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 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10점)
1. 하천 훼손(impairment)의 전이(轉移)
하천 훼손의 전이는 하천 생태계가 손상되는 과정과 그 영향이 확산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1. 원인과 결과의 연쇄: 하천 훼손은 단순히 한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연쇄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2. 공간적 확산: 하천의 상류에서 발생한 훼손이 하류로 전달되어 더 넓은 지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생태계 구성요소 간 상호작용: 수질 악화, 서식지 파괴, 생물다양성 감소 등 다양한 생태계 구성요소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훼손이 확대됩니다.
4. 사회경제적 요인의 영향: 토지이용, 산업활동, 인구특성 등 유역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하천 훼손의 근본적인 원인이 되어 생태계에 영향을 미칩니다.
5. 시간에 따른 변화: 하천 훼손은 즉각적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장기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진행되기도 합니다.
하천 훼손의 전이를 이해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하천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유역 전체와 그 사회경제적 특성까지 고려한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2. 생태계교란생물 정의와 2019년 추가지정된 2종 설명
생태계교란 생물은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1. 유입주의 생물 및 외래생물 중 생태계의 균형을 교란하거나 교란할 우려가 있는 생물
2. 유입주의 생물이나 외래생물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생물 중 특정 지역에서 생태계의 균형을 교란하거나 교란할 우려가 있는 생물
이 중 위해성평가 결과 생태계 등에 미치는 위해가 큰 것으로 판단되어 환경부장관이 지정·고시한 생물을 말합니다.
2019년에 추가 지정된 2종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열대긴수염개미: 구체적인 특성은 검색 결과에 제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2. 물여뀌바늘: 구체적인 특성은 검색 결과에 제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두 종은 2019년 10월 31일부터 생태계교란 생물로 신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습니다.
3. 엽면적지수(Leaf Area Index) 개념
엽면적지수(Leaf Area Index, LAI)는 단위 지면 면적당 식물 캐노피의 일면 잎 면적 비율을 나타내는 무차원 지표입니다. 구체적으로:
1. 정의: LAI는 단위 토지 면적에 대한 식물 잎의 총 면적 비율입니다.
2. 계산: 예를 들어, LAI가 3인 캐노피는 지면 면적에 대한 잎 면적의 비율이 3:1입니다.
3. 범위: 전 세계적으로 LAI는 매우 다양하며, 일부 사막 생태계는 1 미만, 가장 울창한 열대림은 9까지 높을 수 있습니다.
4. 중요성: LAI는 광합성, 증발산, 에너지 균형 등 생물물리학적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식물의 생산성과 생태계 기능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변수입니다.
5. 응용: LAI는 작물과 산림의 성장 및 생산성을 측정하는 척도로 사용되며, 생물지구화학, 수문 및 생태 모델에서 주요 생물물리학적 변수로 활용됩니다.
4. 가장자리효과(edge effect)
가장자리효과(edge effect)는 생태계의 경계 부분에서 나타나는 특별한 생물학적 현상을 말합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정의: 서로 다른 생물군의 서식지가 만나는 경계 지역에서 종의 다양성과 밀도가 각 서식지 중심부보다 높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2. 원인: 경계 지역은 다양한 서식 환경과 식량 자원을 제공하여 여러 종의 생물이 공존할 수 있게 합니다.
3. 사례:
- 산과 들의 경계
- 바다와 육지의 경계
- 강과 호수의 경계
- 숲과 초원의 접경 지역
4. 영향:
- 생물다양성 증가: 경계 지역에서는 다양한 종이 서식할 수 있어 생물다양성이 높아집니다.
- 생태계 기능: 가장자리 효과는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5. 활용:
- 생태계 복원: 훼손된 생태계 복원에 가장자리 효과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멸종 위기종 보호: 경계 지역에 보호 구역을 설정하여 멸종 위기종의 생존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6. 주의점: 가장자리 효과는 일부 종에게는 긍정적으로, 다른 종에게는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가장자리효과는 생태계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이며, 생태계 보전과 관리에 있어 중요한 고려사항입니다.
5. 보전가치평가를 위한 여과법(filtering method)
보전가치평가를 위한 여과법(filtering method)은 보전 대상 지역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여러 기준을 단계적으로 적용하여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단계적 접근: 여러 평가 기준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보전 가치가 높은 지역을 선별합니다.
2. 다양한 평가 항목 활용: 면적, 다양성, 자연성, 희귀성, 허약성, 전형성, 생태적/지리학적 위치, 잠재적 가치 등 다양한 항목을 고려합니다.
3. 정량적 평가: 각 평가 항목에 대해 점수를 부여하고, 필요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여 정량적인 평가를 수행합니다.
4. 지역 특성 반영: 습지생태계, 산림생태계 등 개별 서식처의 특성에 따라 평가 기준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5. 보전 등급 설정: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호가치가 높은 지역(1등급), 완충지역 및 보호가치가 있는 지역(2등급), 이용가능 지역(3등급)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여과법을 통해 보전가치가 높은 지역을 체계적으로 선별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보전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6. 염생식물(鹽生植物, halophyte)의 정의와 생존전략
염생식물(鹽生植物, Halophyte)의 정의와 생존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정의:
염생식물은 염분이 높은 환경에서 자생하거나 생육할 수 있는 식물들을 의미합니다. 주로 해변가, 개펄, 염전 등 염분이 많은 토양에서 자라는 식물을 말합니다.
□ 생존전략:
1. 염분 축적: 세포 속에 염분을 많이 축적하여 삼투압을 조절합니다.
2. 수분 흡수: 일반 식물보다 물을 잘 흡수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3. 염분 배출: 염선이라는 기관을 통해 체내에 유입된 소금기를 잎의 표면으로 배출합니다.
4. 뿌리에서의 염분 여과: 최대 90% 정도의 소금기를 뿌리에서 걸러냅니다.
5. 나트륨 이온 격리: 유해한 나트륨 이온을 액포에 보내어 생존을 유지합니다.
이러한 전략들을 통해 염생식물은 일반 식물이 살기 어려운 염분이 높은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습니다.
7. 생태면적률 적용지침(환경부, 2016)에 따른 인공지반녹지의 토심별 가중치
환경부의 2016년 생태면적률 적용지침에 따른 인공지반녹지의 토심별 가중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토심 90cm 이상: 가중치 0.7
2. 토심 40cm 이상 90cm 미만: 가중치 0.6
3. 토심 10cm 이상 40cm 미만: 가중치 0.5[5]
이러한 가중치 체계는 토심의 깊이에 따라 생태적 가치를 차등적으로 평가하여 적용하고 있습니다. 토심이 깊을수록 식물의 생육에 유리하고 생태적 기능이 높아지므로 더 높은 가중치가 부여됩니다.
8. 수목의 미세먼지 저감 원리
수목은 다음과 같은 원리로 미세먼지를 저감합니다:
1. 흡착: 나뭇잎, 가지, 줄기의 미세하고 복잡한 표면이 미세먼지를 흡착합니다.
2. 흡수: 잎의 기공을 통해 미세먼지를 흡수합니다.
3. 차단: 나무의 가지와 줄기가 미세먼지의 이동을 차단합니다.
4. 침강: 숲 내부의 낮은 기온과 높은 습도로 인해 미세먼지가 빠르게 침강됩니다.
5. 전기적 반응: 전하를 띤 미세먼지 입자가 나뭇잎과 줄기에 부착됩니다.
6. 생화학적 작용: 일부 식물은 대기 오염 물질을 흡수하여 무해한 물질로 변환합니다.
이러한 원리들을 통해 수목은 대기 중의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킵니다.
9. 총1차생산력(Gross Primary Productivity), 순1차생산력(Net Primary Productivity),
순생태계생산력(Net Ecosystem Productivity)
총1차생산력(Gross Primary Productivity, GPP), 순1차생산력(Net Primary Productivity, NPP), 순생태계생산력(Net Ecosystem Productivity, NEP)은 생태계의 생산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1. 총1차생산력(GPP):
독립영양생물인 1차 생산자가 동화시킨 유기물의 총량입니다. 주로 광합성을 통해 이루어지며, 육상 생태계나 해양의 투광대에서는 총 광합성량과 거의 같은 값을 나타냅니다.
2. 순1차생산력(NPP):
총1차생산력에서 생산자의 호흡량을 뺀 값입니다. 실제로 생산자의 생체량으로 축적된 양을 나타내며, 소비자나 분해자가 이용할 수 있는 에너지량을 의미합니다.
NPP = GPP - 생산자의 호흡량
3. 순생태계생산력(NEP):
순1차생산력에서 종속영양생물(소비자와 분해자)의 호흡량을 뺀 값입니다. 생태계 전체의 순 탄소 흡수량을 나타내며,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NEP = NPP - 종속영양생물의 호흡량
2007년 한국의 경우, 순생태계생산력(NEP)은 4,610,000 tC yr^(-1)로 추정되었으며, 이는 인위적 탄소배출량의 3.3%를 상쇄시킨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생산력 지표들은 생태계의 건강성과 탄소 순환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기후변화와 인간 활동이 이들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연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10. 토양의 입단화(粒團化)
토양의 입단화(粒團化)는 토양 입자들이 서로 결합하여 더 큰 구조체를 형성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입단화는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특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1. 형성 요인:
- 점토 입자 간 양이온에 의한 응집
- 유기물의 결합 작용
- 미생물 활동
- 식물 뿌리의 영향
2. 입단화의 효과:
- 토양의 공극 분포 개선
- 투수성, 보수성, 통기성 향상
- 토양 침식 방지
- 미생물의 서식 환경 개선
3. 입단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칼슘 이온: 토양 입단화 촉진
- 나트륨 이온: 입단 형성에 불리
- 유기물: 입단 형성 및 안정성 증진
- 경운: 잦은 경운은 입단 파괴
4. 간척지 토양의 입단화:
- 유기물 처리로 입단화도 향상
- 토양 특성에 따라 입단 형성 정도 차이
5. 입단의 평가:
- 입단화도: 0.1mm 이상 입단의 비율
- 중량평균직경(MWD): 형성된 입단의 크기 비교 지표
토양의 입단화는 토양의 질을 개선하고 작물 생육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적절한 토양 관리를 통해 입단화를 촉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1. 식물의 광포화점(light saturation point)
광포화점은 식물의 광합성 속도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빛의 세기를 의미합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빛의 세기가 증가함에 따라 광합성 속도도 증가하지만, 어느 지점에 도달하면 더 이상 증가하지 않습니다.
2. 광포화점은 식물 종류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양생식물의 경우 조사 광량의 30~60% 범위에 있습니다.
3. 온도와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변화합니다. 생육적온까지 온도가 높아질수록 광포화점은 낮아지고,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질수록 광포화점이 높아집니다.
4. C4 식물(옥수수, 수수, 사탕수수 등)은 최대 조사 광량에서도 광포화점이 나타나지 않으며, 이때 광합성률은 C3 식물의 2배에 달합니다.
5. 군락 상태에서는 개별 잎보다 더 높은 광포화점을 보입니다. 예를 들어, 벼의 경우 단엽의 광포화점이 약 30klux일 때, 포장 군락에서는 전광에서도 포화상태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광포화점을 이해하는 것은 작물 재배와 온실 관리에 중요하며, 식물의 최적 생육 조건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12. 인공위성 영상자료 활용의 한계점
인공위성 영상자료 활용의 주요 한계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해상도 문제: 저해상도 위성은 넓은 범위를 촬영할 수 있지만, 해상도가 낮아 데이터를 가치 있게 분석하기 어렵습니다.
2. 데이터 크기: 위성 영상 데이터의 크기가 매우 커서 처리와 분석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3. 비용: 고해상도 위성은 높은 화질로 촬영하지만, 많은 반경을 촬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습니다.
4. 시간과 노력: 방대한 양의 위성영상 데이터를 인간이 직접 분석하는 데는 시간과 노력의 한계가 있습니다.
5. 갱신 주기: 자료의 갱신주기를 단축시키는 것이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이러한 한계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AI 기술을 활용한 영상 분석, 초해상화 기술 개발, 초소형 위성 활용 등의 방안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13. 생태계서비스 중 조절서비스
조절서비스는 생태계 과정의 자연적 조절을 통해 인류가 얻는 혜택을 의미합니다. 주요 조절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후 조절: 온실가스 흡수, 탄소 고정, 강수량 조절 등
2. 대기질 조절: 미세먼지 및 화학물질 포집, 열섬현상 완화
3. 수질 정화: 오염물질 희석 및 흡수
4. 자연재해 완화: 홍수, 가뭄 등의 영향 감소
5. 토양 침식 조절: 식생의 뿌리가 토양을 고정
6. 생물학적 조절: 해로운 생물의 개체수 조절
7. 질병 조절: 생태계를 통한 질병 확산 방지
8. 폐기물 처리: 생태계를 통한 폐기물 분해 및 정화
9. 수분 작용: 꽃가루 매개를 통한 식물의 번식 지원
조절서비스는 인간 사회에 직접적인 혜택을 제공하지는 않지만, 장기적으로 환경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다른 생태계 서비스의 기반이 됩니다.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25점)
1. 환경부 소관 법률(환경정책기본법, 자연환경보전법, 습지보전법, 자연공원법, 물환경보전법)에서 규정한 자연환경보전과 관련된 사업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환경부 소관 법률에서 규정한 자연환경보전과 관련된 주요 사업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자연환경보전법
- 자연환경조사 실시: 10년마다 전국을 대상으로 자연환경조사를 실시하여 생태계 현황을 파악합니다.
- 생태·자연도 작성: 자연환경조사를 바탕으로 전국의 자연환경을 1~3등급과 별도관리지역으로 구분하여 생태·자연도를 작성합니다.
- 생태계보전협력금 부과: 생태계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사업에 대해 생태계보전협력금을 부과·징수합니다.
2. 물환경보전법
- 수질오염물질 배출시설 관리: 수질오염물질 배출시설의 설치 허가 및 신고, 운영 관리를 규정합니다.
- 폐수 배출 관리: 폐수 배출허용기준 설정 및 초과 시 개선명령, 배출부과금 부과 등의 조치를 취합니다.
3. 환경정책기본법
- 환경보전 중기종합계획 수립: 국가 차원의 환경보전 정책 방향과 목표를 설정합니다.
4. 자연공원법
- 국립공원 지정 및 관리: 국립공원을 지정하고 보전·관리하는 사업을 수행합니다.
5. 습지보전법
- 습지보호지역 지정: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지역을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합니다.
이러한 사업들은 자연환경의 체계적인 보전과 관리를 통해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고, 국민의 건강과 쾌적한 생활환경을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 「생태통로 설치 및 관리지침(환경부, 2010)」에 따른 육교형 생태통로 조성기법을
표준개념도와 함께 설명하시오.
「생태통로 설치 및 관리지침(환경부, 2010)」에 따른 육교형 생태통로의 주요 조성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폭: 중앙부 최소 폭은 7m 이상이어야 하며, 주요 생태축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최소 폭을 30m 이상으로 한다.
2. 진입부: 인접한 자연지형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며, 경사가 급하지 않도록 한다.
3. 식생: 진입부와 내부의 식생은 주변과 유사하게 식재하되 과밀하지 않아 물리적 또는 시각적으로 이동의 장애가 되어서는 안 된다.
4. 토심: 통로 내 식재지에서의 토심은 식생의 안정적인 성장을 고려하여 70cm 이상을 확보한다.
5. 지표면: 양토와 낙엽 등을 이용하여 야생동물이 거부감을 갖지 않도록 하며 초본의 발아와 활착이 용이하도록 한다.
6. 소형동물 배려: 폭이 30m 이상인 경우 양서·파충류 및 소형포유류의 이동을 위해 물웅덩이와 나무 그루터기 더미를 길고 연속적으로 조성한다.
7. 차단벽: 차량의 불빛과 소음의 영향을 줄이는 차단벽을 생태통로 양편에 설치한다.
8. 유도울타리: 생태통로와 이어지는 도로 구간에 유도울타리를 설치하여 생태통로로의 유도 및 로드킬 예방을 도모한다.
9. 배수: 통로 내부로 물이 흐르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입구부에 배수로를 설치하는 경우 배수로 탈출시설을 설치한다.
이러한 조성기법들은 야생동물의 안전한 이동과 생태계 연결성 확보를 목적으로 하며, 각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효과적인 생태통로를 구성하게 됩니다.
3. 금개구리 대체서식지 조성 절차(현황조사분석, 입지선정, 대체서식지 조성, 유지관리
모니터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금개구리 대체서식지 조성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현황조사분석
- 기존 서식지의 생태적 특성, 금개구리 개체군 크기, 서식 환경 등을 조사합니다.
- 주변 환경과 토지이용 현황을 파악합니다.
- 금개구리의 생활사, 서식지 구성요소(공간, 먹이, 물, 은신처)를 분석합니다.
2. 입지선정
- 먹이, 커버, 동면 등 금개구리의 생태적 요구조건을 충족하는 지역을 선정합니다.
- 전문가의 현장답사를 통해 후보 대상지를 평가합니다.
- 훼손된 서식지 면적의 1.5배 이상(완충지역 포함)을 확보합니다.
- 2개 이상의 저습지를 인접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3. 대체서식지 조성
- 금개구리의 먹이활동, 휴식활동, 산란활동을 포함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합니다.
- 산란지에 인접하여 활동지와 동면지를 위치시킵니다.
- 수심을 다양하게 하고, 호안을 굴곡이 있는 선형으로 조성합니다.
- 금개구리의 주요 먹이원인 곤충류를 유인할 수 있는 관목과 초화류 위주의 식생대를 조성합니다.
4. 유지관리 모니터링
-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금개구리 개체군의 변화를 관찰합니다.
- 서식지 적합성 지수(HSI)를 활용하여 대체서식지의 적합성을 평가합니다.
- 지자체 및 환경단체와 연계하여 시민 참여형 모니터링 및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 산란시기(4-5월)와 성체시기(9-10월)에 집중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합니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금개구리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대체서식지를 조성하고,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개체군의 안정적인 유지를 도모할 수 있습니다.
4. 산불 피해지역 식물의 재생전략(regeneration strategy) 및 종조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산불 피해지역 식물의 재생전략 및 종조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재생전략
- 맹아 재생: 지상부가 소실되어도 지하부의 뿌리나 줄기에서 새로운 싹을 내어 재생합니다.
- 종자 발아: 토양 속 종자은행에 저장된 종자들이 발아하여 새로운 개체를 형성합니다.
- 내화성 전략: 두꺼운 수피를 가진 식물들은 산불에 견디고 살아남아 재생합니다.
2. 종조성 변화
- 초기 천이종: 산불 직후에는 빛을 좋아하는 초본류와 관목류가 우점합니다.
- 중기 천이종: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양수성 수종인 소나무, 굴참나무 등이 자리 잡습니다.
- 후기 천이종: 장기적으로는 음수성 수종인 참나무류가 우점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3. 자연복원과 인공복원의 차이
- 자연복원: 다양한 식물종이 자연스럽게 유입되어 생물다양성이 높아집니다.
- 인공복원: 특정 수종 위주로 조림되어 초기에는 단순한 종조성을 보입니다.
4. 시간에 따른 변화
- 산불 발생 후 20년 정도면 다양한 동식물과 미생물이 어우러진 자연 숲으로 회복됩니다.
- Landsat 영상 분석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복원지와 인공복원지의 식생 회복 패턴에 차이가 나타납니다.
산불 피해지역의 식물 재생은 장기적인 과정으로, 지역의 환경 조건과 복원 방식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보입니다. 따라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적절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5. 원격탐사(Remote Sensing)기법 중 식생지수(Vegetation Index) 활용에 대하여 설명
하시오.
원격탐사 기법 중 식생지수(Vegetation Index) 활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식생지수는 원격탐사 영상처리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강조 기법으로, 식물의 상태와 분포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데 활용됩니다. 주요 특징과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원리: 식물의 가시광선과 근적외선 파장에서의 반사율 차이를 이용합니다. 식물은 근적외선에서 높은 반사율을 보이는 반면, 가시광선에서는 낮은 반사율을 나타냅니다.
2. 대표적인 식생지수: 정규식생지수(NDVI)
NDVI = (NIR - Red) / (NIR + Red)
여기서 NIR은 근적외선 반사율, Red는 적색 반사율입니다.
3. 활용 분야:
- 산림, 농업, 환경생태 분야에서 식물의 생육 상태 평가
- 수문학 및 기상학 분야에서 지표 특성 분석
- 엽면적지수(LAI), 생체량, 수관울폐도, 순생산량 등 추정
4. 시계열 분석: 주기적으로 촬영된 위성영상을 이용해 식생의 계절적 변화와 장기적인 변화 추세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5. 환경 모니터링: 가뭄, 산불 등 환경 변화가 식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데 활용됩니다.
6. 생태계 평가: 생태·자연도 작성 등 생태계 평가에 활용되어 보전 가치가 높은 지역을 선별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식생지수는 광범위한 지역의 식생 상태를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해주며, 환경 변화에 대한 식생의 반응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를 통해 생태계 관리, 농업 생산성 향상, 기후변화 영향 평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6. 옥상녹화의 효과를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관점에서 설명하시오.
옥상녹화의 효과는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관점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
경제적 효과:
1. 에너지 절감: 옥상녹화는 건물의 단열 성능을 높여 냉난방 에너지 사용을 줄입니다. 1㎡당 연간 18,168원의 에너지 비용이 절감됩니다.
2. 건물 가치 상승: 녹지 공간을 갖춘 건물은 임대료와 매매가가 더 높게 평가됩니다.
3. 건축물 보호: 옥상녹화는 산성비, 자외선 등으로부터 건물의 방수층을 보호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합니다.
사회적 효과:
1. 휴식 공간 제공: 옥상녹화는 도시민에게 복잡한 환경으로부터 격리된 휴식 공간을 제공합니다.
2. 도시 경관 향상: 불량 경관으로 노출된 옥상을 녹화하여 도시의 미관을 개선합니다.
3. 환경 교육의 장: 복원된 생태계를 활용한 시민 환경교육의 장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환경적 효과:
1. 대기 질 개선: 옥상의 식물들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며, 미세먼지 등 대기 오염물질을 흡착합니다.
2. 열섬 현상 완화: 녹지 공간이 태양열 흡수를 줄이고 증발산 작용을 통해 주변 온도를 낮춥니다.
3. 생물다양성 증진: 도심 내 생물 서식 공간을 제공하여 도시 생태계를 복원합니다.
4. 우수 관리: 빗물을 흡수하고 저장하여 도심 홍수를 예방하고 배수 시스템의 부담을 줄입니다.
옥상녹화는 이러한 다양한 효과를 통해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합니다.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25점)
1. 「제3차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2016-2025)」에서 제시한 도시 생활공간 생태계보전·
복원계획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제3차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2016-2025)」에서는 "자연과 인간이 더불어 사는 생활공간" 목표 아래 도시 생활공간의 생태계 보전 및 복원에 대한 계획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도시 내 생태공간 확충
- 도시공원, 녹지, 옥상정원 등 도시 내 녹색공간을 확대하여 시민들의 자연접근성을 향상시킵니다.
- 생태통로, 생태연못 등을 조성하여 도시 생태계의 연결성을 강화합니다.
2. 생태계서비스 증진
- 도시 녹지의 양적 확대뿐만 아니라 질적 개선을 통해 생태계서비스 기능을 향상시킵니다.
- 도시숲, 도시농업 등을 통해 시민들에게 다양한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합니다.
3. 생태복원 사업 추진
- 훼손된 도시 하천, 습지 등의 생태계를 복원하여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킵니다.
- 도시 재개발 시 생태적 요소를 고려한 설계를 통해 자연친화적 도시환경을 조성합니다.
4. 시민참여형 생태보전 활동 강화
- 도시생태계 모니터링, 생태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시민들의 자연환경보전 인식을 제고합니다.
- 지역주민 주도의 소규모 생태공간 조성 및 관리를 지원합니다.
이러한 계획을 통해 도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도시 생태계의 건강성과 회복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 「자연환경보전사업 설계 가이드라인(국립생태원, 2015)」에서 정한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식재설계’ 기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자연환경보전사업 설계 가이드라인(국립생태원, 2015)」에서 정한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식재설계' 기법은 다음과 같은 주요 원칙과 방법을 포함합니다:
1. 자생수종 우선 도입: 대상지 주변 환경 및 식생 분석 결과를 토대로 자생수종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식재계획을 수립합니다. 이는 생태적 교란을 최소화하고 지역의 생태적 특성을 반영하기 위함입니다.
2. 다층구조 식재: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등 3개 층위 구조를 유지하여 자연림과 유사한 형태의 군집을 조성합니다. 이를 통해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고 안정된 생태계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3. 천이를 고려한 식재: 장기적인 관리계획 하에 자연 천이 과정을 고려한 식재 계획을 수립합니다.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변화하는 생태계의 특성을 반영한 것입니다.
4. 미세 환경 고려: 지형의 기복을 활용하거나 조성하여 미세한 환경 차이를 만들어 생물종 다양성을 증대시킵니다.
5. 토양 환경 조성: 수목 생육에 적합한 토양 및 유효토심을 확보하고, 다짐에 의한 토양 고결현상을 방지합니다. 또한 양호한 배수를 위해 불투수층을 제거합니다.
6. 생태적 지위 고려: 각 식물의 생태적 지위(Ecological niche)를 고려한 배식을 통해 불필요한 천이단계를 제외시키고 효율적으로 목표 군집을 달성합니다.
이러한 기법들을 통해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지속가능한 생태 공간을 조성할 수 있으며, 생물다양성 증진과 생태계 기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3. 수질정화를 위한 습지조성기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수질정화를 위한 습지조성기법은 다음과 같은 주요 요소와 방법을 포함합니다:
1. 다단계 정화 시스템 구축
- 저류조: 유입된 물을 저류하여 침전 가능한 슬러지를 침전시킵니다
- 탈질조: 로도박터 미생물 세라믹과 기능성 탈질세라믹을 충진하여 질소를 제거합니다
- 산화분해조: 바실러스 미생물 세라믹을 충진하여 유기물을 산화, 분해합니다
- 흡착여과조: 기능성 흡착세라믹을 충진하여 유기물 및 이온을 흡착 분해합니다
- 탈인조: 아시네토박터 미생물 세라믹을 충진하여 인을 제거합니다
2. 미생물 활용
- 로도박터, 바실러스, 아시네토박터 등의 농축 미생물을 다공성 세라믹에 부착하여 사용합니다
- 미생물의 최적 성장환경을 조성하고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식생 도입
- 수생식물을 각 단계의 상단에 식재하여 정화 효과를 높입니다
- 식물의 뿌리는 미생물의 부착 면적을 제공하고,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4. 자연적 요소 활용
- 태양광, 기온, 계절, 일조량 등 자연적 요인을 고려한 설계가 필요합니다
5. 토양 및 여과재 선택
- 황토, 목분, 무기바인더 등을 혼합하여 세라믹을 제작합니다
- 다공성 팽창 세라믹은 금속성 이온에 의한 인제거 능력이 탁월합니다
6. 유지관리
-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수질개선 효과를 검증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합니다
이러한 기법들을 통해 수질정화뿐만 아니라 생물서식처 제공, 생물다양성 증대, 자연생태계 복원 등의 부가적인 기능도 수행할 수 있습니다
4. 생물서식공간의 기반인 토양의 시료 채취방법 및 분석항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생물서식공간의 기반인 토양의 시료 채취방법 및 분석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토양 시료 채취방법:
1. 채취 시기: 재배가 끝난 직후부터 다음 작물 심기 전, 비료 사용 전에 실시합니다.
2. 채취 지점: 대상 지역을 대표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형으로 5-10개 지점을 선정합니다.
3. 채취 방법:
-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0-15cm 깊이에서 채취합니다.
- 토양시료채취기나 삽을 이용하여 약 0.5kg을 채취합니다.
- 유기물질 조사 시 스테인리스강 재질, 중금속류는 플라스틱 재질의 도구를 사용합니다.
4. 시료 처리: 채취한 시료 중 약 300g을 분취하여 분석 항목에 따라 적절한 용기에 보관합니다.
□ 토양 분석 항목:
1. 물리성 분석:
- 입도분석, 진비중, 석력함량
- 토성, 함수율, 지반고
2. 화학성 분석:
- pH, 유기물, 양이온치환용량, 전질소, 유효인산
- 칼륨,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전기전도도, 염분
- 붕소, 망간, 철, 유황
- 중금속 (카드뮴, 구리, 비소, 수은, 납, 6가크롬, 아연, 니켈)
- 암모니아태 질소(NH4-N), 인산염(PO4-P)
3. 기타 분석:
- 유기인화합물, PCBs, 시안, 페놀류
-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크실렌, 석유계총탄화수소
-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벤조(a)피렌, 1,2-디클로로에탄
이러한 토양 시료 채취 및 분석을 통해 생물서식공간의 토양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생태계 관리 및 복원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5. 개체군, 국소개체군, 메타개체군의 정의와 상호관련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개체군, 국소개체군, 메타개체군의 정의와 상호관련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개체군(Population):
- 정의: 일정한 지역에서 같은 종의 개체들이 모여 사는 집단입니다.
- 특징: 시공간적 위치를 공유하는 동종 개체들의 집단으로, 생태적 단위이자 진화의 기본 단위입니다.
2. 국소개체군(Local Population):
- 정의: 동일한 패치(서식지)를 점유하고 있는 개체들의 집합입니다.
- 특징: 개체들 간의 유전자 교류가 빈번하게 일어나며, 분단되지 않은 개체군을 의미합니다.
3. 메타개체군(Metapopulation):
- 정의: 공간적으로 격리되어 있으나 일부 개체의 이동에 의해 약하게 연결된 동종 개체군들의 집합입니다.
- 특징: "개체군들의 개체군"으로 표현되며, 국소개체군들이 개체의 이동에 의해 연결된 형태입니다.
상호관련성:
1. 구조적 관계: 메타개체군은 여러 국소개체군으로 구성되며, 각 국소개체군은 개체들의 집합입니다.
2. 공간적 연결: 국소개체군들은 개체의 이동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메타개체군을 형성합니다.
3. 동태적 특성: 메타개체군 내에서 국소개체군들은 절멸과 재정착을 반복하며, 이는 전체 메타개체군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4. 유전적 교류: 국소개체군 내에서는 유전자 교류가 빈번하게 일어나지만, 메타개체군 수준에서는 제한적인 유전자 흐름이 발생합니다.
5. 적용 범위: 메타개체군 개념은 보전 생물학, 침입생물 연구 등 다양한 생태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개념들은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 종의 보전 및 관리 전략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6. 비탈면 녹화시공 후 식생 피복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비탈면 녹화시공 후 식생 피복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사면방향: 정원옥(2001)의 연구에 따르면, 사면방향은 식생피복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환경인자입니다. 남향 사면은 일조량이 많아 초기 생장에 유리할 수 있으나, 건조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2. 경과년수: 시간이 지날수록 식생 피복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우보명 등(1996)의 연구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초본류의 비율은 감소하고 목본류의 출현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 지형: 비탈면의 경사도, 길이, 형태 등 지형적 특성이 식생 피복속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4. 토양 조건: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이 식물의 생장과 피복속도에 영향을 줍니다. 특히 척박하고 건조한 토양 환경에서는 식물의 발아와 생장이 저해될 수 있습니다.
5. 기후 조건: 강수량, 기온, 일조량 등의 기후 요인이 식생 피복속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6. 주변 식생: 주변 자연 식생으로부터의 종자 유입과 천이 과정이 식생 피복속도에 영향을 줍니다.
7. 녹화공법 및 사용된 식물 종: 사용된 녹화공법의 특성과 도입된 식물 종의 특성(발아율, 생장속도, 환경 적응성 등)이 피복속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적절한 녹화공법과 식물 종을 선택하고,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효과적인 비탈면 녹화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25점)
1. 「물환경보전법」에 근거한 수변생태구역의 매수·조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물환경보전법」에 근거한 수변생태구역의 매수·조성에 대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정의 및 목적
수변생태구역은 하천, 호소 등 공공수역의 경계부터 1km 이내의 수변습지 및 수변토지를 의미합니다. 이를 매수하고 조성하는 목적은 상수원 보호, 수생물 보전 및 복원, 비점오염물질 관리 등 수질 개선과 생태계 보호입니다.
2. 매수 대상 및 기준
- 하천, 호소 등의 경계부터 1km 이내 지역
- 상수원 보호, 수생물 보전, 비점오염물질 관리 등이 필요한 지역
- 단, 산림보호구역, 시험림, 산림 등은 제외됩니다.
3. 조성 및 관리 방법
- 매수된 토지에 탄소흡수수종 등 자연식생을 활용한 수변녹지(숲, 습지 등) 조성
- 식생 구조, 생육 및 토양 환경 등을 고려한 정량평가 기준에 따라 체계적으로 조성
4. 사업 절차
- 토지 매수 → 오염원 제거 → 수변녹지 조성 계획 수립 및 설계 → 조성 공사 → 유지관리
5. 관리 및 모니터링
- 정기적인 현장순찰 및 식생관리
- 생태교육 및 체험 프로그램 운영
- 지역주민 협업사업 추진
- 수질 및 생태계 모니터링, 탄소 저감 효과 예측
이러한 수변생태구역의 매수·조성 사업은 수질 개선, 생태계 보전, 탄소 저감 등 다양한 환경적 효과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 생태통로의 주요기능과 한계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생태통로의 주요 기능:
1. 서식지 연결: 도로, 댐 등으로 단절된 야생동·식물의 서식지를 연결하여 생태계의 연속성을 유지합니다.
2. 로드킬 방지: 야생동물의 안전한 이동을 돕고 차량 충돌 사고를 예방합니다.
3. 생물다양성 증진: 야생동물의 활동반경을 넓혀 근친교배를 막고 멸종 가능성을 낮춥니다.
4. 피난처 제공: 야생생물에게 천적 및 대형 교란으로부터의 피난처 역할을 합니다.
5. 교육 및 심미적 가치: 생태교육의 장소로 활용되며 도시 경관을 개선합니다.
□ 생태통로의 한계점:
1. 낮은 이용률: 전체 생태통로 중 야생동물이 실제로 이용하는 곳은 9.6%에 불과합니다.
2. 부적절한 위치 선정: 생태축 연결이 필요한 지점이 아닌, 시공비가 적게 들고 만들기 쉬운 곳에 주로 설치됩니다.
3. 설계 기준 미준수: 환경부 지침의 개방도 기준을 지키지 않은 생태통로가 40% 정도 됩니다.
4. 부적절한 구조: 급경사나 어두운 터널 등 야생동물이 이용하기 어려운 구조로 설계된 경우가 많습니다.
5. 사후 관리 부족: 설치 후 이용 모니터링과 보완 노력이 부족합니다.
6. 인간의 간섭: 일부 생태통로가 시민들의 산책로로 이용되어 본래의 기능을 상실합니다.
이러한 한계점들로 인해 많은 생태통로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어, 효과적인 설계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3. 생물서식공간 조성 후 평가(post-construction evaluation)와 성공여부 판단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생물서식공간 조성 후 평가와 성공여부 판단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평가 방법:
- 정기적인 모니터링 실시: 조성 전, 시공 중, 운영 시로 구분하여 환경변화와 생물종 변화 추이를 관찰 및 기록합니다.
- 목표종 중심의 평가: 목표 생물종의 출현 빈도, 종수, 개체수를 중점적으로 파악합니다.
- 서식 환경 평가: 수환경(수심, 유속 등), 식물종, 식생군락, 서식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합니다.
- 식생 변화 추이 조사: 식재한 식물종의 적응 여부(생존율), 생물종 분포 면적 및 구성 변화를 조사합니다.
2. 성공여부 판단기준:
- 목표종 출현: 설정한 목표종의 출현 여부와 개체수 증가를 주요 기준으로 삼습니다.
- 생물다양성 증진: 조성 전후의 생물다양성 변화를 비교하여 평가합니다.
- 서식지 적합성: 조성된 서식지가 목표종의 생태적 요구조건을 충족하는지 평가합니다.
- 생태계 기능: 조성된 서식공간이 생물다양성 증진 및 생태경관 향상 등의 기능을 달성하는지 평가합니다.
- 참조지역과의 비교: 복원지역과 참조지역의 정량적 조사결과를 비교하여 판단합니다.
3. 평가 기간:
- 최소 2년 이상의 모니터링을 통해 장기적인 변화를 관찰해야 합니다.
- 계절별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연중 변화를 파악합니다.
4. 평가 항목:
- 생물상: 목표종 및 기타 출현 생물종의 종수, 개체수, 분포 등
- 서식 환경: 수질, 토양, 식생 구조 등
- 생태계 기능: 생태계 서비스 제공 능력, 생태적 연결성 등
이러한 평가와 판단기준을 통해 생물서식공간 조성의 성공 여부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관리 방안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4. 비오톱(Biotope)지도 제작을 위한 조사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비오톱(Biotope)지도 제작을 위한 조사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초자료 수집 및 분석
- 토지이용현황도, 토지피복도, 지형주제도, 현존식생도, 동물상주제도 등의 기본 주제도를 수집하고 분석합니다.
2. 비오톱경계구획도 작성
- 수집된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비오톱의 경계를 구획한 공간정보지도를 작성합니다.
- 이는 현장조사를 위한 사전 준비과정으로, 검토위원회의 검토와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3. 현장조사 실시
- 비오톱경계구획도를 바탕으로 현장조사를 수행합니다.
- 조사자의 이름, 조사일, 조사내용을 포함한 실물 조사표를 작성합니다.
- 현장사진을 확보하고 한글야장을 작성합니다.
4. 데이터 정리 및 디지털화
- 현장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엑셀야장으로 변환합니다.
- GIS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공간도형 데이터를 작성합니다.
5. 데이터 통합 및 주제도 작성
- 속성데이터와 공간데이터를 결합하여 기본주제도를 작성합니다.
- 기본주제도를 바탕으로 비오톱유형도를 작성하고 평가하여 비오톱유형평가도를 작성합니다.
6. 추가 주제도 작성
-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거나 향후 활용을 위해 대표비오톱 현황도, 우수비오톱 현황도, 철새 도래지 및 이동현황 분석도, 습지분포도, 불투수현황도, 보호수 및 큰 나무 위치도 등의 추가 주제도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비오톱지도를 제작함으로써 도시의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고, 친환경적인 도시계획 및 관리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5. 녹조(綠潮, algal bloom)의 발생 원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녹조(綠潮, algal bloom)의 주요 발생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영양물질 유입(부영양화):
- 생활하수, 산업폐수, 농경지 퇴비 등에서 유입되는 질소와 인과 같은 영양물질이 수계로 유입되어 조류 성장을 촉진합니다.
2. 수온 상승:
- 녹조의 주요 원인인 남조류는 20~30℃의 수온에서 가장 잘 번식합니다.
3. 일사량 증가:
- 햇빛이 많아지면 조류의 성장이 촉진됩니다.
4. 물 순환 정체:
- 유속이 느리거나 물의 순환이 원활하지 않을 때 녹조 발생이 증가합니다.
5. 계절적 요인:
- 주로 여름철(6~8월)에 발생하며, 수온과 일사량이 높은 시기와 일치합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녹조 현상을 발생시키며, 특히 인간 활동으로 인한 인위적인 부영양화는 녹조 발생을 가속화시키는 주요 원인입니다.
6. 독립영양 천이(Autotrophic succession)와 종속영양 천이(Heterotrophic succession)
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독립영양 천이(Autotrophic succession)와 종속영양 천이(Heterotrophic succession)는 생태계 천이의 두 가지 주요 유형으로, 다음과 같이 비교할 수 있습니다:
□ 독립영양 천이 (Autotrophic succession)
- 정의: 독립영양생물에 의해 주도되는 천이 과정
- 특징:
- 주로 광합성을 하는 식물이 주도함
- 무기물을 유기물로 전환하는 과정이 중심
- 일반적으로 육상 생태계에서 관찰됨
- 예시: 암석 지대에서 시작되는 1차 천이, 황무지에서의 건생 천이
□ 종속영양 천이 (Heterotrophic succession)
- 정의: 종속영양생물에 의해 주도되는 천이 과정
- 특징:
- 주로 분해자나 소비자가 주도함
- 유기물을 분해하거나 소비하는 과정이 중심
- 주로 수생 생태계나 유기물이 풍부한 환경에서 관찰됨
- 예시: 호수나 연못의 부영양화 과정, 낙엽 분해 과정
□ 주요 차이점
1. 에너지원:
- 독립영양 천이: 주로 태양 에너지를 이용
- 종속영양 천이: 유기물에 저장된 화학 에너지를 이용
2. 주요 생물군:
- 독립영양 천이: 광합성 식물, 조류, 일부 박테리아
- 종속영양 천이: 균류, 대부분의 박테리아, 동물
3. 영양물질 흐름:
- 독립영양 천이: 무기물에서 유기물로의 전환이 주요 과정
- 종속영양 천이: 유기물의 분해와 재순환이 주요 과정
4. 생태계 발달:
- 독립영양 천이: 일반적으로 생물량과 다양성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진행
- 종속영양 천이: 유기물의 감소와 함께 생물군집의 변화가 일어남
5. 시간 척도:
- 독립영양 천이: 상대적으로 긴 시간에 걸쳐 진행됨 (예: 수십 년에서 수백 년)
- 종속영양 천이: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진행될 수 있음
이러한 두 유형의 천이는 실제 생태계에서 종종 상호작용하며 복합적으로 일어나, 생태계의 동적 평형 상태를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기출문제 > 자연환경관리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33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기출문제 및 예상답안 (0) | 2025.02.08 |
---|---|
제127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기출문제 및 예상답안 (0) | 2025.02.07 |
제122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기출문제 및 예상답안 (0) | 2025.02.06 |
제121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기출문제 및 예상답안 (0) | 2025.02.06 |
제118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기출문제 (1)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