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2025/02/05 13

내땅은 얼마야? 향후 10년간 전국 지가 변화 궁금해

먼저~~2024년 전국 지가 및 토지거래량을 알아보자  ■ 지가변동률 ○전국 평균: 2024년 전국 지가는 2.15% 상승하여 2023년(0.82%) 대비 상승폭이 확대(+1.33%p), 2022년(2.73%) 대비 축소(-0.58%p). ○ 지역별: - 수도권: 2.77% 상승 (2023년 1.08% 대비 증가). - 지방권: 1.10% 상승 (2023년 0.40% 대비 증가). ○ 시·도별: - 서울(3.10%)과 경기(2.55%)가 전국 평균(2.15%)을 상회. - 용인 처인구(5.87%), 서울 강남구(5.23%), 성남 수정구(4.92%) 등 총 54개 시군구가 전국 평균보다 높은 상승률을 기록. ○ 용도지역별: - 상업지역(2.46%), 공업지역(2.50%)에서 높은 상승률 기록. ○ 월별 ..

생활정보 2025.02.05

주택통계로 알아보는 내집마련 시기는 언제일까?

주택통계로 알아보는 내집마련 시기는 언제일까? 2024년 12월 주택 통계와 2025년 부동산 전망을 통해 주택 시장 동향을 요약하고, 내 집 마련의 적정 시기를 알아봅시다    ■ 2024년 주택 시장 요약 1. 주택 건설 실적 - 인허가: 2024년 총 428,244호로 전년 대비 유사한 수준. 공공주택 실적이 크게 증가(+65.7%), 민간은 감소(-14.7%) - 착공: 총 305,331호로 전년 대비 26.1% 증가. 아파트 중심으로 수도권(+47.8%)과 지방(+23.6%) 모두 큰 폭 증가 - 분양: 총 231,048호로 전년 대비 20.1% 증가. 지방에서의 분양 물량 증가가 두드러짐(+29.7%) - 준공: 총 449,835호로 전년 대비 3.2% 증가. 아파트 준공은 +10%, 비아파트..

생활정보 2025.02.05

제134회 산림기술사 기출문제

※ 총 13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 10점)1.「종묘사업실시요령」에 의한 묘목검사 방법「종묘사업실시요령」에 따른 묘목검사는 산림용 묘목의 품질관리와 병해충 확산 방지를 위해 체계적인 절차로 진행됩니다. 주요 검사 방법과 기준은 다음과 같이 단계별로 구분됩니다.1. 검사 준비 단계묘목검사원 지정 • 지정 주체: 지방산림청장 또는 시장·군수 • 임무: 검사 일정 수립, 검사 통보서 발송, 현장 검사 수행검사 통보 • 통보 시기: 검사 7일 전까지 「산림용 묘목검사 통보서」 발송 • 통보 내용: 검사 일시·장소, 준비사항(묘목 분류 상태 등)모집단 구성 • 구분 기준: 수종·산지·묘령별 50,000본 단위 • 특이사항: 대행 생산 시 선별 후 모집단 구성 필수2. 본 검사 수행 절차1단계..

제132회 산림기술사 기출문제

※ 다음 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10점)1. 밀식의 장점과 단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2. 수목병의 삼각형 및 수목병의 사면체 5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3. 수목병의 다범성과 단범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각각 3종 기재하시오.4. 2차 해충(Secondary insect pests)에 대하여 설명하시오.5. 클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6. 입목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7. 지위지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8. 동령림 경영에서 요구되는 결정인자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9. 산지사방에서 기초공사의 공종을 설명하시오.10. Matthews의 최적임도간격이론을 모식도를 이용하여 설명하시오.11. 우리나라 임업기계화의 문제점 및 저해요인을 설명하시오.12. 산림의 녹색댐 기능과 그 기능을 증진시키기 위..

제131회 산림기술사 기출문제

※ 다음 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10점)1. 제충제(除蟲濟, Insectistatics)의 정의2. 카스페리안대(Casparian strip)의 역할3. 바꿔심기 및 메워심기 대상 가로수4. 소나무재선충병 약제살포(정밀드론·지상)시 살포 제외 6개 지역5. 사방사업의 설계, 시공 세부기준 내 정지작업6. 사방댐의 댐둑마루 두께결정7. 사방댐의 컷오프와 단끊기 비교8. 간선임도·지선임도 시설기준 내 파종, 녹화9. 산불진화임도 시설기준 내 교량, 암거10. 「임업 및 산촌진흥 촉진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임업경영의 4가지 기본원칙11. 임지기망가의 크기에 영향을 주는 인자12. 제6차 산림기본계획(2018년∼2037년)의 비전과 목표13. 「산림기본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국가..

제129회 산림기술사 기출문제

※ 다음 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10점)1. 건조경화(drought hardening)2. 산림기본법 시행령에 따른 산촌의 요건3. 개체목의 생장4. 수목장림 대상지 선정기준5. 산림르네상스 추진 6대 전략6. 산지관리법 시행령에 따른 산지복구공사에 대한 감리대상7. 벌목작업 시 벌도맥 개념과 기능8. 재적의 종류에 따른 형수분류9. 생태숲 지정지역의 선정기준10. 임산물생산업 면적직접지불금의 기준면적 구간 및 지급상한면적11. 임도설치 및 관리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른 감리원의 업무범위12. 도시숲등 기본계획의 수립 시 포함되어야할 사항13. 안정적인 종자 및 묘목생산을 위한 산림청의 기본방향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25점)1. 인공림의 수종별 시업..

제128회 산림기술사 기출문제

※ 다음 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10점)1. 산사태위험지판정기준표에서 사용되는 경사길이, 경사위치, 치수림의 정의2. 산지전용 시 복구설계서 승인기준 내 토질에 따른 비탈면기울기3. 산림관리기반시설의 타당성평가 항목별 기준 및 방법의 평가항목 중 경사도 계산 방법4. 간선임도·지선임도의 시설기준에서 교량·암거의 활하중5. 작업임도의 설치대상지6. 임업경영의 목적에 따른 벌기령의 종류(7가지)7. 산림경영계획 작성 시 산림사업 실행 및 세제 감면 혜택8. 임지의 생산능력 급수 평가인자(8가지)9. 산림청에서 권장하는 조림수종 78종 중 내화수종10. 산림청에서 제시한 산림병해 중 비전염성병해(8가지)11. 산림유전자원 보호구역 구분12. 산불 경보의 발령기준13. 유기농업자재로 공시·..

제126회 산림기술사 기출문제

※ 다음 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10점)1. 임목의 양분흡수기작2. 산지전용기간의 결정기준3. 토지이용, 토지이용 변화 및 임업(Land Use, Land Use Change and Forestry;LULUCF)의 개념4. 수목해충의 생태적 방제5. 산림경관 관리를 위한 숲가꾸기 기본원칙6. 단끊기의 목적과 시공요령7. 임목의 흉고형수를 이용한 재적측정법8. 자연휴양림의 수요측면에서의 입지조건9. 사방댐의 안전도 등급평가 및 조치사항10. FSC(Forest Stewardship Council) 산림관리 10원칙11. 바버체어(barber chair)의 개념과 방지법12. 산림치유프로그램의 6대 요법13. 충립공(衝立工)의 목적과 구조도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

제125회 산림기술사 기출문제

※ 다음 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10점)1.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서 규정한 산림을 통한 기후변화완화 방안 4가지2. 숲가꾸기 설계·감리 및 사업시행 지침의 ‘선목을 수행할 수 있는 자’3. 임도노선의 선정기준에서 ‘임도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4. 산림경영계획 작성 시 ‘소반의 구획기준’5. 벌채지 등에서의 산림조성에서 조림예외지역6. 수목원시설의 설치기준7. 저댐군 공법의 장점8. 벌기 40년인 소나무림을 20년생일 때 구입하여 처음에는 20년, 그 다음부터는 40년마다1000만원의 주벌수입을 영구히 얻기 위한 현재가 합계(단, 이율=5%, 1.05 40 =7, 1.05 20 =3)9. 산사태위험지 판정기준표상 “상..

제123회 산림기술사 기출문제

※ 다음 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10점)1. 정량간벌과 정성간벌의 선목2. 사방사업의 설계 시공기준에서 정한 산지복원사업의 종류3. 산림기본계획의 차수별 비전·목표4. 침엽수와 활엽수의 가지치기 요령(모식도 중심)5. 임목벌채 시 저목장의 선정조건6. 산림투자의 경제성 분석 방법 중 “순현재가치법” 정의 및 수식모형7. 종자의 정선방법8.「산지관리법」에서 정한 산지에서 제외되는 토지9. 표본조사법 표본점의 수(n)를 구하는 식의 각 변수들 정의10. 산림의 기능별 관리목표11. 다목적 임목수확 장비 중 펠러번처(feller buncher)12. 「산지관리법 시행규칙」에서 규정하고 있는 산지특성평가의 고려사항13. 산림자원 순환경제의 실행개념인 “지역순환형 임업”을 일반 사유림 경영과..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