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3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10점) 1.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에 관한 규칙」 상 인증 대상, 인증 등급별 기준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에 관한 규칙」에 따르면, 인증 대상과 인증 등급별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인증 대상 인증 대상은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개별시설: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제7조에 따른 대상시설로서, 건축물, 공원, 여객시설, 교통수단, 도로 등이 포함됩니다.지역: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제7호에 따른 지역으로, 특정 구역 내의 생활환경을 의미합니다.
2. 인증 등급별 기준 인증 등급은 평가 점수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최우수 등급: 인증 기준 만점의 90% 이상우수 등급: 인증 기준 만점의 80% 이상 90% 미만일반 등급: 인증 기준 만점의 70% 이상 80% 미만 또한, 개별시설의 경우 인증 기준의 항목별 최소기준 이상을 충족해야 하며, 이를 충족하지 못할 경우 인증 등급이 부여되지 않습니다.
2.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녹지지역, 용도지구의 구분과 지정 목적
1. 녹지지역의 구분 및 지정 목적 녹지지역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6조에 따라 도시 내 쾌적한 환경 조성과 도시의 자연적 보전 등을 목적으로 지정됩니다. 녹지지역은 용도에 따라 다음 세 가지로 구분됩니다: 보전녹지지역목적: 자연환경 보전 및 생태계 보호용도: 주거 및 상업적 이용이 제한되며, 환경 보전 목적 시설만 허용생산녹지지역목적: 도시 내 농업, 임업 등의 생산 활동 보전용도: 일정한 농업 생산 시설 설치 가능자연녹지지역목적: 도시의 경관 유지 및 완충 역할용도: 일부 제한된 개발 허용 (저밀도 주택, 공원 등)
2. 용도지구의 구분 및 지정 목적 용도지구는 도시계획에서 특정한 용도를 강조하거나 제한하기 위해 설정하는 구역입니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7조에 따라 지정되며, 주요 구분과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경관지구: 아름다운 경관 유지고도지구: 건축물 높이 제한을 통해 도심 경관 관리방화지구: 화재 위험 방지방재지구: 자연재해 예방개발진흥지구: 균형 있는 개발 촉진복합용도지구: 다양한 기능의 융합 유도취락지구: 기존 농어촌 주거지 보호 녹지지역과 용도지구는 도시 환경의 지속 가능한 관리와 개발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 도시자연공원구역의 지정에 관한 기준
도시자연공원구역의 지정 기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6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2조에 따라 도시자연공원구역은 도시 내에서 자연환경 보전과 시민의 여가·휴식 공간 제공을 목적으로 지정됩니다. 구체적인 지정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자연환경 보호 목적 산림, 초지, 하천 등 자연적 지형과 환경이 잘 보전된 지역 생태적 가치가 높은 지역으로서 보전 필요성이 큰 구역
2. 도시 경관 유지 목적 도시 경계부나 주변 지역의 경관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구역 도시 내 녹지 공간으로서 도시 미관 및 환경 개선 효과가 있는 지역
3. 시민 여가·휴식 공간 제공 도시민이 자연 속에서 휴식 및 레크리에이션을 즐길 수 있는 지역 접근성이 좋은 위치에 있어 공원으로서 기능하기 적합한 지역
4. 개발 제한 필요성 도시 개발로 인해 훼손 우려가 있는 자연 환경 환경 보전 및 난개발 방지를 위해 개발 제한이 필요한 지역
5. 기타 지정 요건 도시계획 수립 시 필요성이 인정되는 구역 환경영향평가 등 관련 법령에서 요구되는 기준을 충족하는 지역
4. 지역주의(Regionalism)와 맥락주의(Contextism)
지역주의(Regionalism)
정의: 지역주의는 특정 지역의 고유한 환경, 기후, 문화, 전통, 그리고 역사적 맥락을 반영하여 디자인과 계획을 수립하는 접근 방식입니다.
특징:자연적 요소(기후, 지형, 토양 등)와 밀접한 관계 지역의 역사적 맥락과 전통적인 건축 양식을 존중 재료와 기술 또한 지역 자원을 활용하는 경향 외부적 획일화에 반대하고 지역 정체성을 강화
예시:스페인의 안토니 가우디가 설계한 건축물은 지형과 자연적 모티프를 반영한 지역주의적 사례입니다. 한국 한옥의 처마 설계는 기후와 자연환경에 최적화된 디자인입니다.
맥락주의(Contextualism)
정의: 맥락주의는 특정 건축물이나 디자인이 주변 환경(물리적, 사회적, 역사적, 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여 조화롭게 계획되도록 하는 접근 방식입니다.
특징:주변 건축물, 공간적 흐름, 사회적 가치와의 조화 중시 반드시 지역적 특색에 국한되지는 않음 현대적 디자인 요소와 전통적 맥락의 균형 추구 맥락을 ‘시간’과 ‘공간’ 모두에서 이해
예시:현대 건축에서 기존 건물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파사드 디자인을 통일하는 사례 유럽의 오래된 도심 지역에서 현대적 재개발이 기존 골목과 조화를 이루도록 설계하는 접근
두 접근 방식은 조경 및 건축 분야에서 지역 특성과 주변 맥락을 고려하여 지속 가능한 디자인을 추구할 때 중요한 철학적 기초로 활용됩니다.
5. SWOT 분석을 통한 계획 반영 전략
SWOT 분석은 기업의 내부 환경(강점과 약점)과 외부 환경(기회와 위협)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전략을 수립하는 데 활용되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SWOT 분석 결과를 계획에 반영하는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1. SO 전략 (강점-기회 전략) 강점을 활용하여 기회를 최대한 활용하는 공격적인 전략입니다. 핵심 역량과 시장 트렌드를 적극 활용하여 시장을 확장합니다.예를 들어, 스타벅스의 경우 강력한 브랜드 인지도를 활용하여 새로운 시장으로 확장할 수 있습니다.
2. ST 전략 (강점-위협 전략) 강점을 이용하여 외부 위협을 극복하거나 회피하는 전략입니다. 자사의 핵심 역량으로 외부의 위협을 돌파합니다.예를 들어, 현대자동차는 다양한 차량 라인업을 활용하여 글로벌 경쟁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3. WO 전략 (약점-기회 전략) 약점을 보완하여 기회를 활용하는 전략입니다. 시장의 흐름이 좋을 때 약점을 보완하여 기회를 살립니다. 예를 들어, 넷플릭스는 지역 제한 콘텐츠라는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글로벌 확장 기회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4. WT 전략 (약점-위협 전략) 약점을 보완하고 위협을 최소화하는 가장 방어적인 전략입니다. 기업들의 원가 절감, 사업 축소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예를 들어, 스타벅스는 경제 침체 시 가격 경쟁력 향상을 위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전략 수립 및 실행 단계 목적과 목표 설정: 분석의 목적과 달성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목표를 명확히 합니다. SWOT 요소 파악: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각 요소를 식별합니다 우선순위 설정: 가장 중요하고 영향력 있는 요소들을 선별합니다 전략 도출: SO, ST, WO, WT 전략을 구체적으로 수립합니다 실행 계획 수립: 도출된 전략을 바탕으로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실행 계획을 수립합니다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피드백: 급변하는 외부 환경을 고려하여 지속적으로 전략을 검토하고 보완합니다
SWOT 분석을 통한 전략 수립 시 주의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시장 조사를 바탕으로 분석해야 합니다.강점과 약점은 경쟁사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2.외부 환경 요인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분석에 반영해야 합니다. SWOT 분석을 통해 도출된 전략은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해야 하며, 주요 성과 지표(KPI)를 설정하여 측정 가능하도록 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자사의 강점을 극대화하고 약점을 보완하며, 시장의 기회를 활용하고 위협에 대비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6. CODIT(Compartmentalization Of Decay In Trees) 이론
CODIT(Compartmentalization Of Decay In Trees) 이론은 나무가 상처를 입었을 때 부후(Decay)나 손상(Damage)을 최소화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방어벽을 형성하여 건강한 조직을 보호하는 자기방어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개념입니다. 이 이론은 미국의 식물병리학자 알렉스 시고(Alex Shigo)에 의해 1977년에 개발되었습니다.
CODIT의 주요 내용
CODIT 모델에 따르면, 나무는 네 가지 방향으로 방어벽(Wall)을 형성하며, 이를 통해 감염된 조직과 건강한 조직을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분리합니다. 이 방어벽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1. Wall 1 (세로 방향 방어벽) - 도관(xylem)과 같은 수직 전도 조직을 폐쇄하여 부후가 상하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합니다. - 이는 가장 약한 방어벽이며, 티로시스(tylosis), 폴리페놀(polyphenolic) 침착물, 항진균 물질 등을 통해 형성됩니다
2. Wall 2 (나이테 방어벽) - 나이테의 마지막 층에 위치한 두꺼운 세포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후가 중심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 이 벽은 Wall 1보다 강하지만 연속적이지 않아 약점이 존재합니다
3. Wall 3 (방사 방향 방어벽) - 줄기의 축에 수직으로 배열된 방사 조직(ray cells)에 의해 형성되며, 부후가 나무의 둘레를 따라 퍼지는 것을 제한합니다. - 일부 방사 세포는 화학적으로 변화하여 미생물에 독성을 가지게 됩니다. Wall 3은 초기에는 가장 강력한 벽으로 작용합니다 4. Wall 4 (장벽 구역) - 새롭게 형성된 외부 조직으로 이루어진 벽으로, 감염된 조직을 완전히 격리시킵니다. - 가장 강력한 방어벽이며, 감염이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상처를 봉합하는 역할을 합니다
CODIT의 의의 CODIT 이론은 나무가 상처를 입었을 때 단순히 수동적으로 부패를 겪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손상을 격리하고 건강한 조직을 보호하려는 복잡한 생리적 반응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개념은 수목 관리 및 전정(pruning)과 같은 실무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잘못된 전정으로 방어벽이 파괴되면 부후가 급속히 확산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7. 내셔널 트러스트(National Trust)
내셔널 트러스트(National Trust)는 1895년 영국에서 설립된 비영리 단체로, 자연과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관리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이 단체는 변호사 로버트 헌터(Robert Hunter), 사회 활동가 옥타비아 힐(Octavia Hill), 목사 하드윅 론즐리(Canon Hardwicke Rawnsley) 세 사람에 의해 창립되었습니다
주요 목적과 활동 - 보존 대상: 내셔널 트러스트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건물, 정원, 성, 유적지, 해안선, 농장 등 다양한 자연 및 문화유산을 관리합니다. 현재 약 25만 헥타르의 토지와 780마일 이상의 해안선, 600여 개의 역사적 건물과 유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운영 방식: 시민들의 자발적인 기부와 헌금을 통해 유산을 매입하고 이를 영구적으로 보존합니다. 이러한 자산은 "양도불능의 원칙"에 따라 개인이나 국가가 소유할 수 없으며, 시민 공동체의 자산으로 유지됩니다 - 법적 기반: 1907년 제정된 국민신탁법(National Trust Act)은 내셔널 트러스트가 확보한 유산의 영구 보전을 법적으로 보장하며, 이를 통해 단체는 강력한 공적 권한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역사적 발전 - 초기에는 소규모로 시작했으나, 20세기 중반 이후 회원 수와 자산이 급격히 증가하며 영국 최대의 NGO로 성장했습니다. 예를 들어, 1956년 시작된 넵튠 프로젝트(해안선 보전 운동)는 대중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며 조직의 성장을 가속화했습니다 - 대표적인 사례로는 동화 작가 베아트릭스 포터(Beatrix Potter)가 자신의 재산을 기부하여 레이크 디스트릭트(Lake District)의 자연을 보존한 것이 있습니다. 또한, 비틀즈 멤버 존 레논의 집도 내셔널 트러스트에 기증되어 관리되고 있습니다
국제적 확장 2007년에는 세계 내셔널 트러스트 기구(INTO)가 설립되면서, 내셔널 트러스트 운동은 전 세계 30여 개국으로 확산되었습니다. 이는 자연 및 문화유산 보전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내셔널 트러스트는 단순히 유산을 보존하는 것을 넘어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소유하는 모델을 제시하며, 현대에도 지속 가능한 보전 운동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8. 시공책임형 건설사업관리(CMR: CM at Risk)
시공책임형 건설사업관리(CM at Risk, CMR)는 건설 프로젝트에서 설계와 시공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며, 시공사가 설계단계부터 참여하여 설계 품질을 높이고 시공 리스크를 줄이는 발주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기존의 설계-시공 분리 발주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주요 특징
1. 설계단계부터 시공사 참여: - 시공사는 설계단계에서부터 참여하여 자신의 시공 경험과 노하우를 설계에 반영합니다[2][4]. - 이를 통해 설계 오류를 줄이고, 설계 변경으로 인한 공사비 증가와 공기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2. 공사비 상한(GMP) 설정: - 발주자와 시공사가 공사비 상한(Guaranteed Maximum Price)을 사전에 합의하며, 이를 초과하지 않도록 책임을 집니다 - 공사비 절감분은 발주자와 시공사가 일정 비율로 공유할 수도 있습니다
3. 통합적 관리: - 시공사는 건설사업관리 업무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시공 책임도 수행하며, 프로젝트의 모든 단계에서 품질, 비용, 일정 관리를 통합적으로 담당합니다
4. 협업 중심: - 발주자, 설계자, 시공자가 초기 단계부터 협력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함으로써 분쟁 가능성을 줄이고 프로젝트의 효율성을 높입니다
기대 효과
- 설계 품질 향상: BIM 등 신기술 활용으로 설계 완성도를 높이고 오류를 줄임. - 리스크 감소: 설계 변경과 공사비 증가 리스크를 줄이며, 공기 지연을 방지. - 투명성 강화: 공사비 내역 공개와 GMP 설정으로 사업 관리의 신뢰성을 증대. - 효율적 비용 관리: 공사비 절감분 공유로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비용 절감을 도모
도입 배경
기존의 설계-시공 분리 발주는 표준화된 공사를 수행하는 데 유리하지만, 설계 단계에서 시공 리스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해 잦은 설계 변경과 분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대형화·복잡화되는 건설 프로젝트에 대응하기 위해 CMR 방식이 도입되었습니다
시공책임형 CM은 특히 대형 프로젝트나 복잡한 건설 사업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되며, 국내외에서 점차 확대되고 있는 발주 방식입니다.
수동적 복원(Passive Restoration)과 능동적 복원(Active Restoration)은 훼손된 생태계를 복구하기 위한 두 가지 주요 접근 방식으로, 각각의 특징과 활용 방식이 다릅니다.
수동적 복원 (Passive Restoration) - 정의: 자연적인 회복 과정을 지원하거나 방해 요소를 제거하여 생태계가 스스로 복원되도록 하는 접근법입니다. - 특징: - 인간의 개입을 최소화하며, 자연의 자생적 회복력을 활용합니다. - 주로 방해 요인(예: 과도한 방목, 오염원 등)을 제거하거나 관리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 비용이 적게 들고, 생태계의 자연스러운 진화를 존중합니다. - 적용 사례: - 훼손된 지역에서 인간 활동을 중단하고 자연 상태로 두는 것. - 숲이나 초지에서 방목을 제한하거나, 하천에 설치된 인공 구조물을 제거하는 작업
능동적 복원 (Active Restoration) - 정의: 생태계의 회복을 가속화하거나 의도적으로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방식입니다. - 특징: - 식생 재배치, 토양 개량, 종 복원 등 다양한 인위적 활동을 포함합니다. - 생태계가 원래 상태로 돌아가는 데 필요한 시간과 과정을 단축시킵니다 - 더 많은 자원(비용, 인력)이 필요하며, 계획적인 실행이 요구됩니다. - 적용 사례: - 나무 심기, 토양 복구, 멸종 위기종 재도입. -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 후 식생을 다시 심어 생태계를 복구하는 작업
13. 「수생태계 현황 조사 및 건강성 평가 방법 등에 관한 지침(하천편)」에 따른 조사 항목및 조사 내용
「수생태계 현황 조사 및 건강성 평가 방법 등에 관한 지침(하천편)」에 따른 조사 항목과 내용은 하천 생태계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생물학적, 물리적, 화학적 요소를 포함합니다. 주요 조사 항목과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조사 항목 및 내용
1. 부착돌말류 - 조사 내용: 출현종 수, 세포밀도, 상대밀도(%), 오염민감도(S), 지표가중치(V) 등을 분석. - 조사 시기: 봄(4~5월)과 가을(9~10월), 연 2회.
2. 저서성 대형 무척추동물 - 조사 내용: 출현종 수, 개체밀도, 출현도, 오탁치(s), 지표가중치(g) 등을 평가. - 조사 목적: 하천 바닥 환경의 건강성을 측정.
3. 어류 - 조사 내용: - 출현종 수 및 개체수. - 국내종, 여울성 저서종, 민감종, 내성종, 충식종, 비정상종 등의 분포와 비율 분석. - 조사 목적: 어류 군집 구조를 통해 하천의 생태적 상태를 평가.
4. 수변식생 - 조사 내용: - 식물상, 식생단면도, 현존식생도 작성. - 출현 종 수, 전체 식생 피복면적, 외래종 및 내성종의 우점면적 비율 분석. - 습지식물군락 피복면적 및 균등도 평가. - 조사 시기: 생육이 왕성한 봄~가을(5~9월), 연 1회.
5. 서식 및 수변환경 - 조사 내용: - 종횡사주(하천 내 모래톱), 하천변 폭, 제방 재료 등 물리적 환경 요소. - 저질 상태(하천 바닥의 상태), 유속 다양성, 횡구조물 등 하천 구조적 특성. - 조사 시기: 봄(4~5월) 또는 가을(9~10월), 연 1회.
주요 평가지수 - 부착돌말류 평가지수(TDI): 부착돌말류의 상대밀도와 오염민감도를 기반으로 평가. -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평가지수(BMI): 저서생물의 다양성과 오염 민감도를 측정. - 어류 평가지수(FAI): 어류 군집의 구조와 기능을 통해 하천 건강성을 평가. - 수변식생 평가지수(RVI): 식생 피복면적과 외래종 비율 등을 분석하여 수변 생태계 상태를 평가. - 서식 및 수변환경 평가지수(HRI): 하천의 물리적 자연성과 다양성을 종합적으로 평가.
※ 총 6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25점) 1. 조선시대 대표적 양반 주택인 강릉 선교장의 공간구성과 사랑채 및 지당의 경관적특징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시오.
강릉 선교장은 조선시대 대표적인 양반 주택으로, 그 공간구성과 경관적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공간구성
강릉 선교장의 공간구성은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1. 안채 영역: - 안채와 동별당으로 구성되며, 가족들의 일상적인 생활 공간입니다 - 안채는 1703년에 최초로 건립되었으며, 넓은 대청을 중심으로 안방과 건넌방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2. 사랑채 영역: - 열화당을 중심으로 중사랑과 행랑채로 구성됩니다 - 외부 손님들을 접대하고 묵을 수 있는 공간입니다.
3. 부속 건물: - 서별당, 연지당, 외별당, 행랑채, 사당 등 총 12개 동으로 구성됩니다
4. 정원: - 활래정과 연못(방지)이 있어 경관을 아름답게 꾸미고 있습니다
사랑채의 경관적 특징
1. 열화당: - 구한말에 건립된 건물로, 러시아 공사관 인사들이 자주 묵었습니다 - 러시아식 테라스가 선물로 지어져 있어 독특한 경관을 자랑합니다
2. 중사랑: - 지체가 높은 인사들이 묵을 수 있는 공간입니다
3. 행랑채: - 마치 콘도를 연상시키듯 늘어서 있어 많은 손님들을 수용할 수 있습니다
4. 외부 벽체: - 벽체 대신 전면이 분합문(分閤門)의 띠살문으로 되어 있어 공간 개폐가 자유롭습니다
지당(방지)의 경관적 특징
1. 활래정: - 수백 평의 연못 위에 세워진 정자로, 정원의 중심을 이루고 있습니다 - 1816년에 건립되어 경포호수의 경관을 바라볼 수 있게 설계되었습니다
2. 연못: - 인공적으로 조성된 연못으로, 활래정과 함께 배산임수(背山臨水)의 이상적인 경관을 만들어냅니다 - 연꽃이 심어져 있어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아름다운 경관을 제공합니다
3. 주변 경관: - 활래정 뒤로 노송이 있는 봉래선산이 있어 정자의 배경이 되고 있습니다 - 멀리 백두대간이 보이며, 사계절 변화하는 모습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공간구성과 경관적 특징으로 인해 강릉 선교장은 조선시대 상류층 가옥을 대표하는 문화재로 인정받고 있으며, 한국 전통가옥 분야에서 최고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2. 환경영향평가 시 저영향개발(LID: Low Impact Development)기법으로 계획되는 시설 중침투형 시설인 투수성 포장, 침투도랑, 침투측구, 침투저류지의 시설 설치 가능지역과설치 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시오.
환경영향평가 시 저영향개발(LID: Low Impact Development) 기법으로 계획되는 침투형 시설인 투수성 포장, 침투도랑, 침투측구, 침투저류지의 시설 설치 가능 지역과 설치 시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투수성 포장 (Permeable Pavement)
설치 가능 지역 - 주차장, 보도, 자전거 도로, 도로변, 공원 등 다양한 도시 지역 - 불투수층이 많은 지역에서 강우유출수를 줄이기 위한 대체 시설로 적합
설치 시 고려사항 - 토양 조건: 투수성이 높은 사질토 또는 양질양토가 적합하며, 침투율은 시간당 13~210mm로 유지해야 함 - 지하수위: 최고 지하수위 또는 기반암으로부터 최소 1.2m 이상의 이격 필요 - 유지관리: 침전물로 인해 공극이 막히지 않도록 정기적인 청소와 관리 필요
---
2. 침투도랑 (Infiltration Trench)
설치 가능 지역 - 주거지역(공동주택 포함), 공원, 녹지지역, 도로 인근 녹지 등 폭이 좁고 긴 형태의 부지 - 배수구역 가장자리나 자투리땅에 쉽게 설치 가능하며, 집수면적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적용 가능
설치 시 고려사항 - 경사도: 유입부 경사도는 5% 이하가 적합하며, 부지 전체 경사는 6% 이하여야 함 - 토양 조건: 사질토 또는 양질양토가 적합하며, 침투율을 사전에 평가해야 함 - 초과유량 처리: 우회 배수시설을 설치하여 초과유량을 안전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설계 - 유지관리: 침전물 제거 및 유공관 점검을 통해 막힘 현상을 방지해야 함
3. 침투측구 (Infiltration Gutter)
설치 가능 지역 - 도로변, 주택단지 내 도로, 상업지역의 배수시설 등에 적합 - 좁은 공간에서도 적용 가능하며, 소규모 유역의 강우유출수를 관리하기에 효과적임.
설치 시 고려사항 - 토양 조건: 양질의 투수성 토양이 필요하며,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해 적절한 이격 거리 확보 필요 - 설계 기준: 우회 배수로와 비상 배수시설을 함께 설계하여 홍수 상황에 대비해야 함 - 유지관리: 정기적으로 침전물 및 오염 물질을 제거하여 기능을 유지해야 함
---
4. 침투저류지 (Infiltration Basin)
설치 가능 지역 - 농경지, 공원, 골프장 등 넓은 부지와 도시지역 내 저류가 필요한 공간 - 강우유출수가 집중되는 저지대에 적합하며, 대규모 유역 관리에 활용됨.
설치 시 고려사항 - 부지 조건: 경사도는 15% 미만이어야 하며, 지하수위와 기반암으로부터 최소 1.2m 이상 이격 필요 - 초과유량 처리: 비상 배수시설 및 우회 배수시설을 설계하여 초과 유량을 처리할 수 있어야 함 - 생태적 설계: 다양한 깊이(얕은 습지 50%, 깊은 습지 30%, 깊은 못 20%)를 활용하여 생태적 다양성을 확보해야 함 - 유지관리: 정기적인 침전물 제거 및 배수 능력 점검이 필수적임
3.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중 공원시설의 종류, 공원별 설치 가능 시설,공원별 시설부지면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원시설의 종류, 공원별 설치 가능 시설, 공원별 시설부지면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공원시설의 종류
1. 조경시설: 관상용식수대, 잔디밭, 산울타리, 그늘시렁, 못 및 폭포 등 2. 휴양시설: 야유회장, 야영장, 경로당, 노인복지관, 수목원 등 3. 유희시설 4. 운동시설 5. 교양시설 6. 편익시설 7. 공원관리시설: 창고, 차고, 게시판, 표지, 조명시설, CCTV, 쓰레기처리장 등 8. 도시농업시설: 도시텃밭, 도시농업용 온실, 온상, 퇴비장 등[1]
공원별 설치 가능 시설
1. 체육공원: 조경시설, 휴양시설(경로당 및 노인복지관 제외), 유희시설, 운동시설, 교양시설(일부)[5] 2. 묘지공원: 조경시설, 묘지시설, 관리시설 등
공원별 시설부지면적
1. 생활권 공원: - 소공원: 20% 이하 - 어린이공원: 60% 이하 - 근린공원: 40% 이하
2. 주제공원: - 역사공원: 제한 없음 - 문화공원: 제한 없음 - 수변공원: 40% 이하 - 묘지공원: 20% 이상 - 체육공원: 50% 이하 - 도시농업공원: 40% 이하
추가 규정: - 체육공원의 운동시설: 공원시설 부지면적의 60% 이상 - 근린공원의 도서관, 문화예술회관, 청소년수련시설, 노인복지관, 운동시설: 공원시설 부지면적의 20% 이하 - 공원시설로 설치하는 건축물의 높이: 4층 이하
이러한 규정들은 도시공원의 효율적인 이용과 관리를 위해 마련되었으며, 각 공원의 특성과 목적에 맞는 시설 설치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4. 녹지의 정의, 종류와 역할, 기능재로서의 효용, 도시녹지 확대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녹지의 정의 녹지는 도시 내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개선하며, 도시 경관을 아름답게 하기 위해 계획적으로 조성된 공간을 의미합니다. 이는 공원, 산책로, 유원지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도시민들에게 환경적, 생태적, 사회적 혜택을 제공합니다
녹지의 종류와 역할
1. 녹지의 종류 - 완충녹지: 공해(소음, 진동, 먼지 등)와 재해로부터 주거지역이나 상업지역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 녹지. 예: 도로변 녹지 - 경관녹지: 도시 경관을 향상시키고 자연환경을 복원하기 위해 조성된 녹지. 예: 공원, 옥상정원 - 연결녹지: 공원, 하천, 산지를 연결하여 시민들에게 산책 및 여가 공간을 제공하는 선형 녹지. 예: 생태통로 - 보전녹지: 자연환경과 경관 보호를 목적으로 지정된 지역. 예: 남산, 관악산 - 생산녹지: 농업 생산을 유지하기 위해 개발이 제한된 지역. 예: 논밭과 과수원 지역 - 자연녹지: 미래 도시용지를 위해 보전하며 제한적 개발이 허용되는 지역
2. 녹지의 역할 - 환경적 역할: - 대기 정화 및 오염물질 흡수. - 도시열섬현상 완화. -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 절감 - 생태적 역할: - 생물 서식처 제공 및 생태계 복원. - 생물 이동 통로(생태통로) 형성 - 사회적 역할: - 시민들에게 휴식과 여가 공간 제공. - 심리적 안정과 건강 증진 기여
---
기능재로서의 효용 녹지는 단순한 공간이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중요한 자산으로 다음과 같은 효용성을 가집니다: 1. 도시 환경 개선: - 대기 질 향상과 소음 감소. - 온도 조절(여름철 냉각 효과, 겨울철 단열 효과) 2. 경제적 가치: - 부동산 가치 상승. - 에너지 비용 절감(난방 및 냉방비 감소) 3. 사회적 혜택: - 시민 건강 증진 및 스트레스 완화. -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
도시녹지 확대 방안
1. 공간 활용 - 자투리땅 활용: 방치된 소규모 공간을 공원이나 녹지로 조성 - 옥상정원 및 벽면녹화: 건축물의 옥상과 벽면을 활용하여 입체적인 녹지를 조성함으로써 공간 부족 문제 해결
2. 네트워크 구축 - 연결녹지를 통해 단절된 녹지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생태적 연속성을 강화
3. 정책 지원 -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시민 1인당 최소 녹지 면적 기준 준수(도시 전체 5㎡, 시가화 지역 3㎡)
4. 참여 확대 - 시민 참여형 녹화 사업 추진(예: "우리 동네 만들기" 프로젝트). - 기업 및 민간 부문의 협력을 통한 녹지 조성 기금 마련
5. 기술 활용 -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녹지 관리 시스템 도입. - 기후변화 대응형 식재 설계 적용
5. 횡선식 공정표와 네트워크 공정표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횡선식 공정표와 네트워크 공정표는 건설 프로젝트의 공정 관리에 사용되는 두 가지 주요 방식으로, 각각의 특징과 장단점이 있습니다.
횡선식 공정표
특징: - 공정별 공사를 종축에 나열하고, 횡축에 날짜를 표기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공정을 횡선으로 표시합니다 - 간단하고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제작됩니다.
장점: 1. 공정표 작성이 용이합니다 2. 공사 전반에 걸쳐 공정을 파악하기 쉽습니다 3. 각 공종별 공사와 전체 공정 시기 등이 일목요연하게 표시됩니다
단점: 1. 작업의 관련성이 명료하지 않아 어느 작업이 전체 공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2. 작업 상황 변동 시 탄력성이 부족합니다
네트워크 공정표
특징: - 작업 사이의 전후관계를 망상도로 표현하며, 각 작업에 필요한 일수를 기입하여 전체 공정을 파악합니다 - PERT, CPM, PDM 등 다양한 기법이 있습니다
장점: 1. 작업의 상호관계가 명확하게 표시됩니다 2. 계획 단계에서부터 공정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3. 전자계산기의 이용이 가능하여 복잡한 계산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단점: 1. 공정표 작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2. 광범위한 경험과 기술을 가진 기술자가 아니면 작성하기 어렵습니다
적용 공사
- 횡선식 공정표: 공사규모가 비교적 작고, 공사의 종류가 적으며 공기가 짧은 공사에 적합합니다 - 네트워크 공정표: 공사의 종류가 많고 복잡한 공사, 완성일이 명확히 표시되어야 하는 공사에 적합합니다
두 공정표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어, 프로젝트의 특성과 규모에 따라 적절한 방식을 선택하거나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6. 조경공사 식재 공간 내에 답압(Compaction)에 의해 다져진 토양의 개선 방법에 대하여설명하시오.
조경공사 식재 공간 내 토양이 답압(Compaction)으로 인해 단단해지고 물리적, 화학적 특성이 악화되면 수목의 생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토양 물리성 개선 (1) 경운 및 천공법 - 방법: 답압된 토양을 깊게 경운하거나, 직경 5~10cm, 깊이 30~45cm의 구멍을 일정 간격(0.5~1m)으로 뚫어 공극을 증가시킵니다. - 개량제 투입: 구멍에 다공성 물질(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이나 유기물(퇴비, 톱밥)을 넣어 투수성과 통기성을 개선합니다
(2) 토양층 적층 - 방법: 답압된 토양을 제거한 후, 우드칩, 핀칩 등과 토양을 교대로 적층하여 견밀도를 완화합니다. - 효과: 세근 발달 촉진 및 장기적인 토양 구조 안정화
2. 배수 개선 - 방법: - 식재지에 경사를 주거나 배수도랑을 설치하여 물이 고이지 않도록 설계합니다. - 유공관을 매설하거나 깊이 1m 이상의 도랑을 파고 다공성 자재를 채워 배수성을 높입니다. - 효과: 뿌리 호흡 개선 및 과습 방지
3. 토양 화학성 개선 (1) 유기물 첨가 - 피트모스, 퇴비, 톱밥 등을 혼합하여 유기물 함량을 높이고 양분 공급을 강화합니다. - 유기물은 시간이 지나며 분해되므로 정기적인 보충이 필요합니다
(2) pH 조절 - 산성 토양의 경우 규산 석회나 산림 적토를 사용해 pH를 중화시킵니다. - 인산 부족 시 용성인비나 과린산석회를 혼합하여 영양 상태를 개선합니다
4. 멀칭(Mulching) - 뿌리 주변에 나무껍질, 톱밥 등을 덮어 수분 증발을 줄이고 토양 온도를 안정화시킵니다. - 미생물 번식을 촉진하여 토양 환경을 개선합니다
5. 객토 및 개량제 활용 (1) 객토 - 기존 답압된 토양을 제거하고 양질의 토양으로 교체합니다. - 비용이 높으므로 제한된 지역에서 사용됩니다
(2) 개량제 활용 - 커피박 기반 개량제(RE:CO 소일)와 같은 친환경 자재를 사용하여 물리적·화학적 특성을 동시에 개선합니다
6. 식재 전 예방 조치 - 중장비 작업 시 답압 방지를 위해 보호 매트를 설치하거나 작업 동선을 최소화합니다. - 식재 전에 토양 분석을 통해 적합한 개량 방법을 적용합니다
※ 총 6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25점) 1. 수목(목본식물)의 줄기(수간)의 횡단면 상에 나타나는 조직의 명칭과 특징을 설명하시오.
수목(목본식물)의 줄기(수간) 횡단면에 나타나는 조직의 명칭과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수피(bark) - 형성층 바깥쪽에 위치한 조직 - 외수피와 내수피로 구분 - 보호 기능을 담당
2. 형성층(cambium) - 목부와 사부 사이에 위치한 얇은 세포층 - 안쪽으로 목부(목재), 바깥쪽으로 사부(수피)를 생성 - 수목의 직경 생장을 담당
3. 목부(xylem) - 형성층 안쪽에 위치 - 수분과 무기양분의 이동, 기계적 지지 기능 - 변재(sapwood)와 심재(heartwood)로 구분
4. 연륜(annual ring) - 목부에서 관찰되는 동심원 모양의 생장륜 - 춘재와 추재로 구성 - 온대 지역에서는 대개 1년에 하나씩 형성
5. 수(pith) - 줄기의 중심부에 위치한 조직 - 유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양분 저장 기능
6. 방사조직(ray) - 수에서 수피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된 조직 - 수평 방향의 양분 이동과 저장 기능
7. 사부(phloem) - 형성층 바깥쪽에 위치 - 광합성 산물의 이동을 담당
8. 코르크층(cork layer) - 수피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 - 보호 기능을 담당하며 주기적으로 탈락
이러한 조직들은 수목의 생장, 양분 이동, 저장, 보호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수종과 생육 환경에 따라 그 구조와 특징이 다소 차이를 보일 수 있습니다
2. ‘조경지원센터’로 지정할 수 있는 기관과 수행할 수 있는 사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조경지원센터는 「조경진흥법」에 따라 지정된 기관으로, 조경 분야의 진흥과 관련된 다양한 사업을 수행합니다. 아래는 조경지원센터로 지정 가능한 기관과 수행할 수 있는 사업에 대한 설명입니다.
조경지원센터로 지정할 수 있는 기관 1. 관련 단체 및 재단: - (사)한국조경학회: 제1호 조경지원센터로 지정된 사례가 있습니다 - (재)환경조경발전재단: 2023년 국토교통부로부터 조경지원센터로 지정받은 사례가 있습니다
2. 기타 요건: - 국토교통부 장관의 승인을 통해 지정되며, 조경 분야의 연구와 정책 수행 능력을 갖춘 기관이어야 합니다. - 관(官)·산(産)·학(學)이 연계된 실용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한 단체가 우선 고려됩니다
---
조경지원센터가 수행할 수 있는 사업 조경지원센터는 「조경진흥법」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사업을 수행합니다:
1. 정책 및 연구 - 조경진흥법 관련 법령 모니터링 및 개정 방안 연구 - 조경산업 진흥을 위한 정책 연구 및 제도 개선 추진 - 탄소중립 및 지속가능한 국토환경 구현을 위한 친환경 조경 기술 개발
2. 산업 활성화 - 조경수목 가격 조사 및 공표, 통계자료(DB) 구축 - 조경진흥시설 및 단지 지정 추진 - 조경 설계와 시공의 적정 대가기준 마련
3. 교육 및 인력 양성 -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산업현장 기반 교육과정 도입으로 실무 역량 강화
4. 대국민 인식 제고 - 조경의 가치와 역할을 알리는 홍보 및 시민 참여 프로그램 운영 - 국제 학술대회 유치 및 해외 교류를 통한 한국 조경의 위상 강화
5. 기후변화 대응 -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녹지 정책 및 국민 안전 증진을 위한 조경 정책 추진
요약 - 지정 가능 기관: 한국조경학회, 환경조경발전재단 등 국토교통부의 승인을 받은 단체. - 수행 사업: 정책 연구, 산업 활성화, 전문인력 양성, 대국민 홍보, 기후변화 대응 등.
조경지원센터는 조경 분야의 발전과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법적·제도적 기반을 통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3. 「국가유산수리 표준시방서」에 근거하여 전통 정원 화계(花階) 조성에 대하여설명하시오.
「국가유산수리 표준시방서」에 근거한 전통 정원 화계(花階) 조성은 한국 전통조경의 중요한 요소로, 경사지형을 활용하여 조성된 계단식 정원입니다. 화계는 경관적, 실용적, 심미적 목적을 동시에 충족시키며, 다음과 같은 특징과 방법으로 조성됩니다.
화계의 정의와 역할 - 정의: 화계는 경사지형에 서너 단의 석계단을 쌓고, 그 위에 초화류나 관목을 심어 장식하는 전통적인 정원 시설입니다. 이는 자연지형을 살리면서도 경관을 아름답게 연출하는 기법입니다 - 역할: - 경사면의 침식 방지. - 차경(借景) 기법을 활용한 동적인 경관 연출. - 꽃과 나무를 통해 미적 가치 창출 및 심리적 안정 제공. - 유교 문화에서 내당의 여성들을 위한 위락 공간으로 활용
---
화계 조성 방법
1. 지형 준비 - 경사지 활용: 자연 지형을 최대한 보존하며, 경사면을 계단 형태로 다듬습니다. - 기반 조성: 계단의 안정성을 위해 석축(石築)을 쌓아 기반을 강화합니다. - 궁궐에서는 잘 다듬은 장대석으로 바른층쌓기를 사용하고, 일반 민가나 사찰에서는 막돌로 허튼층쌓기를 적용합니다.
2. 재료 선택 - 석재: 사고석(四顧石)이나 장대석 등을 사용하여 석축을 구성합니다. - 토양: 식물 생육에 적합한 양질의 흙을 채워넣습니다. - 식재 재료: - 초화류: 매화, 난초, 철쭉, 모란, 국화 등 - 관목류: 개나리, 명자나무, 앵두나무 등 낙엽 관목 - 기타: 비비추, 제비꽃 등 초본류.
3. 식재 및 장식 - 식재 배치: - 상단에는 관목이나 소규모 교목을 배치하여 시각적 중심을 형성합니다. - 하단에는 초화류를 심어 계절별로 다양한 경관을 제공합니다. - 장식 요소: - 석물(石物): 굴뚝, 석함(石函), 대석(臺石) 등으로 장식 - 점경물(添景物): 괴석이나 담장을 추가하여 미적 요소를 강화합니다.
---
유지 및 관리 - 배수 관리: 강우 시 토사의 유실 방지를 위해 배수로를 확보합니다. - 정기적인 보수: 석축의 손상 여부를 점검하고 필요 시 보강 작업을 수행합니다. - 식물 관리: 초화류와 관목의 생육 상태를 점검하고 병충해 방제를 실시합니다.
사례 - 궁궐 화계: - 창덕궁 낙선재 뒷뜰 화계는 굴뚝과 석물을 배치하여 독특한 경관을 형성한 대표 사례입니다 - 민가 화계: - 담양 소쇄원의 후원은 계단식 화계를 통해 자연과 조화를 이룬 민가 정원의 예입니다
화계는 한국 전통정원의 독특한 기법으로, 실용성과 심미성을 동시에 충족시키며 자연과 인공이 조화를 이루는 공간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조성 방법은 「국가유산수리 표준시방서」에 따라 체계적으로 복원 및 관리되고 있습니다.
4. 대체서식지 조성의 기본원칙과 단계별 추진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대체서식지 조성의 기본원칙과 단계별 추진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본원칙
1. 훼손자 부담의 원칙: 서식지를 훼손한 사업자가 생물다양성 손실에 대한 보상 비용과 사업을 담당해야 합니다.
2. 참여와 협력의 원칙: 공학자, 생태학자, 주민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조성 및 관리합니다.
3. 과학적인 접근의 원칙: 생물종 서식환경 조성기술과 생태계 조사에 과학적 방법을 적용합니다.
4. 순응의 원칙: 점진적 접근과 사후모니터링을 통한 평가 및 유지관리를 실시합니다.
5. 생태복원의 원칙: 해당 지역 및 주변 지역의 생태적 구조와 기능을 고려합니다.
## 단계별 추진 절차
1. 현황조사 및 분석 - 개발사업으로 인한 영향 예측 - 서식지 영향예상지역의 구조와 기능 파악 - 대체서식지 필요 여건 조사 및 분석
2. 조성목표 및 실행기준 설정 - 서식지 조성목표 및 목적 설정 - 실행기준과 조성전략 수립
3. 입지평가 및 선정 - 조성목표에 적합한 입지 선정 - 항공사진, 도면 등을 활용한 입지평가 및 적정규모 산정 - 원래 서식지를 고려한 입지 선정 - 입지 대안 도출 및 최종 입지 선정
4. 기본구상 및 계획설계 - 선정된 입지의 기본 구상 및 계획·설계 - 목표종의 서식기반 및 시설배치 구상 - 조성계획 및 실시설계 수립
5. 시공 및 관리 - 서식지 조성 시방서 작성 및 적용 - 관리계획 수립: 조성과정, 조성직후, 장기적 관리로 구분 - 모니터링 실시 및 평가
6. 성공 및 실패 진단 - 모니터링 결과를 토대로 조성목표 부합 여부 평가 - 평가결과를 토대로 성공 및 실패여부 결정
이러한 원칙과 절차를 통해 대체서식지는 체계적으로 조성되고 관리되어, 생태계 보전과 생물다양성 유지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5. 친수활동과 관련한 수변 계단의 하천 접촉유형, 활동 목적, 주요 기능, 설계유의점에대하여 설명하시오.
수변 계단의 하천 접촉 유형, 활동 목적, 주요 기능, 설계 시 유의점
1. 하천 접촉 유형 수변 계단은 하천과의 접촉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구분됩니다: - 직접 접촉형: 계단이 하천에 직접 연결되어 물에 접근할 수 있는 형태. 예: 물맞이광장 - 간접 접촉형: 계단과 하천 사이에 완충 공간(예: 녹지대나 둔치)이 있어 물과의 직접적 접촉은 제한됨. - 혼합형: 일부 구간은 직접 접촉하고, 나머지 구간은 간접적으로 연결된 형태.
---
2. 활동 목적 수변 계단은 다양한 친수활동을 지원하며,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휴식 및 여가: 계단 형태의 스탠드에서 앉아 하천 경관을 감상하거나 휴식을 취함 - 문화 및 놀이 활동: 물놀이, 생태 체험, 공연 관람 등 다양한 활동 지원. 예: 세곡천의 사면 놀이터와 복합문화공간 - 생태 체험: 자연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생태학적 이해를 증진. - 운동 및 건강 증진: 계단을 오르내리며 운동 효과를 얻음.
---
3. 주요 기능 수변 계단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합니다: - 친수 기능: 하천 접근성을 높이고 물과의 상호작용을 촉진. - 경관 기능: 하천 주변 경관을 강화하며, 도시 미관 개선. - 문화·사회적 기능: 주민 간 교류와 커뮤니티 형성을 지원하는 공간 제공. - 방재 기능: 홍수 시 침수 조절 및 안전한 대피 공간으로 활용 가능.
---
4. 설계 시 유의점 수변 계단 설계 시 다음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1) 안전성 - 계단 디딤판과 챌면은 미끄럼 방지 재질로 설계 - 난간 및 손잡이를 양측에 설치하여 안전성을 확보 - 홍수나 갑작스러운 수위 상승에 대비한 배수 시스템 구축.
(2) 접근성 -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경사로와 병행 설치 - 계단 유효폭은 최소 1.2m 이상으로 확보하여 다중 이용 가능
(3) 환경 친화성 - 자연재료(돌, 목재 등)를 사용하여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설계. - 생태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하천 생물 서식지를 방해하지 않는 구조 채택.
(4) 다양한 활용성 - 계절별·시간대별로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도록 설계. 예: 여름철 물놀이 공간, 겨울철 관람 스탠드로 활용 - 문화 행사나 공연 등을 위한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 가능.
(5) 미관 및 경관 연출 - 지역 특성을 반영한 디자인 도입. 예: 세곡천의 복합문화공간처럼 지역 정체성을 살린 설계 - 조명 설치를 통해 야간에도 안전하고 아름다운 경관 제공.
---
결론 수변 계단은 하천 접근성을 높이고 친수활동을 지원하는 중요한 시설입니다. 이를 설계할 때는 안전성, 접근성, 환경 친화성, 활용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지역 특성과 주민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설계가 필요합니다.
6. 도시공원 조성 시 요구되는 토지개발 인허가 시 협의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도시공원 조성 시 요구되는 토지개발 인허가 협의 사항은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과 관련 지침에 따라 다양한 절차와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주요 협의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도시관리계획 수립 및 변경 - 내용: 도시공원의 조성은 도시관리계획의 일환으로 진행되며, 필요 시 도시관리계획 변경을 수반합니다. - 절차: - 계획 수립 및 변경안 작성. - 주민 의견 청취. - 관계 위원회(도시공원위원회, 지방도시계획위원회 등) 심의. - 도시계획시설부지 지정 고시 ---
2. 개발행위 허가 - 내용: 도시공원 부지 내에서 건축물 건축, 공작물 설치, 토지 형질변경 등 개발행위를 수행하려면 허가가 필요합니다. - 요건: - 도시계획사업 시행에 지장이 없어야 함. - 공원 조성 목적과 부합해야 함. - 참고사항: - 개발행위 특례를 적용할 경우, 공원 면적의 70% 이상을 공원관리청에 기부채납해야 합니다
---
3. 환경영향평가 및 사전협의 - 내용: 공원 조성으로 인한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고, 관련 기관과 사전 협의를 진행합니다. - 대상: 공원의 규모와 위치에 따라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또는 정식 환경영향평가를 진행.
---
4. 민간공원 특례제도 활용 - 내용: 민간이 공원을 조성하고 일부 부지를 개발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도. - 절차 간소화: - 기존 심의 절차를 최대 8회에서 3회로 단축. - 공모제를 통해 민간사업자 선정 가능 - 기부채납 조건: - 수익사업 완료 전까지 조성된 공원을 기부채납하도록 규정
---
5. 공원조성계획 수립 - 내용: 공원의 구체적인 설계와 운영 방안을 포함한 조성계획을 수립합니다. - 요소: - 토지 이용 계획, 배치 계획, 시설 설계 등. - 조경, 생태복원, 친수 공간 설계 포함[5].
---
6. 점용허가 및 관리 - 내용: 공원 내 특정 시설이나 공간을 점용하려면 점용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 허가기준: - 공익성과 안전성을 충족해야 함. - 환경 훼손을 최소화해야 함
---
요약 도시공원 조성을 위한 토지개발 인허가는 다음과 같은 주요 협의 사항을 포함합니다: 1. 도시관리계획 수립 및 변경. 2. 개발행위 허가 요건 충족. 3. 환경영향평가와 사전협의 이행. 4. 민간공원 특례제도 활용 시 기부채납과 절차 간소화. 5. 공원조성계획 수립 및 점용허가.
※ 총 6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25점) 1. 「조경공사 표준시방서」에서 규정하고 있는 육교형 생태통로와 터널형 생태통로의환경요구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조경공사 표준시방서」에 따른 육교형 생태통로와 터널형 생태통로의 환경요구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육교형 생태통로
1. 규모: - 중앙부의 최소 폭은 7m 이상이어야 함 - 주요 생태축을 통과하는 경우 최소 폭을 30m 이상으로 함
2. 구조: - 진입부는 인접한 자연지형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며, 경사가 급하지 않도록 함 - 통로 내 식재지의 토심은 70cm 이상을 확보해야 함
3. 식생: - 진입부와 내부의 식생은 주변과 유사하게 식재하되 과밀하지 않아야 함 - 지표면은 양토와 낙엽 등을 이용하여 야생동물이 거부감을 갖지 않도록 함.
4. 안전 및 차단: - 차량의 불빛과 소음의 영향을 줄이는 차단벽을 생태통로 양편에 설치. - 유도울타리를 설치하여 생태통로로의 유도 및 로드킬 예방.
5. 배수: - 통로 내부로 물이 흐르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입구부에 배수로를 설치.
터널형 생태통로
1. 환경 조건: - 동절기의 경우 바닥이 동결된 상태에서는 작업을 피해야 함
2. 목표 생물: - 환경조건과 목표생물의 이동습성에 맞추어 설계 및 시공해야 함
3. 연결성: - 생물이동통로 연결을 위한 생태통로는 주변 환경과의 연속성을 고려해야 함[
두 유형의 생태통로 모두 야생동물의 서식지 단절을 방지하고 생태계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것이 주요 목적입니다. 또한, 생태통로는 야생동물의 도로 횡단에 따른 자동차와의 충돌사고 등을 사전에 방지하는 기능도 수행합니다.
2. 국가생태문화 탐방로의 시설 구성요소와 시설 조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국가생태문화 탐방로의 시설 구성요소와 시설 조성 방법
1. 시설 구성요소 국가생태문화 탐방로는 탐방객이 자연과 문화, 역사를 체험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된 도보 중심의 길로, 주요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탐방자원 - 자연자원: 국립공원, 도립공원, 생태·경관보전지역, 철새도래지, 습지, 수목원 등. - 문화자원: 천연기념물, 세계문화유산 등 역사적·문화적 가치가 있는 자원.
(2) 길 - 생태탐방로: 주요 탐방 경로로 자연과 문화적 요소를 연결. - 접근로: 탐방로에 접근하기 위한 부수적인 경로. - 연결로: 인근 지역 및 다른 탐방로와의 연결성을 강화하는 경로.
(3) 탐방시설 - 안내판, 휴게시설, 전망대, 생태해설센터 등 탐방객 편의를 위한 시설.
(4) 거점도시 - 탐방객이 머물며 지역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중심 도시.
---
2. 시설 조성 방법 국가생태문화 탐방로는 자연환경과의 조화를 이루고 지속가능성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성됩니다:
(1) 기능 변경 - 기존에 존재하는 길을 활용하여 자연체험 용도로 변경. - 최소한의 시설만 설치하여 환경 훼손을 줄임.
(2) 복원 - 과거에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흔적만 남은 길을 복원. - 생태적 가치와 역사적 의미를 회복하기 위해 프로그램과 최소한의 시설을 추가.
(3) 정비 - 기존 유사시설(산책로 등)을 정비하여 탐방로로 활용. - 기존 시설을 보완하거나 재구성하여 효율성을 높임.
---
3. 조성 시 고려사항 - 환경보전: 자연환경 훼손을 최소화하고 생태계를 보호. - 안전성: 탐방객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예: 미끄럼 방지, 난간 설치). - 접근성: 장애인과 노약자도 이용할 수 있도록 경사도와 폭을 적절히 조정. - 경관성: 주변 자연경관과 조화를 이루는 디자인 적용. - 연속성: 생태탐방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지역 간 연결성을 강화.
---
4. 조성 효과 - 지역 자원의 효율적 관리 및 가치 증대. - 생태관광 활성화를 통한 지역 경제 발전. - 국민들에게 자연과 문화 체험 기회를 제공하며 환경보전 의식 고취.
국가생태문화 탐방로는 이러한 구성요소와 조성 방법을 통해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자연과 인간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고, 지역사회와 환경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3. 「장애인복지법」,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상 장애인의분류와 조경설계 시 고려사항 및 적용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장애인복지법」 및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에 따른 장애인의 분류, 조경설계 시 고려사항 및 적용방안
1. 장애인의 분류 장애인은 「장애인복지법」 및 관련 법령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 지체장애: 팔다리, 척추의 절단, 마비 또는 변형 등으로 신체적 활동이 제한된 경우. - 뇌병변장애: 뇌의 손상으로 인해 운동 및 일상생활 수행이 어려운 경우. - 시각장애: 시력 저하(0.2 이하) 또는 시야 결손(50% 이하). - 청각장애: 청력 손실(60데시벨 이상) 또는 평형 기능 장애. - 언어장애: 음성·언어 기능 상실 또는 발음 장애. - 지적장애: 지능지수 70 이하로 인해 적응 행동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 정신장애: 조현병, 조울증 등 정신적 문제로 일상생활 수행이 어려운 경우. - 발달장애: 자폐성 장애 등으로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 내부기관 장애: 심장, 신장, 간, 호흡기 등 내부 장기의 기능 장애.
---
2. 조경설계 시 고려사항 조경 설계에서는 장애인의 이동성과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해 다음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1) 접근성 확보 - 모든 이용자가 불편 없이 접근할 수 있도록 경사로와 보행로를 설계. - 경사로는 최대 경사도를 1:12 이하로 유지하고, 폭은 최소 120cm 이상 확보.
(2) 안전성 강화 - 미끄럼 방지 포장을 사용하여 보행 안전성을 높임. - 난간과 손잡이를 설치해 이동 중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
(3) 공간 활용 - 휠체어 사용자를 위해 회전 공간(직경 150cm 이상)을 충분히 확보. - 벤치와 휴게시설 주변에 휠체어 접근 공간을 제공(120x120cm).
(4) 정보 제공 - 점자 안내판, 음성 안내 시스템 등 다양한 정보 전달 방식을 활용. - 시각 장애인을 위해 바닥 유도 블록 설치.
(5) 환경적 요소 - 청각 장애인을 위해 시각적 신호(예: 깜빡이는 조명)를 활용. - 자연광과 인공조명을 적절히 배치해 시각적 편안함 제공.
---
3. 적용 방안 조경 설계에서 장애인을 배려하는 구체적인 적용 방안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보행로 설계 - 폭은 최소 1.5m 이상으로 하여 휠체어가 교차할 수 있도록 설계. - 경사로와 계단은 함께 배치하여 선택적 이용 가능성을 제공.
(2) 휴게시설 - 벤치의 한쪽 끝은 팔걸이를 제거해 휠체어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함. - 쉼터 내 휠체어 회전 공간을 확보하고, 음수대는 높이를 조절하여 모든 사용자가 이용 가능하도록 설계.
(3) 놀이 및 체험 공간 - 어린이 놀이터에는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감각 통합 놀이기구를 포함. - 체험 공간에는 다양한 높이의 작업대를 제공하여 신체 조건에 관계없이 참여 가능.
(4) 안내 시스템 - 주요 진입로와 시설에 점자 지도와 음성 안내 시스템 설치. - 색채 대비를 활용하여 저시력자도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안내판 제작.
---
4. 결론 조경 설계에서 장애인을 배려하는 것은 법적 요구사항일 뿐만 아니라 모두가 평등하게 환경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사회적 책임입니다. 이를 위해 접근성, 안전성, 정보 제공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설계를 진행해야 합니다.
4. 식재환경 조사 항목 및 내용, 식재와의 관계, 식재 기반 조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식재환경 조사 항목 및 내용, 식재와의 관계, 식재 기반 조성
1. 식재환경 조사 항목 및 내용 식재환경 조사는 수목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환경 요인을 분석하여 적합한 식재 계획을 세우는 과정입니다. 주요 조사 항목과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토양 - 조사 내용: 토양의 물리적·화학적 특성(토양 구조, pH, 유기물 함량, 배수성 등). - 관련 요소: 근계 발달 여부, 양분 공급 가능성, 배수 상태.
(2) 일조량 - 조사 내용: 일조 시간, 일사 강도, 음영 발생 여부. - 관련 요소: 광합성에 필요한 빛의 양, 수종 선택에 중요한 기준.
(3) 수분 - 조사 내용: 토양 수분 함량, 지하수위, 배수 상태. - 관련 요소: 과습 또는 건조로 인한 생육 저해 여부.
(4) 기후 - 조사 내용: 지역의 온도, 강우량, 바람 등 기상 조건. - 관련 요소: 수종의 내한성 및 내건성 판단.
(5) 지형 - 조사 내용: 경사도, 표고, 지형적 위치(저지대·고지대 등). - 관련 요소: 배수 조건 및 침식 가능성.
(6) 주변 환경 - 조사 내용: 주변 건물 및 시설물의 영향(음영, 바람 차단 등). - 관련 요소: 생육 환경에 미치는 물리적·미세기후적 영향.
---
2. 식재와의 관계 식재환경과 수목 식재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환경 조건에 따라 수목의 생육 상태가 달라집니다: - 적합한 환경 제공: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적합한 수종을 선택하여 생육을 최적화. - 환경 스트레스 완화: 부적합한 환경 요인을 개선하여 스트레스를 줄임. - 유지관리 효율성 향상: 적합한 환경에서 식재된 수목은 관리 비용과 노력이 감소.
---
3. 식재 기반 조성 식재 기반 조성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수목이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인위적으로 구축하는 과정입니다. 주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토양 개량 - 불량 토양을 양질의 토양으로 교체하거나 개량. - 유기물 첨가(퇴비 등) 및 pH 조정(석회 또는 황 사용).
(2) 배수 개선 - 배수 불량 지역에서는 유공관 설치 또는 자갈층 조성을 통해 배수를 개선. - 저습지에서는 성토를 통해 지반을 높여 침수를 방지.
(3) 일조 환경 조정 - 음영이 많은 지역에서는 간벌 또는 건물 반사광 활용. - 일조가 강한 지역에서는 차광막 설치로 과도한 직사광선 차단.
(4) 지형 정비 - 경사지에서는 계단식 지형이나 사면 보강을 통해 침식을 방지. - 평지는 마운딩(mounding)을 활용하여 배수를 원활히 함.
(5) 관수 및 관비 시스템 설치 - 자동 관수 시스템 설치로 적정 수분 공급. - 초기 활착을 돕기 위해 비료 시비(인산질 비료 등)를 병행.
---
4. 결론 식재환경 조사와 기반 조성은 적합한 수종 선택과 건강한 생육 환경 조성을 위한 필수적인 단계입니다. 이를 통해 식재된 수목은 안정적으로 활착하고 장기적으로 건강하게 자라며, 유지관리 비용 절감과 경관 개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2) 시설물 관련 사고 - 유형: 시설물 붕괴, 파손, 전기 사고 등. - 원인: - 노후화된 시설물(벤치, 조명, 운동기구 등). - 정기적인 점검 부족으로 인한 구조적 결함. - 전기설비의 누전 또는 오작동.
(3) 환경적 요인에 의한 사고 - 유형: 낙하물(나뭇가지 등), 동물 접촉 사고, 화재 등. - 원인: - 강풍으로 인한 나무 가지나 구조물 낙하. - 야생동물 또는 반려동물과의 접촉. - 건조한 날씨로 인한 산불 또는 화재.
---
2. 각각의 방지대책
(1) 이용객 안전사고 방지대책 - 보행로 관리: - 미끄럼 방지 포장 및 배수시설 설치. - 보행로 균열 및 파손 부위 정기 점검 및 보수. - 놀이시설 안전성 강화: - 어린이 놀이시설의 정기 안전점검(월 1회 이상). - 충격 흡수재(모래, 고무매트) 설치. - 안내판 설치: - 위험 구역에 경고 표지판 설치(예: "미끄럼 주의"). - 이용객 행동 수칙 안내.
(2) 시설물 관련 사고 방지대책 - 정기 점검 및 유지관리: - 시설물의 정기적인 안전점검과 보수(월 1회 이상). - 노후화된 시설 교체 및 보강 작업 실시. - 전기설비 관리: - 전기설비의 절연 상태 점검 및 누전 차단기 설치. - 야간 조명 시설의 안정성 확인. - 긴급 대응 체계 구축: - 시설 관리자 연락처를 게시하여 신속 대응 가능하도록 함[8].
(3) 환경적 요인에 의한 사고 방지대책 - 수목 관리: - 강풍에 대비해 나뭇가지 가지치기 및 고정 작업 실시. - 병해충 예방을 위한 정기적인 수목 건강 점검. - 야생동물 관리: - 야생동물 출몰 지역에 경고 표지판 설치 및 유도 울타리 설치. - 화재 예방: - 건조한 날씨에 화재 감시 강화 및 소화장비 배치. - 취사 및 흡연 금지 구역 지정 및 안내[1][3].
---
결론 공원녹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사고는 사전 예방과 체계적인 관리로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 이용객 안내 및 교육, 긴급 대응 체계 구축 등의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