치를 창출합니다.
• 예: 청계천 복원은 도시 이미지를 개선하고 관광 명소로 자리 잡아 경제적 파급 효과를 가져왔습니다.
4. 공동체 활성화:
• 하천 주변에서 주민 간 교류가 촉진되며 지역 공동체가 활성화됩니다.
• 생태 탐방로와 역사·문화 시설 조성은 주민 참여를 유도하고 지역 정체성을 강화합니다.
결론
도시 하천 복원은 단순한 환경 개선을 넘어 생태계 건강성과 도시민 삶의 질을 동시에 증진시키는 다목적 전략입니다. 생물다양성 회복, 수질 개선, 기후 변화 대응 등 생태적 이점과 함께 친수공간 제공, 지역경제 활성화 등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며,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2. 커뮤니티 가든과 도시 농업을 비교하고, 역할과 잠재적 확장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커뮤니티 가든과 도시농업의 비교 및 역할과 잠재적 확장성
1. 개념적 특성
커뮤니티 가든은 도시 내 유휴 공간을 활용해 주민들이 공동으로 작물을 재배하며 사회적 교류를 목적으로 하는 반면, 도시농업은 식량 생산과 환경 개선을 주요 목표로 하는 농업 활동입니다.
2. 역할
(1) 커뮤니티 가든의 역할
1. 사회적 역할:
• 주민 간 상호작용과 신뢰를 형성하며 공동체 의식을 강화
• 세대와 문화 간 교류를 촉진하고 지역사회의 유대감을 증진
2. 환경적 역할:
• 유휴지를 녹지로 전환하여 생태적 가치를 증대
• 도시 내 생물다양성을 증진하고 미세먼지 저감에 기여
3. 경제적 역할:
• 자가소비형 모델을 통한 식비 절감
• 일자리 창출 잠재력 보유
(2) 도시농업의 역할
3. 식량 생산 및 자급자족:
• 도심에서 직접 식량을 생산하여 식량 안보와 자급률 향상
2. 환경 개선 및 기후변화 대응:
• 열섬현상 완화, 탄소 흡수 및 물 순환 개선
• 도시 생태계 복원에 기여
3. 사회적 통합과 교육:
• 치유농업을 통한 사회적 약자 지원
• 도농 상생의 장 마련
4. 경제 활성화:
• 도시농업공원, 농부시장 등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
• 새로운 일자리 창출
3. 잠재적 확장성
(1) 커뮤니티 가든의 확장 가능성
• 주민 참여형 교육 공간으로 발전
• 치유 및 재활 프로그램과 연계
• 도시재생 프로젝트와 융합 가능
(2) 도시농업의 확장 가능성
• 스마트 농업 기술과 접목
• 먹거리숲, 다목적 농업공원 조성
• 기후변화 대응 및 지속 가능한 식량 시스템 구축에 기여
결론
커뮤니티 가든과 도시농업은 각각 사회적 교류와 식량 생산이라는 고유의 특성을 가지면서도, 도시 환경 개선과 지속 가능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두 활동은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며, 미래 도시의 생태적, 사회적 혁신을 이끌어갈 잠재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3. 내건(Xeriscape) 조경공간 조성 및 유지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내건(Xeriscape) 조경공간 조성 및 유지관리 방법
1. 내건조경의 개념
• **내건조경(Xeriscape)**은 물 사용을 최소화하고 가뭄에 강한 식물과 설계를 통해 환경적 지속 가능성을 추구하는 조경 방식입니다.
• “Xeriscape”는 그리스어 “xeros(건조)“와 “scape(풍경)“의 합성어로, 물이 부족한 지역에서 적합한 조경 디자인을 의미합니다.
2. 조성 방법
1. 식물 선택:
• 가뭄에 강하고 물 소비가 적은 내건성 식물을 사용합니다.
• 예: 선인장, 다육식물, 라벤더, 타임, 억새 등.
• 물 필요량에 따라 식물을 구역별로 분류하여 효율적으로 배치.
2. 토양 관리:
• 토양의 투수성과 보수성을 개선하기 위해 유기물(퇴비) 혼합.
• 물이 쉽게 스며들도록 경사를 조정하거나 배수 시스템 설치.
3. 멀칭(Mulching):
• 토양 표면에 나무껍질, 자갈, 마사토 등을 덮어 수분 증발을 억제하고 잡초 발생을 방지.
• 멀칭은 토양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장기적으로 물 절약 효과를 제공합니다.
4. 효율적인 관수 시스템:
• 점적 관수(Drip Irrigation)와 같은 정밀 관수 시스템을 도입하여 최소한의 물로 최대 효과를 냅니다.
• 빗물 재활용 시스템을 설치해 자연 자원을 활용.
5. 디자인 전략:
• 가장자리 효과(edge effect)를 활용하여 생태적 다양성을 높이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
• 자연 천이 과정을 반영해 시간이 지날수록 유지관리가 줄어드는 자립적 생태계를 조성.
3. 유지관리 방법
3. 관수 관리:
• 초기에는 뿌리 내림을 돕기 위해 적절히 물을 공급하되, 이후에는 관수를 최소화.
• 빗물과 재활용수를 활용하여 물 소비를 줄임.
2. 식물 관리:
• 내건성 식물은 일반적으로 병충해에 강하지만, 정기적으로 상태를 점검하고 필요 시 가지치기.
• 잡초 제거를 통해 식물 간 경쟁을 줄이고 수분 손실 방지.
3. 토양 및 멀칭 관리:
• 멀칭 재료는 주기적으로 보충하여 수분 보존 효과를 유지.
• 토양의 배수 상태와 영양 상태를 점검하고 필요 시 개량.
4. 시설물 유지:
• 점적 관수 시스템과 빗물 저장 시설의 작동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
• 배수구와 경사면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보완 작업 실시.
4. 결론
내건조경은 물 부족 문제 해결과 환경 보호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조경 방식입니다. 가뭄에 강한 식물을 활용하고 효율적인 관수와 토양 관리를 통해 유지 비용과 자원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기후 변화와 도시화로 인한 물 부족 문제에 대응하는 효과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4. 생태네트워크의 개념, 유형, 구성원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생태네트워크의 개념, 유형, 구성원리
1. 생태네트워크의 개념
• 생태네트워크(Eco-Network)는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생물다양성을 보존하고 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공간적 계획입니다.
• 이는 산재된 서식지와 생육공간을 연결해 생물종의 이동과 유전자 교류를 촉진하며, 국토와 도시의 환경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
2. 생태네트워크의 유형
1. 도시생태네트워크:
• 도시 내 공원, 녹지, 하천 등을 연결하여 도시 생태계를 복원하고 열섬현상 완화 및 주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함.
2. 광역생태네트워크:
• 백두대간, 비무장지대(DMZ) 등과 같은 대규모 자연축을 중심으로 국토 차원의 생태계 연결성을 확보.
3. 지구생태네트워크:
•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생물다양성 보전 지역을 연결하여 지구적 차원의 환경 보전을 실현.
4. 기능별 네트워크:
• 산림녹지 네트워크, 하천습지 네트워크, 연안갯벌 네트워크 등 특정 생태적 기능을 중심으로 설계.
3. 생태네트워크의 구성원리
생태네트워크는 다음과 같은 주요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설계됩니다:
3. 핵심지역(Core Area):
• 다양하거나 희귀한 생물종이 서식하는 주요 서식지로, 번식, 먹이 확보, 휴식 등 생물종 유지에 필수적인 공간.
• 예: 보호구역, 철새도래지, 멸종위기종 서식지.
2. 거점지역(Stepping Stone):
• 핵심지역 사이에 분포하며, 소규모 서식지로서 생물종 이동과 분포 확대를 돕는 역할.
• 상대적으로 보전 가치가 높은 지역.
3. 생태적 코리더(Corridor):
• 핵심지역과 거점지역을 연결하는 선형 공간으로, 생물 이동 경로와 유전자 교류 통로 역할.
• 형태: 징검다리형(점), 선형(하천·녹도), 면적형(습지).
4. 완충지역(Buffer Zone):
• 핵심지역과 코리더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완충 역할.
• 예: 농경지 주변 녹지대.
5. 복원·창출 지역(Restoration Area):
• 훼손된 서식지를 복원하거나 새로운 서식지를 조성하여 네트워크 효과를 증진.
4. 생태네트워크의 중요성
5. 생물다양성 보전:
• 단절된 서식지를 연결하여 종 다양성을 증진하고 멸종 위험을 줄임.
2. 생태계 연속성 확보:
• 산림, 하천, 습지 등을 연결해 유기적인 생태계 기능을 회복.
3. 환경적·경제적 효용성:
• 오염물질 정화, 탄소 흡수 등 환경 서비스 제공.
• 관광 및 교육 자원으로 활용 가능.
4. 보전과 개발의 조화:
• 지속 가능한 개발과 환경 보전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도구로 작용.
결론
생태네트워크는 단순히 자연보호를 넘어 국토와 도시를 하나의 유기체로 통합 관리하는 전략입니다. 이를 통해 생물다양성을 증진하고 환경문제를 해결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반을 제공합니다.



5. 그린벨트가 도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그린벨트가 도시에 미치는 영향
1. 긍정적 영향
1. 도시 확산 방지 및 균형적 성장:
• 그린벨트는 도시의 무질서한 확장(스프롤 현상)을 제한하여 도시의 압축적이고 계획적인 성장을 유도합니다.
• 이는 교외 지역의 난개발을 방지하고, 도시 내 기반시설의 효율적 활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2. 자연환경 및 생태계 보호:
• 그린벨트는 숲과 녹지를 유지하며 야생 동물과 식물의 서식지를 보존하고 생태계를 복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 기후 변화 대응에 효과적이며, 대기오염 물질(미세먼지, 일산화탄소 등)을 줄이고 도시 열섬현상을 완화합니다.
3. 시민 생활환경 개선:
• 그린벨트는 도시민들에게 깨끗한 공기를 제공하고, 여가와 휴식을 위한 공간을 제공합니다.
• 이는 시민들의 정신적·신체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2. 부정적 영향
3. 주택 공급 제한 및 부동산 가격 상승:
• 그린벨트는 토지 개발을 제한하여 주택 및 인프라 공급 부족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이는 도시 내 주택가격과 토지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킵니다.
2. 도시 내부 고밀화와 교통 혼잡:
• 개발이 제한된 그린벨트로 인해 도심 내부가 고밀화되며, 이에 따른 교통 혼잡과 대기오염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특히, 직장과 주거지가 분리되는 직주 분리 현상이 심화되어 통근 거리가 늘어나고 자동차 사용량이 증가합니다.
3. 지역 간 불균형:
• 그린벨트 외곽 지역은 개발이 집중되며 성장하지만, 기존 도심은 쇠퇴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이는 지역 간 경제적 격차를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3. 결론
그린벨트는 도시 확산 방지와 자연환경 보전이라는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하지만, 주택 공급 부족과 교통 혼잡 등 부작용도 동반됩니다. 따라서 그린벨트를 유지하면서도 도시 내 균형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지속 가능한 관리와 정책 조정이 필요합니다.



6.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돌발해충과 관련하여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 해충의 생태학적 구분
2) 돌발해충의 관리 방안
 

1) 돌발해충의 생태학적 구분
돌발해충은 특정 시기나 장소에서 갑작스럽게 대량 발생하여 농작물, 산림, 도시 환경 등에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생태학적 기준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1. 발생 특성에 따른 구분:
• 토착 해충: 원래 지역에서 서식하다가 환경 변화로 인해 대량 발생하는 해충.
• 예: 꽃매미, 갈색날개매미충.
• 외래 해충: 해외에서 유입되어 국내 생태계에 정착한 해충.
• 예: 미국선녀벌레.
2. 피해 양상에 따른 구분:
• 식엽성 해충: 잎을 갉아먹는 해충(예: 솔잎혹파리).
• 흡즙성 해충: 식물의 즙액을 빨아먹는 해충(예: 진딧물, 매미충류).
• 산란성 해충: 산란 과정에서 나무 껍질이나 줄기에 피해를 주는 해충.
3. 발생 주기에 따른 구분:
• 주기적 발생 해충: 특정 주기로 대량 발생하는 해충.
• 비주기적 발생 해충: 환경 변화나 특정 조건에서 불규칙적으로 발생.
4. 서식지에 따른 구분:
• 농경지, 산림지, 도시 지역 등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생하며, 특정 지역을 넘어 확산되는 경향이 있음.
2) 돌발해충의 관리 방안
돌발해충은 급격히 확산되며 피해를 주기 때문에 생태적, 화학적, 물리적 방제 방법을 통합적으로 적용해야 합니다.
(1) 예방 및 예찰
• 예찰 활동 강화:
• 병해충 발생 조사를 통해 초기 확산을 방지(농촌진흥청의 위기관리 체계 활용).
• 월동란 부화 시기 및 성충 출현 시기를 중심으로 모니터링.
• 취약지역 관리:
• 과거 피해 지역 중심으로 집중 예찰 및 방제 기술 지원.
(2) 생물학적 방제
• 천적 활용:
• 미국선녀벌레의 경우 선녀벌레집게벌과 같은 기생천적을 활용.
• 병원성 미생물:
• 곤충병원균(바실러스 등)을 이용한 친환경 방제 기술 적용.
(3) 물리적 방제
• 월동란 제거:
• 겨울철 가지나 줄기에 붙은 알을 긁어내거나 소각하여 부화를 차단.
• 트랩 설치:
• 유인식물이나 페로몬 트랩을 활용해 성충 포획.
(4) 화학적 방제
• 적기 살포:
• 약충기(56월)와 성충기(710월)에 맞춰 살충제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방제.
• 친환경 약제 사용:
• 식물추출액 기반의 친환경 살충제를 개발·활용하여 환경 피해를 최소화.
(5) 공동방제
• 농경지와 산림지를 구분하지 않고 인근 지역까지 포함한 협업 방제를 통해 확산 차단.
• 지자체와 농업인 간 협력 체계를 구축하여 방제 작업 효율화.
(6) 장기 대책
• 기후변화 대응:
• 기후 변화로 인한 돌발해충 확산 가능성을 고려한 종합 관리 계획 수립.
• 연구·개발:
• 돌발해충의 생태 특성과 방제 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대응책 마련.
결론
돌발해충은 생태계 변화와 국제 교역 증가로 인해 빈번히 발생하며 농업과 산림에 큰 피해를 줍니다.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예방부터 화학적·생물학적 방제까지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특히, 공동방제와 친환경 기술 개발은 지속 가능한 관리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