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자연환경관리기술사

제127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기출문제 및 예상답안

information net 2025. 2. 7. 09:00
728x90
반응형
SMALL

 

 

 

 

2024 자연생태복원 기사 필기 - 기타 자격증 | 쿠팡

쿠팡에서 2024 자연생태복원 기사 필기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기타 자격증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 다음 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10점)

1. 코리더(Corridor: 통로)의 유형과 기능

코리더(Corridor)는 생태계의 연결성을 유지하고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코리더의 유형과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코리더의 유형
 
1. 선형 코리더
- 도로, 철도, 하천변을 따라 설치된 통로
- 식생대나 돌담 등을 이용하여 조성
 
2. 육교형 코리더
- 도로 위를 횡단하는 육교 형태로 설치
- 횡단부가 넓은 곳이나 절토 또는 장애물 등으로 동물 이동이 어려운 곳에 적용
 
3. 터널형 코리더
- 도로 아래로 설치하는 배수구 박스와 같은 이동통로
- 주로 양서류, 파충류, 작은 포유류에 적합
 
4. 광역 생태통로
- 국가적 차원에서 만들어진 통로로, 나라와 나라를 연결
 
5. 지역 생태통로
- 핵심지역 사이를 연결하는 지역적 이동통로
- 그린네트워크, 각 지역의 생물서식공간 연결
 
6. 국지 생태통로
- 국지적인 통로로, 한 지역의 사업으로 만들어지는 통로
 
7. 소생태통로
- 특정 지역에 설치된 소규모 이동통로
- 생울타리, 돌담 등과 같이 인접 지역에 위치한 특정 환경 연결
 
□ 코리더의 기능
 
1. 생물 이동 촉진
- 동물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종 다양성 증진 및 서식 개체 수 증가
- 파편화된 생태계를 연결하여 생태계의 연속성 향상
 
2. 피난처 제공
- 재난, 질병 등으로부터 생물들의 피난 기능 수행
 
3. 유전자 교류
- 야생동물의 이동을 통해 유전자 교류를 촉진하여 근친교배에 의한 유전적 침체 방지
 
4. 서식처 기능
- 주연부 종과 일반종이 우세한 서식처로 기능
 
5. 여과 기능
- 오염물질을 통과시키는 여과 기능 수행
 
6. 생태계 연결
- 핵심지역과 거점지역을 연결하여 생태계의 연속성 확보
 
7. 생물다양성 보존
- 파편화된 소생물권 연결을 통해 생물다양성 보존 및 증진
 
8. 환경적, 경제적 효용성 창출
- 오염원 흡수 및 정화를 통한 환경 부하 저감
- 열에너지 보전에 의한 에너지 절감 효과
- 관광, 휴양, 교육적 가치 제고

 

 

 

 

21세기 자연환경관리기술사 - 자연환경 | 쿠팡

쿠팡에서 21세기 자연환경관리기술사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자연환경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2. 바이오필릭 시티(Biophilic City)의 특징

바이오필릭 시티(Biophilic City)는 도시 환경에 자연을 통합하고 우선시하는 도시 설계 개념입니다. 이러한 도시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자연과의 연결성
 
1. 풍부한 자연 요소
- 공원, 녹지, 수변 공간 등 자연 지역의 보존 및 조성
- 도시 전역에 걸쳐 식물, 나무, 동물 등 다양한 생물 서식
 
2. 자연에 대한 접근성
- 모든 주민이 소득이나 위치에 관계없이 자연에 접근 가능
- 자전거 도로, 산책로, 커뮤니티 정원 등 조성
 
3. 건축 환경에 자연 요소 통합
- 녹색 지붕, 생태 벽, 목재나 석재 같은 자연 소재 활용
- 자연 형태와 패턴을 건축 디자인에 반영
 
□ 생태적 지속가능성
 
1. 생물다양성 증진
- 토착 식물 종 촉진 및 야생동물 서식지 보호
- 도시 생태계의 다양성 유지 및 향상
 
2. 지속가능한 실천
- 탄소 배출 감소, 에너지 효율적 건물 촉진
- 빗물 관리를 위한 녹색 인프라 활용
 
□ 인간-자연 관계 강화
 
1. 다감각적 경험
- 자연광, 그림자, 반사광 등 다양한 빛 요소 활용
- 자연 소리, 질감, 향기 등을 통한 감각적 경험 제공
 
2. 장소 기반 관계
- 지역의 생태와 문화를 반영한 디자인
- 지역 특성을 살린 경관 및 건축물 조성
 
3. 자연 교육 및 참여
- 환경 교육 프로그램 및 자연 관련 이벤트 개최
- 도시 농업, 커뮤니티 가드닝 등 직접 참여 기회 제공
 

 

3. TEEB(The Economics of Ecosystems and Biodiversity)

TEEB(The Economics of Ecosystems and Biodiversity)는 생태계와 생물다양성의 경제적 가치를 가시화하고 이를 의사결정 과정에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국제 이니셔티브입니다. TEEB의 주요 특징과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TEEB의 목적
 
1. 자연의 가치 가시화
- 생태계와 생물다양성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고 이를 명확히 보여줌
- 생태계 서비스의 중요성을 경제적 관점에서 강조
 
2. 의사결정 과정에 통합
- 모든 수준의 의사결정 과정에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서비스의 가치를 주류화
- 정책 입안자, 기업, 개인이 자연 자본을 고려하도록 유도
 
□ TEEB의 주요 활동
 
1. 경제적 평가
- 생태계와 생물다양성 손실의 경제적 비용 분석
- 생태계 보전 및 복원의 비용편익 분석 수행
 
2. 정책 지원
- 국가, 지역, 지방 정부를 위한 정책 도구 개발
- 지속가능한 발전과 생태계 보전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공
 
3. 기업 참여
- 기업이 생물다양성 관련 위험과 기회를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
- 자연 자본 회계를 기업 의사결정에 통합하도록 장려
 
4. 대중 인식 제고
- 개인의 생물다양성 영향에 대한 인식 향상
- 개인이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 수 있는 영역 강조
 
□ TEEB의 접근 방식
 
1. 단계별 접근
- 1단계: 생태계와 생물다양성의 경제적 중요성 강조
- 2단계: 생태계 서비스 평가 방법론 개발 및 적용
 
2. 다학제적 협력
- 과학, 경제, 정책 분야의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실질적인 해결책 모색
 
3. 국가별 연구
- 각 국가의 정책 우선순위에 맞는 생태계 서비스 식별
- 국가별 맥락에 맞는 정책 권고안 개발
 
TEEB는 자연의 가치를 경제적 관점에서 평가하고, 이를 정책과 의사결정에 반영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발전과 생태계 보전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생물다양성 손실과 생태계 파괴로 인한 경제적, 사회적 비용을 줄이고, 자연 자본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사회를 만들어가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4. 자연기반해법(NbS: Nature-based Solution)

자연기반해법(NbS: Nature-based Solution)은 자연과 생태계의 기능을 활용하여 사회적, 환경적 문제를 해결하는 접근 방식입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정의와 목적
 
- 자연 또는 변형된 생태계를 보호, 지속가능하게 관리, 복원하는 행동
- 사회적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면서 동시에 인간 복지와 생물다양성 혜택 제공
-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 물 안보, 식량 안보, 재해 위험 감소 등 다양한 과제 해결
 
□ 주요 원칙
 
1. 지속가능성
- 생태계의 장기적 지속가능성과 회복력 향상
- 기존 자연 서식지 보호 및 훼손된 서식지 복원
 
2. 다기능성
- 하나의 해법으로 여러 혜택 동시 제공
- 예: 습지 복원을 통한 홍수 통제, 수질 개선, 생물다양성 증진, 탄소 격리
 
3. 포용성
- 지역 사회와 이해관계자 참여 강조
- 현지 요구에 맞는 맞춤형 해법 개발
 
4. 적응성
- 변화하는 환경 및 사회 조건에 유연하게 대응
- 규모 조정 및 수정 가능
 
□ 적용 분야
 
-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
- 생물다양성 보존 및 증진
- 수자원 관리 및 수질 개선
- 도시 환경 개선
- 재해 위험 감소
- 식량 안보 강화
 
□ 사례
 
- 맹그로브 숲 복원: 해안 보호, 탄소 격리, 어류 서식지 제공
- 도시 녹지 확대: 열섬 효과 감소, 대기질 개선, 생물다양성 증진
- 자연 홍수 관리: 습지 복원을 통한 홍수 위험 감소
 

 

 

 

G마켓-(메가MGC커피) 더블 아아 세트

3,200원

item.gmarket.co.kr

 

 

5. 깃대종(Flagship Species)

깃대종(Flagship Species)은 특정 지역의 생태계를 대표하는 상징적인 야생 동식물로, 보호의 필요성이 인정되는 종을 말합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정의와 기원
 
- 1993년 국제연합환경계획(UNEP)의 '생물다양성 국가 연구에 관한 가이드라인'에서 처음 제시된 개념
- 특정 지역의 생태·지리·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는 상징적 생물종
 
□ 깃대종의 특징
 
- 지역을 대표하는 상징성을 지님
- 보호 가치가 높고 대중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종
- 해당 종의 보호를 통해 전체 생태계 보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 깃대종의 역할
 
- 생태계 보전의 지표 역할
- 환경 보호에 대한 대중의 관심 유도
- 지역의 생물다양성 증진
- 지역 경제 및 문화 발전에 기여
 
□ 깃대종 선정 사례
 
- 국립공원공단: 2007년부터 21개 국립공원에 총 41종의 야생생물을 깃대종으로 지정
- 지방자치단체별 선정:
- 대전시: 하늘다람쥐, 이끼도롱뇽, 감돌고기
- 성남시: 버들치, 파파리반딧불이, 청딱따구리
- 인천시: 저어새, 점박이물범, 금개구리, 흰발농게, 대청부채
 
□ 깃대종과 다른 개념들
 
- 핵심종(Keystone Species):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 유지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종
- 지표종(Indicator Species): 환경 변화나 생태계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가 되는 종
 
깃대종은 단순히 생태학적 중요성뿐만 아니라 지역의 특성과 문화적 가치를 반영하여 선정되며, 이를 통해 생태계 보전과 지역 발전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는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6. 습지보전법에서 제시한 습지지역의 지정 기준

습지보전법에 따른 습지보호지역의 지정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자연 상태의 원시성 유지 또는 생물다양성 풍부
- 자연 상태가 원시성을 유지하고 있거나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지역
 
2. 희귀종 또는 멸종위기종 서식
- 희귀하거나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이 서식하거나 도래하는 지역
 
3. 특이한 가치 보유
- 특이한 경관적, 지형적 또는 지질학적 가치를 지닌 지역
 
이러한 기준에 해당하는 지역 중 특별히 보전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곳을 환경부장관, 해양수산부장관 또는 시·도지사가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면 5년마다 습지조사 결과를 토대로 습지보전기본계획을 수립하게 되며, 인위적 행위가 제한되고 훼손된 습지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복원 노력이 이루어집니다.

 

7. 자연환경보전법에서 제시한 자연환경복원사업의 종류

자연환경보전법에서 제시한 자연환경복원사업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생태·경관보전지역 관련 사업
- 생태·경관보전지역에서의 자연생태·자연경관과 생물다양성 보전·관리를 위한 사업
 
2. 도시 생태계 관련 사업
- 도시지역 생태계의 연속성 유지 또는 생태계 기능의 향상을 위한 사업
 
3. 생태통로 설치 사업
- 단절된 생태계의 연결 및 야생동물의 이동을 위하여 생태통로 등을 설치하는 사업
 
4. 습지 복원 사업
- 습지보전법에 따른 습지보호지역 등(내륙습지로 한정)에서의 훼손된 습지를 복원하는 사업
 
5. 멸종위기 야생생물 서식지 복원 사업
-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서식지를 복원하기 위한 사업
 
6. 협약등록습지 복원 사업
- 습지보전법에 따른 협약등록습지를 복원하기 위한 사업
 
7. 하천 복원 사업
- 하천법에 따른 보전지구와 복원지구 안에서 하천을 복원하기 위한 사업
 
8. 수변생태벨트 조성 사업
-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섬진강 수계법에 따른 수변생태벨트 조성사업
 
9. 자연공원 훼손지 복원 사업
- 자연공원법에 따라 수립하는 공원별 보전·관리계획에 포함된 훼손지 복원사업
 
이러한 자연환경복원사업들은 훼손된 자연환경의 구조와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생태계의 연속성 유지, 생물다양성 보전, 야생동물 서식지 보호 등 다양한 측면에서 자연환경을 복원하고 관리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농심 신라면 블랙 사발 101G | 홈플러스

컵라면도 당일배송 또는 원하는 시간에 이지픽업! 다양한 할인혜택이 가득한 홈플러스만의 신선한 장보기.

mfront.homeplus.co.kr

 

 

8. 개체군생존분석(PVA: Population Viability Analysis)

개체군생존분석(PVA: Population Viability Analysis)은 보전생물학과 멸종위기종 관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종 특이적인 위험 평가 방법입니다. 이 분석은 특정 개체군이나 종의 생존 가능성을 평가하고 예측하는 데 사용됩니다.
 
□ 정의와 목적
 
PVA는 개체군의 멸종 위험을 평가하고, 보전 전략의 효과를 예측하는 데 활용됩니다.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개체군의 장기적 생존 가능성 추정
- 멸종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식별
- 보전 전략의 효과성 평가
- 자원 관리 결정을 위한 과학적 근거 제공
 
□ 방법론
 
PVA는 다양한 데이터와 모델을 사용하여 수행됩니다:
 
- 인구통계학적 데이터 (출생률, 사망률, 이주율 등)
- 유전적 요인
- 환경 변동성
- 서식지 특성
- 인위적 위협 요인
 
이러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컴퓨터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하여 개체군의 미래를 예측합니다.
 
□ 응용 분야
 
PVA는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 멸종위기종 보전 계획 수립
- 서식지 복원 프로젝트 설계
- 야생동물 관리 정책 결정
- 생태계 영향 평가
 
□ 한계와 고려사항
 
PVA를 수행할 때는 다음과 같은 점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 데이터의 질과 양에 따라 결과의 정확도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장기적 예측에는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 복잡한 생태계 상호작용을 모두 반영하기 어렵습니다.
- 단일 종에 초점을 맞추는 한계가 있습니다.
 
개체군생존분석은 보전 생물학의 중요한 도구이지만, 그 한계를 인식하고 다른 보전 방법들과 함께 종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9. 생태학적 회복력(Ecological Resilience)

생태학적 회복력(Ecological Resilience)은 생태계가 교란이나 스트레스에 직면했을 때 핵심 기능과 구조를 유지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이 개념은 생태계의 지속가능성과 적응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정의와 특성
 
생태학적 회복력은 두 가지 주요 관점에서 정의될 수 있습니다:
 
1. 교란 후 생태계가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는 속도
2. 생태계가 변화를 흡수하고 재조직화하면서도 본질적인 기능과 구조를 유지하는 능력
 
주요 특성:
 
- 저항성: 변화에 대한 생태계의 저항 능력
- 회복성: 교란 후 원래 상태로 돌아가는 능력
- 적응성: 변화하는 환경 조건에 적응하는 능력
- 변형 능력: 필요시 새로운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능력
 
□ 중요성
 
생태학적 회복력의 중요성:
 
- 생태계의 장기적 안정성 유지
- 생물다양성 보전에 기여
- 생태계 서비스의 지속적 제공 보장
- 기후변화 등 글로벌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력 향상
 
□ 관리 전략
 
생태학적 회복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관리 전략:
 
- 생물다양성 보전 및 증진
- 서식지 연결성 확보
- 생태계 기능의 다양성 유지
- 적응적 관리 접근법 채택
- 생태계 모니터링 및 조기 경보 시스템 구축
 
생태학적 회복력에 대한 이해와 적용은 자연자원 관리, 보전 생물학, 생태계 복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생태계가 변화하는 환경에 더 잘 적응하고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입니다.
 

 

10. 비탈면 녹화시 식생 정착에 영향을 주는 제한 요소

비탈면 녹화 시 식생 정착에 영향을 주는 주요 제한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환경적 요인
 
1. 경사도
- 급경사일수록 식생 정착이 어려워집니다.
- 토양 안정성과 수분 보유 능력에 영향을 줍니다.
 
2. 토양 조건
- 영양분 부족: 식물 성장에 필요한 필수 영양소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 유기물 함량 부족: 토양 구조와 수분 보유 능력에 영향을 줍니다.
- 토양 압축: 뿌리 발달과 수분 침투를 방해합니다.
 
3. 수분 가용성
- 강수량 부족: 식물의 생존과 성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높은 증발량: 토양 수분을 빠르게 감소시킵니다.
 
4. 미기후
- 사면 방향: 일조량과 온도에 영향을 줍니다.
- 바람 노출: 식물의 수분 손실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생물학적 요인
 
1. 식물 종 선택
- 현지 기후 적응성: 지역 환경에 맞는 식물 선택이 중요합니다.
- 발아 속도와 발아율: 초기 정착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내건성: 건조한 환경에서의 생존 능력이 필요합니다.
 
2. 뿌리 시스템
- 뿌리 발달: 토양 안정화와 영양분 흡수에 중요합니다.
- 토양 결합력: 비탈면 안정성에 기여합니다.
 
□ 인위적 요인
 
1. 토양 교란
- 건설 작업으로 인한 토양 구조 변화
- 토양 압축으로 인한 식물 생장 저해
 
2. 오염
- 도로 염분: 식물 생장에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대기 오염: 식물의 건강과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제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적절한 녹화 방법과 식물 선택이 이루어져야 성공적인 비탈면 녹화가 가능합니다. 현장 조건에 맞는 맞춤형 접근과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11. 현존식생도와 잠재자연식생도

현존식생도와 잠재자연식생도는 생태학과 환경 관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두 가지 유형의 식생 지도입니다.
 
□ 현존식생도
 
현존식생도는 특정 지역의 현재 식생 상태를 나타내는 지도입니다.
 
- 정의: 현재 실제로 존재하는 식생의 분포와 구성을 보여주는 지도
- 작성 방법: 현장 조사, 항공 사진 분석, 위성 이미지 해석 등을 통해 제작
- 포함 정보: 식물 군집의 유형, 우점종, 식생 밀도, 식생 구조 등
- 용도:
- 생태계 현황 파악
- 토지 이용 계획 수립
- 환경 영향 평가
- 생물다양성 연구
 
□ 잠재자연식생도
 
잠재자연식생도는 인간의 간섭이 없을 때 자연적으로 발달할 수 있는 식생을 예측한 지도입니다.
 
- 정의: 현재의 환경 조건에서 인간의 영향이 제거되었을 때 형성될 수 있는 이론적인 식생 분포를 나타내는 지도
- 작성 방법: 기후, 토양, 지형 등의 환경 요인 분석과 식생 생태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추정
- 고려 요소: 기후대, 토양 유형, 고도, 경사, 수문학적 특성 등
- 용도:
- 생태계 복원 계획 수립
- 자연 보전 지역 선정
- 기후변화 영향 예측
- 생태학적 연구
 
두 지도의 비교는 현재 식생과 잠재적 자연 식생 간의 차이를 보여주며, 이는 인간 활동이 환경에 미친 영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이 정보는 지속가능한 토지 관리와 생태계 보전 전략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됩니다.
 

 

12. 대체서식지 조성을 위한 생물분류군별 핵심 구성 요소

대체서식지 조성을 위한 생물분류군별 핵심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식물
 
- 적절한 토양 조건 (pH, 영양분, 유기물 함량)
- 충분한 수분 공급
- 적정 광조건
- 다양한 식생 구조 (교목층, 관목층, 초본층)
 
□ 포유류
 
- 은신처와 휴식 공간
- 다양한 먹이 자원
- 이동을 위한 생태 통로
- 접근 가능한 수자원
 
□ 조류
 
- 둥지 조성에 적합한 다양한 식생
- 곤충, 열매, 씨앗 등의 먹이 공급원
- 휴식을 위한 나뭇가지나 구조물
- 물가 환경
 
□ 양서·파충류
 
- 산란과 유생 서식을 위한 수환경 (습지, 물웅덩이)
- 은신과 동면을 위한 육상 구조물 (돌무더기, 낙엽층)
- 곤충 등 먹이 자원
- 수환경과 육상환경을 연결하는 이동 통로
 
□ 어류
 
- 적정 수질 조건 (수온, 용존산소량, pH)
- 산란과 은신을 위한 수생 식물
- 다양한 하상 구조
- 플랑크톤, 수생 곤충 등 먹이 생물
 
□ 곤충
 
- 유충과 성충의 먹이가 되는 다양한 식물
- 은신 및 산란을 위한 미소 서식지 (고사목, 돌무더기)
- 습지나 물웅덩이 등 수분 공급원
- 일광욕과 짝짓기를 위한 개방 공간
 
대체서식지 조성 시에는 목표종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이러한 핵심 요소들을 적절히 반영해야 합니다. 또한 서식지의 공간적 연계성과 다양성을 확보하여 전반적인 생물다양성 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13. 생태복원사업에서 사전 조사와 모니터링의 차이점

생태복원사업에서 사전 조사와 모니터링은 목적, 시기, 방법, 결과 활용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목적
 
사전 조사:
- 복원 대상 지역의 현재 상태 파악
- 복원 목표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 수집
- 복원 계획 수립을 위한 정보 제공
 
모니터링:
- 복원 사업의 진행 상황 및 효과 평가
- 생태계 변화 추적
- 적응적 관리를 위한 정보 수집
 
□ 시기
 
사전 조사:
- 복원 사업 계획 단계에서 실시
- 일회성 또는 단기간 수행
 
모니터링:
- 복원 사업 시작부터 완료 후까지 장기간 수행
- 주기적으로 반복 실시
 
□ 방법
 
사전 조사:
- 현장 조사, 문헌 조사, 인터뷰 등 다양한 방법 활용
- 생물상, 물리적 환경, 사회경제적 요인 등 종합적 조사
 
모니터링:
- 표준화된 방법으로 일관성 있게 수행
- 특정 지표 생물이나 환경 요인에 초점을 맞춘 조사
 
□ 결과 활용
 
사전 조사:
- 복원 목표 설정
- 복원 방법 선택
- 예산 및 자원 할당 계획 수립
 
모니터링:
- 복원 사업의 성과 평가
- 필요시 복원 전략 수정
- 장기적인 생태계 변화 추세 파악
 
□ 중요성
 
사전 조사:
- 효과적인 복원 계획 수립의 기초
- 복원 사업의 타당성 평가에 필수
 
모니터링:
- 복원 사업의 성공 여부 판단
- 지속적인 생태계 관리를 위한 핵심 도구
 
이러한 차이점을 고려하여 사전 조사와 모니터링을 적절히 수행하는 것이 생태복원사업의 성공을 위해 중요합니다.
 

 

 

https://click.linkprice.com/click.php?m=homeplus2&a=A100694098&l=9999&l_cd1=O&l_cd2=z&tu=https%3A%2F%2Fmfront.homeplus.co.kr%2Fitem%3FitemNo%3D120078733%26storeType%3DHYPER%26storeId%26optNo

 

농심 오징어짬뽕 큰사발 115G | 홈플러스

컵라면도 당일배송 또는 원하는 시간에 이지픽업! 다양한 할인혜택이 가득한 홈플러스만의 신선한 장보기.

mfront.homeplus.co.kr

 

 

 

https://click.linkprice.com/click.php?m=gmarket&a=A100694098&l=9999&l_cd1=O&l_cd2=z&tu=https%3A%2F%2Fitem.gmarket.co.kr%2FItem%3Fgoodscode%3D4308719957

 

G마켓-(메가MGC커피) 메가베리 아사이볼

3,120원

item.gmarket.co.kr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25점)

1. 식물군집 유사도 지수의 개념과 계산 방법, 생태복원에서의 활용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식물군집 유사도 지수는 두 식물군집 간의 유사성을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는 생태복원 및 식생 관리에서 중요한 도구로 활용됩니다.
 
□ 개념
 
유사도 지수는 두 군집 간 공통 종의 수와 각 군집에 고유한 종의 수를 비교하여 계산됩니다. 값이 높을수록 두 군집이 생태학적으로 더 유사함을 의미합니다.
 
□ 계산 방법
 
주요 유사도 지수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Jaccard 지수:

 
2. Sørensen 지수 (군집계수):


여기서:
- c: 두 군집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종의 수
- a, b: 각 군집에만 고유하게 존재하는 종의 수
 
3. 정량적 데이터를 사용할 경우, 개체수나 피도 등을 고려한 유사비(Similarity Ratio)나 백분율 유사도 지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생태복원에서의 활용
 
1. 복원 목표 설정:
- 참조 생태계와 복원 대상지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복원 목표를 설정합니다.
 
2. 복원 진행 평가:
- 시간에 따른 유사도 변화를 통해 복원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합니다.
 
3. 관리 전략 수립:
- 유사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관리 전략을 수립합니다.
 
4. 생태계 변화 추적:
- 장기적인 유사도 변화를 통해 생태계 변화 추세를 파악합니다.
 
5. 복원 성공 평가:
- 목표 군집과의 유사도를 통해 복원 사업의 성공 여부를 판단합니다.
 
유사도 지수는 생태복원 사업의 계획, 실행, 평가 전 과정에서 중요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종 구성 외에도 기능적 특성, 생태계 서비스 등 다양한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2. 전통생물다양성 지식의 유형인 전통식물지식, 전통생물지식, 전통생태지식에 대하여설명하시오.

전통생물다양성 지식은 지역 공동체가 오랜 시간 동안 자연과 상호작용하며 축적해온 경험적 지식을 의미합니다. 이는 크게 전통식물지식, 전통생물지식, 전통생태지식으로 구분됩니다.
 
□ 전통식물지식
 
전통식물지식은 식물의 특성, 용도, 재배 방법 등에 관한 전통적 지식입니다.
 
주요 내용:
- 약용식물의 효능과 사용법
- 식용 가능한 야생식물 식별 및 조리법
- 전통적인 농업 기술과 작물 재배 방법
- 식물을 이용한 공예품 제작 기술
 
활용 분야: 한약재 개발, 식량 안보, 전통 공예 보존 등
 
□ 전통생물지식
 
전통생물지식은 동물, 미생물을 포함한 다양한 생물에 대한 전통적 지식입니다.
 
주요 내용:
- 동물의 행동 패턴과 서식지에 대한 이해
- 어류와 해양생물에 대한 지식
- 곤충과 미생물의 특성 및 활용법
- 가축 사육 및 관리 기술
 
활용 분야: 생태계 보전, 지속가능한 어업, 전통 축산 등
 
□ 전통생태지식
 
전통생태지식은 생태계 전반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 관리 방식을 포함합니다.
 
주요 내용:
- 생태계의 상호작용과 균형에 대한 이해
- 계절 변화와 기후 패턴에 대한 지식
- 지속가능한 자원 관리 방식
- 생태계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활용
 
활용 분야: 생태계 복원, 기후변화 적응, 지속가능한 자원 관리 등
 
이러한 전통생물다양성 지식은 현대 과학과 결합하여 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가능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급속한 현대화로 인해 이러한 지식이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어, 체계적인 기록과 보존이 필요합니다.
 

 

3. 생태관광지역의 수용력 산출시 고려하여야 할 항목과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생태관광지역의 수용력 산출 시 다음과 같은 항목과 절차를 고려해야 합니다:
 
□ 고려 항목
 
1. 물리적-생태적 요소
- 토양 침식
- 수질 오염
- 생물 서식지 파괴
- 식생 훼손
 
2. 사회-문화적 요소
- 지역 주민의 수용 능력
- 관광객 경험의 질
- 문화적 다양성 보존
 
3. 경제-관리적 요소
- 관광 시설 및 인프라 수용 능력
- 관리 인력 및 자원 가용성
 
□ 산출 절차
 
1. 물리적 수용력(PCC) 계산
- 관광지 면적, 1인당 필요 공간, 회전율 고려
 
2. 실질적 수용력(RCC) 계산
- PCC에 제한 요인(기후, 생태적 특성 등) 적용
 
3. 유효 수용력(ECC) 계산
- RCC에 관리 역량 요소 적용
 
4. 현장 조사 및 데이터 수집
- 방문객 특성, 체류 시간, 활동 패턴 등 조사
 
5. 제한 요인 식별 및 보정 계수 산정
- 강우, 토양 침식, 생물다양성 등 고려
 
6. 수용력 추정치 산출 및 검증
- 계산된 수치와 실제 방문객 수 비교
 
7. 모니터링 및 적응적 관리
- 지속적인 관찰과 필요시 수용력 조정
 
이러한 항목과 절차를 통해 생태관광지역의 지속가능한 이용과 보전을 위한 적정 수용력을 산출할 수 있습니다.
 

 

4. 환경자원 보전·이용을 위한 환경가치추정의 필요성과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환경가치추정의 필요성과 주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환경가치추정의 필요성
 
1. 공공 투자 결정 및 정당화
- 환경 보전, 복원 사업에 대한 공공 지출의 타당성 입증
- 제한된 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위한 근거 제공
 
2. 환경 정책 수립 및 평가
- 다양한 환경 프로그램의 비용-편익 분석 가능
- 우선순위 설정 및 정책 효과성 평가에 활용
 
3. 지속가능한 발전 도모
- 환경자원의 경제적 가치를 고려한 개발 계획 수립
- 생태계 서비스의 중요성 인식 제고
 
4. 환경 피해 보상 산정
- 환경 훼손에 대한 객관적 보상 기준 마련
- 환경 복원 비용 추정에 활용
 
□ 주요 환경가치추정 방법
 
1. 진술선호법 (Stated Preference Methods)
- 조건부가치측정법 (CVM): 가상 시나리오를 통해 지불의사액 직접 조사
- 선택실험법: 다양한 환경 속성과 비용의 조합에 대한 선호도 조사
 
2. 현시선호법 (Revealed Preference Methods)
- 여행비용법: 환경자원 방문에 소요되는 비용을 통해 가치 추정
- 헤도닉가격법: 환경 질이 재화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가치 추정
 
3. 대체비용법 (Replacement Cost Method)
- 환경자원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대체하는 비용으로 가치 추정
 
4. 회피비용법 (Damage Cost Avoided Method)
- 환경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소요되는 비용으로 가치 추정
 
5. 생산함수접근법 (Production Function Approach)
- 환경 질 변화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가치 추정
 
환경가치추정은 환경자원의 비시장적 가치를 화폐 단위로 표현함으로써, 정책 결정자와 일반 대중에게 환경 보전의 중요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다만, 각 방법의 한계를 인식하고 상황에 맞는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문사) 2022년 10월판 2차개정 21세기 자연환경관리기술사 - DivX | 쿠팡

쿠팡에서 (예문사) 2022년 10월판 2차개정 21세기 자연환경관리기술사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DivX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5. 생태복원사업 시 사후관리를 고려한 접근 방안과 생태계교란종, 외래종 유입을 최소화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생태복원사업에서 사후관리를 고려한 접근 방안과 생태계교란종 및 외래종 유입을 최소화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사후관리를 고려한 접근 방안
 
1. 장기적 계획 수립
- 복원 목표 설정 시 단기 및 장기적 관리 필요성 고려
- 지속 가능한 관리 계획 및 예산 확보
 
2. 적응적 관리 체계 구축
-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관리 전략 지속적 조정
- 예상치 못한 생태계 반응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성 확보
 
3. 이해관계자 참여
- 지역 공동체와 이해관계자의 지속적 참여 유도
- 세대 간 지식 전수 및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4. 모니터링 및 평가 체계 구축
- 복원 목표 달성 정도 주기적 평가
- 생태적, 사회경제적 영향 종합적 모니터링
 
□ 생태계교란종 및 외래종 유입 최소화 방법
 
1. 예방적 접근
- 복원 대상지 및 주변 지역의 잠재적 침입종 사전 파악
- 교란에 강한 토착종 선정 및 식재
 
2. 생태적 저항성 강화
- 생물다양성 증진을 통한 생태계 안정성 확보
- 기능적 다양성 고려한 식생 구성
 
3. 조기 탐지 및 신속 대응 체계 구축
-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침입종 조기 발견
- 발견 즉시 제거할 수 있는 대응 체계 마련
 
4. 서식 환경 관리
- 토양 영양분 관리를 통한 침입종 정착 억제
- 적절한 교란 체제 유지로 토착종 경쟁력 강화
 
5. 주변 지역과의 연계성 고려
- 주변 생태계와의 연결성 확보로 토착종 이동 촉진
- 완충지대 조성을 통한 외부 침입종 유입 차단
 
이러한 방안들을 종합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생태복원사업의 장기적 성공과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쿠팡이 추천하는 새학기 준비&졸업 가전디지털 SALE 관련 혜택과 특가

쿠팡이 추천하는 새학기 준비&졸업 가전디지털 SALE 관련 특가를 만나보세요. 로켓와우 회원은 다양한 할인과 무료 배송 및 반품 혜택도 누릴 수 있어요.

pages.coupang.com

 

 

 

 

6. 수변완충지대의 기능과 유지·관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수변완충지대는 수계 주변의 식생 지대로, 다양한 생태적 기능을 수행하며 수질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요 기능과 유지·관리 방안은 다음과 같습니다:
 
□ 수변완충지대의 주요 기능
 
1. 수질 보호
- 유사 및 오염물질 여과
- 영양분 흡수 및 변환
- 지표수 유출 감소
 
2. 하안 안정화
- 식생 뿌리를 통한 토양 고정
- 침식 방지
 
3. 서식지 제공
- 다양한 동식물을 위한 서식 공간
- 생태 통로 역할
 
4. 수온 조절
- 그늘 제공으로 수온 상승 억제
 
5. 홍수 완화
- 유속 감소 및 홍수 저장 능력 향상
 
□ 유지·관리 방안
 
1. 적절한 폭 설정
- 지역 특성에 맞는 완충지대 폭 결정
 
2. 식생 관리
- 다층구조의 자생식물 식재
- 교목, 관목, 초본의 적절한 배치
 
3. 인위적 간섭 최소화
- 완충지대 내 개발 제한
- 농약 및 비료 사용 자제
 
4. 모니터링 및 적응적 관리
- 정기적인 식생 상태 점검
- 필요시 추가 식재 또는 관리 조치
 
5. 교육 및 홍보
- 지역 주민 대상 수변완충지대 중요성 인식 제고
- 자발적 참여 유도
 
6. 법적·제도적 보호
- 수변완충지대 보호를 위한 규제 마련
- 인센티브 제도 도입 검토
 
수변완충지대의 효과적인 유지·관리를 통해 수질 개선, 생물다양성 증진, 경관 향상 등 다양한 생태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쿠팡이 추천하는 새학기를 부탁해! 초중고 참고서&필독서 관련 혜택과 특가

쿠팡이 추천하는 새학기를 부탁해! 초중고 참고서&필독서 관련 특가를 만나보세요. 로켓와우 회원은 다양한 할인과 무료 배송 및 반품 혜택도 누릴 수 있어요.

pages.coupang.com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25점)

1. 생태하천복원사업 업무추진 지침(환경부, 2021.10)에서 참조하천의 선정 원칙 및 복원대상 하천과의 비교 평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생태하천복원사업 업무추진 지침(환경부, 2021.10)에서 참조하천의 선정 원칙 및 복원대상 하천과의 비교 평가 방법에 대해 구체적인 내용은 제시된 검색 결과에 직접적으로 나와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생태하천 복원 사업의 일반적인 원칙과 평가 방법에 대해 유추할 수 있는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참조하천 선정 원칙:
- 복원 대상 하천과 유사한 지리적, 생태적 특성을 가진 하천을 선정해야 합니다.
- 생태적으로 건강하고 자연성이 높은 하천을 참조하천으로 선택해야 합니다.
 
2. 복원대상 하천과의 비교 평가 방법:
- 수질 및 수생태 지표를 활용한 평가가 이루어집니다.
- 생물학적 지표로는 TDI(부착돌말지수), BMI(저서동물지수), FAI(어류평가지수) 등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 물리적 하천 구조와 관련된 지표들(수로 만곡도, 미지형 다양성, 흐름 다양성 등)도 평가에 포함됩니다.
 
평가 과정에서는 전문가의 참여가 중요시되며, 유역(지방)환경청을 포함한 수질 및 수생태 전문가가 50% 이상 참여하는 심의위원회가 구성됩니다. 또한 환경부에서 발간한 '생태하천 복원기술 지침서'와 같은 기술 문서를 참고하여 평가가 이루어질 것으로 추정됩니다.
 
 

 

2. 생태면적률을 적용하는 대상 사업(계획 포함), 산정 방법 및 달성 목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생태면적률은 도시 개발 시 생태적 기능을 유지하거나 개선하기 위한 환경계획 지표입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적용 대상 사업
 
1. 도시관리계획 사업
2. 건축법의 적용을 받는 건축물 건축
3. 지목이 변경되는 개발행위(토지의 형질변경) 허가대상 사업
 
□ 산정 방법
 
생태면적률(%) = (자연순환기능 면적 / 전체 대상지 면적) × 100
 
자연순환기능 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 Σ(피복유형별 면적 × 가중치) + Σ(식재유형별 환산면적)
 
주요 피복유형 가중치:
- 자연지반녹지: 1.0
- 수공간(투수기능): 1.0
- 인공지반녹지 ≥ 90cm: 0.7
- 옥상녹화 ≥ 40cm: 0.6
- 투수포장: 0.4
- 벽면녹화: 0.3
 
□ 달성 목표
 
건축유형별 생태면적률 적용 기준:
 
1. 일반주택(개발면적 660㎡ 미만): 20% 이상
2. 공동주택(개발면적 660㎡ 이상): 30% 이상
3. 일반건축물(업무, 판매, 공장 등): 20% 이상
4. 공공·문화체육시설 및 공공기관 건설 시설/건축물: 30% 이상
5. 녹지지역 시설 및 건축물: 50% 이상
 
용도지역별 생태면적률 적용 기준:
- 전용주거, 일반주거지역: 30% 이상
- 준주거·상업지역: 20% 이상
 
생태면적률은 개발 규모와 지역 특성에 따라 차등 적용될 수 있으며, 일부 대규모 개발의 경우 더 높은 기준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서울시는 현실에 맞게 생태면적률 기준을 개선하고 있으며, 녹지용적률 도입 등을 통해 생태면적 확보를 용이하게 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3.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습지의 적정 개방수면 비율과 지속적 유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습지의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해서는 적절한 개방수면 비율을 유지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적정 개방수면 비율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습지의 적정 개방수면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수생식물군집과 개방수면의 면적비는 40:60~70:30의 범위가 적절합니다.
- 개방수면과 식생 군집이 50:50이 되도록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습지의 조성 목적에 따라 개방수면 비율이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40-60% 수준의 개방수면 유지가 권장됩니다.
 
□ 지속적 유지 방법
 
개방수면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수위 조절: 적절한 수위를 유지하여 식물의 과도한 성장을 억제합니다.
 
2. 식생 관리:
- 갈대, 부들 등 번식력이 강한 식물의 확산을 제어합니다.
- 주기적으로 수생식물을 제거하여 개방수면을 확보합니다.
- 습지 전체 면적을 3-4개 구간으로 나누어 순차적, 격년제로 식물을 제거합니다.
 
3. 토양 관리:
- 유기물과 진흙의 함량이 적은 토양을 사용하여 식물의 과도한 성장을 억제합니다.
- 적절한 토성을 유지하여 식물 성장을 조절합니다.
 
4. 침전지 도입: 습지 말단부에 침전지를 설치하여 퇴적물의 재부유를 방지합니다.
 
5. 모니터링 및 적응적 관리:
-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개방수면 비율과 생물다양성 변화를 관찰합니다.
-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관리 전략을 수정하고 개선합니다.
 
6. 다양한 수심 유지: 깊은 습지, 중간 습지, 얕은 습지 등 다양한 수심을 조성하여 생물다양성을 높입니다.
 
7. 주변 환경 관리: 습지 주변의 생태축 연결성을 고려하여 전체적인 생태계를 관리합니다.
 
8. 지역사회 참여: 지역 주민과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통해 습지 관리의 지속성을 확보합니다.
 
이러한 방법들을 종합적으로 적용하여 습지의 개방수면 비율을 적절히 유지하고 관리함으로써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킬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관심과 체계적인 관리가 습지 생태계의 건강성과 다양성 유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4. 생태복원사업에서 핵심지역, 완충지역, 전이지역별 적정한 식재 밀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생태복원사업에서 핵심지역, 완충지역, 전이지역별 적정한 식재 밀도는 각 지역의 특성과 목적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 핵심지역
 
핵심지역은 생태계의 중심부로, 높은 식재 밀도가 권장됩니다:
 
- 나무: 헥타르당 350-400그루 이상 식재
- 관목: 헥타르당 670그루 이상
- 지표식물: 노출된 토양의 100% 피복을 목표로 함
 
□ 완충지역
 
완충지역은 핵심지역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중간 정도의 식재 밀도가 적합합니다:
 
- 나무: 헥타르당 200-300그루 식재
- 관목: 헥타르당 450-550그루
- 다양한 초본류를 혼합 식재하여 70-80% 피복률 달성
 
□ 전이지역
 
전이지역은 핵심지역과 주변 환경을 연결하는 구역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식재 밀도가 적용됩니다:
 
- 나무: 헥타르당 150-200그루 식재
- 관목: 헥타르당 300-400그루
- 초본류: 50-60% 피복률을 목표로 하되, 자연 천이를 고려한 여유 공간 확보
 
□ 추가 고려사항
 
- 식재 밀도는 현장 조건, 목표 종,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조정이 필요합니다.
- 중간 정도의 군집 식재가 중간 및 높은 스트레스 조건에서 식물 확산을 최대화할 수 있습니다.
- 전이지역에서는 식물 높이와 밀도가 중요하며, 다양한 식물 종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식재 후 2년 동안 모니터링과 보충 식재를 통해 목표 밀도를 달성해야 합니다.
 
이러한 식재 밀도 지침은 생태복원의 성공률을 높이고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각 지역의 특성과 복원 목표에 맞춰 적절히 조정하여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문사) 2022년 10월판 2차개정 21세기 자연환경관리기술사 - DivX | 쿠팡

쿠팡에서 (예문사) 2022년 10월판 2차개정 21세기 자연환경관리기술사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DivX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5. 자생식물을 이용한 생태복원 과정과 전통적인 녹화 과정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자생식물을 이용한 생태복원 과정과 전통적인 녹화 과정은 접근 방식과 목표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 자생식물을 이용한 생태복원 과정
 
1. 준비 단계
- 현장 조사 및 생태계 분석
- 기후대와 종자이동구역을 고려한 자생식물 선정
-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한 종자 수집
 
2. 식재 단계
- 토양 준비 및 개선
- 자생식물 종자 파종 또는 묘목 식재
- 필요시 피복작물 추가
 
3. 관리 단계
- 초기에는 잡초 관리를 위한 고위치 예초 실시
- 자생식물의 느린 성장 속도를 고려한 장기적 관리
- 모니터링 및 적응적 관리 실시
 
4. 성숙 단계
- 자생식물의 깊은 뿌리 시스템 발달
- 생태계의 자연스러운 회복 및 안정화
 
□ 전통적인 녹화 과정
 
1. 준비 단계
- 빠른 녹화 효과를 위한 외래종 또는 개량종 선택
- 대량 생산된 식물 자재 구매
 
2. 식재 단계
- 대규모 토목 공사를 통한 지형 조성
- 균일한 식재 패턴으로 식물 배치
- 즉각적인 녹색 경관 조성을 위한 성체 식물 이식
 
3. 관리 단계
- 집중적인 관수 및 비료 공급
- 잦은 예초 및 전정 작업
- 병해충 관리를 위한 화학 약품 사용
 
4. 유지 단계
- 지속적인 인위적 관리 필요
- 생태계 기능보다는 시각적 효과 유지에 중점
 
□ 주요 차이점
 
1. 목표: 자생식물 복원은 생태계 기능 회복에 중점을 두는 반면, 전통적 녹화는 빠른 시각적 효과에 중점을 둡니다.
 
2. 시간: 자생식물 복원은 장기적 과정이며, 전통적 녹화는 단기간에 결과를 보여줍니다.
 
3. 지속가능성: 자생식물 복원은 장기적으로 자립적 생태계를 형성하지만, 전통적 녹화는 지속적인 인위적 관리가 필요합니다.
 
4. 생물다양성: 자생식물 복원은 지역 생태계의 다양성을 증진시키는 반면, 전통적 녹화는 제한된 종류의 식물을 사용합니다.
 
5. 관리 강도: 자생식물 복원은 초기에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감소하는 반면, 전통적 녹화는 지속적인 고강도 관리가 필요합니다.
 
자생식물을 이용한 생태복원은 시간이 더 오래 걸리지만, 장기적으로 더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만들어냅니다. 이는 산림생태계의 건강성 회복과 생물다양성 증진에 더 효과적인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6. 생태복원사업의 생태자문단, 생태복원감리 및 모니터링 자문단의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생태복원사업에서 생태자문단, 생태복원감리, 모니터링 자문단은 각각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 생태자문단
 
생태자문단의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사업계획, 설계내역, 사업비의 적합성 검토
- 목표종 및 서식처 특성을 고려한 설계 적정성 검토
- 도입 수종, 수량, 소재, 공법 등의 적정성 검토
- 공종별 자재, 수목, 시설물 등의 단가와 수량 검토
 
생태자문단은 주로 설계 단계에서 운영되며, 검토의견서를 작성하여 제출합니다.
 
□ 생태복원감리
 
생태복원감리의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설계서대로 시공하는지 여부 확인
- 품질관리 및 공사관리를 통한 공사 과정에서의 품질향상 도모
- 실시설계에 따른 시공내역 및 공사과정의 적정성 검토
- 공사과정에서의 공정관리 및 품질관리
- 착공, 공사, 준공 등 단계별 현장점검 및 감리보고서 작성
 
생태복원감리는 공사 전 과정에 걸쳐 활동하며, 단계별로 감리보고서를 작성하여 보고합니다.
 
□ 모니터링 자문단
 
모니터링 자문단의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 현장자문: 사업계획과 준공도서를 검토하여 복원 목표에 맞는 모니터링 방향 설정
- 기술자문: 사업 특성과 모니터링 보고서의 적정성 검토, 모니터링 결과와 유지관리 방안 연계성 검토
- 모니터링 보고회 참석: 타사업 사례 공유, 관리주체에게 모니터링 결과에 따른 유지관리 방향 제시
 
모니터링 자문단은 모니터링 기간 중 여러 차례 운영되며, 현장자문, 기술자문, 모니터링 보고회 참석 등의 활동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세 가지 역할은 생태복원사업의 계획, 실행, 평가 단계에서 각각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여 사업의 성공적인 수행과 지속가능한 생태계 복원에 기여합니다.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25점)

 

1. 산불 복원 지역의 모니터링 주요 결과를 제시하고, 산불지역의 복원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산불 복원 지역의 모니터링 주요 결과와 산불지역의 복원 방안은 다음과 같습니다:
 
□ 모니터링 주요 결과
 
1. 조림 복원 효과:
- 소나무의 1년 후 생존율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 조림복원지의 소나무 생장이 양호한 것으로 관찰되었습니다.
 
2. 자연 복원 효과:
- 자연복원지의 수종 생장은 환경에 따라 편차를 보였습니다.
- 토양 유기물과 양분의 회복률이 조림복원지보다 높았습니다.
 
3. 장기적 회복:
- 산불 발생 후 상당 기간이 지나도 토양의 유기물과 양분이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습니다.
- 조림복원지와 자연복원지 모두 피해를 입지 않은 지역에 비해 토양 상태가 열악했습니다.
 
□ 산불지역의 복원 방안
 
1. 복원 계획 수립:
- 과학적 근거와 이해관계자 참여를 바탕으로 복원계획을 수립합니다.
- 피해지 조사, 응급복구, 항구복원의 단계적 접근을 실시합니다.
 
2. 복원 방법 선택:
- 인공 복원과 자연 복원을 지역 특성에 맞게 적용합니다.
- 사유림의 경우 경제성과 지주의 의견을 고려합니다.
 
3. 토양 보호:
- 토양 유실 방지 기법을 적용합니다.
- 토양 수분 유지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합니다.
 
4. 수종 선택:
- 지역의 생태 환경과 기후를 고려하여 적합한 수종을 선택합니다.
- 산불에 강한 수종 식재를 고려합니다.
 
5. 모니터링 및 관리:
-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복원 효과를 평가합니다.
- 필요시 보충 식재 등의 관리 작업을 수행합니다.
 
6. 생태계 다양성 고려:
- 다양한 식물 종을 사용하여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킵니다.
- 주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도 고려합니다.
 
7. 협력체계 구축:
- 다양한 이해관계자로 구성된 협의체를 통해 복원 방향을 결정합니다.
 
산불 피해지 복원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생태계의 건강성과 지속가능성을 고려하여 진행해야 합니다. 인공 복원과 자연 복원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지역 특성에 맞는 최적의 방법을 선택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를 통해 효과적인 복원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2. 염분 및 바람이 많은 해안지역에서 순화 기법을 이용한 식재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염분 및 바람이 많은 해안지역에서 순화 기법을 이용한 식재 방안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적합한 식물 선택
 
- 내염성 식물(halophytes) 선택: 해안가 환경에 적응한 식물종을 우선적으로 고려합니다.
 
- 바람에 강한 식물 선택: 강풍에 견딜 수 있는 식물을 선택합니다.
 
- 다년생 식물 활용: 연중 색감을 제공하고 수분매개체를 유치할 수 있는 다년생 식물을 선택합니다.
 
□ 식재 방법
 
- 경사진 능선 조성: 해안선과 평행하게 직사각형 능선을 만들어 식재합니다.
 
- 식재 각도 조절: 줄기가 육지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식재하여 바람과 염분에 대한 저항력을 높입니다.
 
- 혼합 식재: 빠르게 자라는 수종과 천천히 자라는 수종을 혼합하여 식재합니다.
 
□ 보호 및 관리 방안
 
- 방풍벽 설치: 초기에는 인공적인 방풍벽을 설치하여 식물을 보호합니다.
 
- 단계적 순화: 처음에는 내륙에서 식물을 키우다가 점진적으로 해안 환경에 노출시킵니다.
 
- 토양 관리: 유기물과 진흙 함량이 적은 토양을 사용하여 식물의 과도한 성장을 억제합니다.
 
- 지속적 관리: 식재 후 장기간 지속적으로 관리하며, 필요시 보충 식재를 실시합니다.
 
- 관수 시스템: 초기에는 관수 장치를 설치하여 토양개량제와 함께 수분을 공급합니다.
 
이러한 방법들을 종합적으로 적용하면 염분과 바람이 많은 해안지역에서도 성공적인 식재가 가능합니다.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를 통해 식물의 적응을 돕고 생태계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습니다.
 

 

 

 

조경관리 및 실무연습 - 환경/우주/원자/조선 | 쿠팡

쿠팡에서 조경관리 및 실무연습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환경/우주/원자/조선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3. 습지복원사업에서 방수 기법의 적용 기준과 방수층 조성 기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습지복원사업에서 방수 기법의 적용 기준과 방수층 조성 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방수 기법의 적용 기준
 
1. 투수계수: 방수층의 투수계수는 매우 낮아야 합니다.
 
2. 두께: 방수층은 일정 두께 이상을 유지해야 합니다.
 
3. 재료 특성: 방수막은 신축성과 인장강도가 충분해야 합니다.
 
4. 환경 안전성: 사용되는 재료는 환경에 해를 끼치지 않아야 합니다.
 
□ 방수층 조성 기법
 
1. 점토층 조성:
- 필요시 벤토나이트를 혼합하여 투수성을 조절합니다.
- 적절한 함수상태에서 시공하여 밀도를 확보합니다.
 
2. 방수시트 설치:
- 여러 층의 재료를 조합하여 방수층을 형성합니다.
- 접합부위는 누수 방지를 위해 특별히 주의합니다.
 
3. 복합 방수층 형성:
- 점토층과 방수시트를 조합하여 이중 방수층을 만듭니다.
- 방수층 보호를 위한 추가 층을 설치합니다.
 
4. 지반 안정화:
- 지반 침하 방지를 위한 보강 작업을 실시합니다.
- 연결부분은 누수 방지를 위해 특별히 처리합니다.
 
5. 자연 재료 활용:
- 현장에서 얻을 수 있는 자연 재료를 활용합니다.
- 자연 재료 사용 시 충분한 다짐과 두께 확보가 중요합니다.
 
이러한 방수 기법과 조성 기법을 적절히 적용함으로써 습지의 수문학적 기능을 유지하고 생태계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4. 인공식물섬의 개념, 구조와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인공식물섬은 수면 위에 수생식물이 생육하는 부유습지를 조성하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수질 개선과 생태계 복원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 개념
 
인공식물섬은 수위 변동에 관계없이 수상에 부유하며 습생 비오톱을 조성하는 기술입니다. 이는 호안의 자연수초대를 수면 위로 옮겨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기본 개념입니다.
 
□ 구조
 
인공식물섬의 주요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부체: 부력을 제공하는 재료로 구성됩니다.
 
2. 식생 기반재: 식물이 뿌리를 내리고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합니다.
 
3. 식재용 수생식물: 다양한 수생식물이 사용됩니다.
 
4. 계류장치: 식물섬이 떠내려가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 효과
 
인공식물섬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합니다:
 
1. 수질 정화:
- 수생식물이 오염물질을 흡수하고 제거합니다.
- 식물의 뿌리와 기반재가 미생물의 서식처가 되어 수중 오염물질을 분해합니다.
- 햇빛을 차단하여 조류의 과도한 성장을 억제합니다.
 
2. 생태계 복원:
- 어류의 산란처와 은신처를 제공합니다.
- 조류의 서식지와 번식지가 됩니다.
- 수생 및 육상 생태계를 연결하는 새로운 서식공간을 창출합니다.
 
3. 생물다양성 증진:
- 다양한 생물의 서식처가 되어 생물다양성을 높입니다.
 
4. 경관 개선:
- 수생식물로 아름다운 수상 경관을 조성합니다.
- 다양한 모양으로 설계가 가능하여 지역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5. 교육적 가치:
- 생태학습장으로 활용될 수 있어 환경교육에 기여합니다.
 
인공식물섬은 설치 후 유지관리가 거의 필요 없어 경제적이며, 자연의 힘을 활용하여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생태공학적 접근방식의 좋은 예시입니다.
 

 

 

 

조경관리 및 실무연습 - 환경/우주/원자/조선 | 쿠팡

쿠팡에서 조경관리 및 실무연습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환경/우주/원자/조선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5. 생태복원의 잠재력 평가를 위한 환경 포텐셜(potential)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생태복원의 잠재력 평가를 위한 환경 포텐셜(potential)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
 
□ 환경 포텐셜의 개념
 
환경 포텐셜은 생태계가 복원, 회복 또는 재구성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이는 특정 기술적 개입을 통해 훼손된 시스템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을 원래 또는 더 높은 잠재적 수준으로 복원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냅니다.
 
□ 환경 포텐셜의 주요 특징
 
1. 생태계 서비스 향상: 생태복원 이후 생태계 서비스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잠재적 능력을 포함합니다.
 
2. 지역 특성 반영: 지형, 식생 상태, 기후 요소 등 지역의 생태적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합니다.
 
3. 다양한 평가 방법: 여러 가지 접근 방식을 통해 평가됩니다.
 
□ 환경 포텐셜 평가의 중요성
 
1. 복원 우선순위 설정: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복원 잠재력이 높은 지역을 식별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2. 생태계 통합성 향상: 생태계의 전반적인 기능과 구조를 개선하는 데 기여합니다.
 
3. 지속가능한 발전 지원: 생태복원을 통해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환경 포텐셜 평가는 생태복원 프로젝트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고, 생물다양성 증진과 기후변화 대응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생태계의 회복력을 강화하고 장기적인 생태계 서비스 제공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6. 환경계획 시 시민참여방식의 유형과 시민의 영향력을 기준으로 Arnstein이 제시한 참여단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Arnstein의 시민참여 사다리(Ladder of Citizen Participation)는 환경계획을 포함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시민참여의 수준을 8단계로 구분한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시민의 영향력과 참여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 비참여(Nonparticipation)
 
1. 조작(Manipulation): 시민들을 자문위원회나 이사회에 배치하여 교육하거나 설득하는 단계로, 실제 참여는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2. 치료(Therapy): 시민들의 문제를 개인의 책임으로 돌리고 '치료'하려는 접근 방식으로, 진정한 참여가 아닙니다.
 
□ 형식적 참여(Tokenism)
 
3. 정보 제공(Informing): 시민들에게 권리, 책임, 선택권에 대해 알리는 단계이지만, 일방향적 소통에 그칩니다.
 
4. 자문(Consultation): 시민들의 의견을 듣는 단계이지만, 그 의견이 실제로 반영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5. 회유(Placation): 일부 '가치 있는' 시민들을 자문 및 계획 위원회에 포함시키지만, 실질적인 결정권은 여전히 기존 권력자들에게 있습니다.
 
□ 시민권력(Citizen Power)
 
6. 파트너십(Partnership): 시민들과 권력자들이 책임과 의사결정을 공유하는 단계입니다.
 
7. 권한 위임(Delegated Power): 시민들이 특정 계획이나 프로그램에 대해 주도적인 의사결정 권한을 갖습니다.
 
8. 시민 통제(Citizen Control): 시민들이 프로그램이나 기관을 완전히 관리하는 단계로, 자금 조달부터 정책, 관리까지 모든 측면을 통제합니다.
 
이 모델은 시민 참여를 권력의 재분배 과정으로 보며, 상위 단계로 갈수록 시민의 영향력이 증가합니다. 환경계획에서는 주로 중간 단계인 형식적 참여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최상위 단계인 시민 통제는 실제로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Arnstein의 모델은 1960년대 미국의 도시계획 맥락에서 개발되었으며, 당시의 사회경제적, 인종적 문제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환경영향평가 관련 규정집 - 환경/우주/원자/조선 | 쿠팡

쿠팡에서 환경영향평가 관련 규정집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환경/우주/원자/조선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