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자연환경관리기술사

제133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기출문제 및 예상답안

information net 2025. 2. 8. 09:00
728x90
반응형
SMALL

 

 

 

 

※ 총 13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 10점)

1.『민물가마우지 집단번식지 관리지침(환경부)』의 번식지 형성 전·후 관리 방법

『민물가마우지 집단번식지 관리지침(환경부)』에 따른 번식지 형성 전후 관리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번식지 형성 전 관리 방법 (봄철)
 
- 전년도의 묵은 둥지 제거
- 천적 모형 설치
- 공포탄 등을 활용한 소음 유발로 번식 방해
- 환경 조사 및 모니터링 실시
- 서식지 보호 조치 마련
- 인위적 방해 최소화
- 지역 주민과 관계자들에게 민물가마우지의 생태와 번식지 보호의 중요성 알리기
 
번식지 형성 후 관리 방법 (가을철)
 
- 가지치기
- 제한적 간벌 실시
- 묵은 둥지와 둥지 재료(나뭇가지) 제거
- 번식지 감시 및 모니터링 수행
- 서식지 보호 강화
- 문제 발생 시 신속 대응
- 연구 및 자료 축적
 
이러한 관리 방법들은 비살생적인 방식으로 민물가마우지의 집단번식지 형성을 억제하고 개체수를 조절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자연환경보전법』에서 제시한 자연환경복원사업의 개념과 유형

『자연환경보전법』에 따른 자연환경복원사업의 개념과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연환경복원사업의 개념
 
자연환경복원사업은 훼손된 자연환경과 생태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체계적인 사업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존에 개별적으로 추진되던 생물다양성 보전·관리 사업, 야생생물서식지 복원사업, 생태통로 설치사업 등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체계를 구축한 것입니다
 
자연환경복원사업의 유형
 
환경부에서 제시한 자연환경복원사업의 목표유형은 다음과 같이 7가지로 구분됩니다:
 
1. 지역환경 개선형: 환경오염 발생 또는 우려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합니다.
 
2. 보호지역 내 복원형: 법정 보호지역 내에 위치한 지역을 대상으로 합니다.
 
3. 자연휴식공간형: 지역주민의 접근성이 우수하고 이용 수요가 많은 지역을 대상으로 합니다.
 
4. 탄소저장 중심형: 탄소저장능력 극대화를 위한 자연기반해법(NbS) 확대 지역을 대상으로 합니다.
 
5. 서식처 연결성 증진형: 생태경관의 단절·파편화로 인해 생태계 기능이 훼손되어 유기적 연결이 필요한 지역을 대상으로 합니다.
 
6. 서식처 회복형: 기반환경 훼손에 의한 서식처 회복이 필요한 지역을 대상으로 합니다.
 
7. 특정종 보전형: 멸종위기종 등 생태적 가치가 높은 야생생물 출현 지역을 대상으로 합니다.
 
이러한 유형 분류는 훼손 원인, 소실된 자연생태계 기능 등을 고려하여 주된 복원사업 목표에 따라 구분한 것입니다. 각 유형별로 구체적인 대상지역과 복원방향, 기대효과가 설정되어 있어 체계적인 자연환경복원사업 추진이 가능합니다.
 

 

3. 타감작용(Allelopathy)

타감작용(Allelopathy)
 
개념
타감작용은 한 생물이 자신이 생성한 생화학물질(타감물질, allelochemicals)을 주변 환경에 방출하여 다른 생물의 성장, 생존, 생식에 영향을 미치는 생물학적 현상입니다. 이 현상은 주로 식물에서 관찰되며, 오스트리아 식물학자 Molish(1937)가 처음 제창했습니다
 
주요 특징
- 타감물질: 이차 대사 산물로, 식물의 생존에 필수적이지 않으나 다른 생물에게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 작용 방식: 종자 발아 억제, 뿌리 신장 저해, 영양소 흡수 방해, 효소 작용 억제 등을 통해 주변 식물의 생장을 제한하거나 억제합니다
 
의의
1. 생태적 역할:
- 식물 간 경쟁 조절 및 서식지 유지.
- 초식동물 방어 및 병원균 억제.
2. 농업적 활용:
- 잡초 억제 및 병충해 방지에 친환경적으로 활용 가능.
- 농약 사용 감소와 지속 가능한 농업 실현
 
사례

 
활용
1. 친환경 농업:
- 타감작용을 이용한 자연 제초제 개발.
- 동반 식재를 통해 작물 보호 및 잡초 관리
2. 산림욕 및 건강 증진:
- 피톤치드(phytoncide)와 같은 타감물질은 항균 효과가 있어 산림욕과 약제로 활용됨
3. 생태계 복원:
- 특정 수종 배치를 통해 서식지 조성을 최적화하고 경쟁을 완화
 
타감작용은 자연생태계와 농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지속 가능한 자원 관리와 환경 보전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Temu | Explore the Latest Clothing, Beauty, Home, Jewelry & More

Make Temu your one-stop destination for the latest fashion products, cosmetics & more. Free shipping on items shipped from Temu. Free returns within 90 days. Shop on Temu and start saving.

www.temu.com

 

 

 

 

https://www.credit.co.kr/linkprice/lpfront.jsp?a_id=A100694098&m_id=mycredit1&p_id=289990904QRVuj&l_id=0000&l_cd1=B&l_cd2=1&rd=20&url=https%3A%2F%2Fwww.credit.co.kr&dev_id=&advertising_id=&app_id=&idfa=&dl=&kw=&lpfront_url=https%3A%2F%2Fwww.credit.co.kr%2Flinkprice%2Flpfront.jsp&s=appac

 

www.credit.co.kr

 

 

 

4. 도시생태현황지도 작성을 위한 비오톱 평가도

도시생태현황지도 작성을 위한 비오톱 평가도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비오톱 평가도의 개념과 목적
 
비오톱 평가도는 도시생태현황지도의 핵심 구성요소로, 각 비오톱(생물서식공간)의 생태적 가치를 등급화하여 나타낸 지도입니다. 이는 도시의 생태적 특성을 평가하고 환경관리 정책 수립에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됩니다.
 
평가 과정
 
1. 비오톱 유형화: 현장조사와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비오톱을 유형별로 분류합니다.
 
2. 평가 기준 설정: 생물다양성, 자연성, 희귀성 등 다양한 생태적 요소를 고려하여 평가 기준을 수립합니다.
 
3. 등급화: 설정된 기준에 따라 각 비오톱의 생태적 가치를 평가하고 등급을 부여합니다.
 
□ 주요 고려사항
 
- 공정성과 품질관리: 비오톱 평가 결과는 도시계획의 중요한 의사결정 근거가 되므로, 평가 과정의 공정성과 품질관리가 필수적입니다.
 
- 지역 특성 반영: 각 지역의 생태적 특성과 개발 현황을 고려하여 평가 기준을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 전문성 확보: 정확한 평가를 위해 생태 전문가의 참여와 전문 공무원 제도 운영이 권장됩니다.
 
□ 활용 방안
 
- 도시계획 및 환경계획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
-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의 보전 및 복원 계획 수립
- 개발 사업의 환경영향 평가 시 참고자료로 활용
 
비오톱 평가도는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생태계 보전을 위한 중요한 도구로, 정확성과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지속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합니다.
 

 

5. 10-20-30 식재 원칙

10-20-30 식재 원칙은 도시 숲이나 녹지의 식재 계획 시 식물의 다양성을 유지하고 건강한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지침입니다. 이 원칙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10%: 단일 종(species)이 전체 수목의 10%를 초과하지 않도록 함
2. 20%: 단일 속(genus)이 전체 수목의 20%를 초과하지 않도록 함
3. 30%: 단일 과(family)가 전체 수목의 30%를 초과하지 않도록 함
 
이 원칙의 목적과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병해충 저항성 향상: 다양한 식물종을 포함하여 특정 병해충이나 질병에 대한 전체 숲의 취약성 감소
2. 기후 변화 적응력 증대: 다양한 종을 식재하여 변화하는 기후 조건에 대한 적응력 향상
3. 생태적 기능 강화: 다양한 식물종이 서로 다른 생태적 역할을 수행하여 생물다양성 증가
4. 경관의 미적 가치 향상: 계절에 따른 색상 변화와 경관의 다채로움 제공
 
환경부는 2023년 7월에 개정된 '도시생태축 복원사업 지침서'에 이 원칙을 명시하여, 도시생태복원사업에 적용하도록 하였습니다. 이는 도시 내 훼손된 생태계를 복원하고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10-20-30 식재 원칙은 도시 녹지 관리의 중요한 가이드라인으로, 생태적 다양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6. 선버들, 키버들, 갯버들의 생태적 특성

선버들(Salix purpurea), 키버들(Salix chaenomeloides), 갯버들(Salix gracilistyla)은 버드나무속(Salix)에 속하는 수종으로, 각각 다음과 같은 생태적 특성을 가집니다:
 
□ 선버들(Salix purpurea)
 
- 서식지: 하천변, 습지, 습윤한 지역
- 형태: 낙엽활엽소교목, 높이 2~6m
- 잎: 선형 내지 피침형, 길이 2-10cm, 가장자리가 거의 톱니 없이 매끈함
- 생태적 특성:
- 습지와 하천변에 잘 적응하며 빠르게 성장
- 토양 고정과 침식 방지에 유용
- 삽목을 통해 쉽게 번식
- 물 정화와 토양 안정화에 기여
 
□ 키버들(Salix chaenomeloides)
 
- 서식지: 강변, 습지, 저지대
- 형태: 낙엽활엽교목, 높이 10-15m
- 잎: 긴 타원형 내지 피침형, 길이 8-15cm,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톱니
- 생태적 특성:
- 버드나무 중 큰 키로 자라며 하천변의 우점종이 되기 쉬움
- 물가에서 잘 자라며 토양을 고정
- 종자 번식과 삽목 모두에서 강한 번식력
- 하천 둑 안정화와 물 정화 기능 수행
 
□ 갯버들(Salix gracilistyla)
 
- 서식지: 해안, 강변, 염습지
- 형태: 낙엽활엽소교목, 높이 2-4m
- 잎: 피침형, 길이 5-10cm,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
- 생태적 특성:
- 염분이 많은 토양이나 해안가에서도 잘 자라는 염생 식물
- 습한 토양에 적응하며 염습지 및 해안가 식생 복원에 적합
- 종자와 삽목으로 번식
- 염습지와 해안가의 토양 안정화, 침식 방지, 염분 제거에 기여
 
이 세 종은 각각 다른 환경에 적응하여 중요한 생태적 역할을 수행하며, 수변 생태계의 복원 및 관리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7. 후글컬쳐

후글컬쳐(Hugelkultur)는 독일어로 "언덕 문화"를 의미하는 친환경적인 농업 기법입니다. 이 방법의 주요 특징과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본 구조와 원리
 
- 통나무, 나뭇가지, 잎, 식물 잔해 등의 유기물을 층층이 쌓아 언덕 모양의 둔덕을 만듭니다.
- 유기물 위에 흙을 15-30cm 정도 덮어 완성합니다.
- 유기물이 분해되면서 지속적으로 영양분을 공급하고 토양 구조를 개선합니다.
 
□ 장점
 
1. 영양 공급: 유기물의 분해로 지속적인 영양분 공급
2. 수분 보존: 나무와 유기물이 수분을 흡수하고 유지하여 관수 필요성 감소
3. 토양 개량: 토양 구조 개선 및 미생물 활동 촉진
4. 기후 적응력: 건조하거나 비가 많은 지역에서도 효과적
5. 재활용: 다양한 유기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환경 친화적
 
□ 적용 방법
 
1. 햇볕이 잘 드는 장소 선택
2. 구덩이를 파거나 지상에 직접 쌓기 시작
3. 큰 나무 재료부터 작은 가지, 잎 순으로 층층이 쌓기
4. 흙으로 덮고 필요시 작물 심기
 
후글컬쳐는 지속 가능한 농업과 정원 가꾸기에 적합한 방법으로, 물과 비료 사용을 줄이면서도 식물 생장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8. 중규모 교란설

중규모 교란설(Intermediate Disturbance Hypothesis, IDH)은 생태계의 다양성과 교란 정도의 관계를 설명하는 생태학적 이론입니다. 이 이론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정의: 교란에 약한 종이 절멸하지 않을 정도의 중간 수준의 교란이 있을 때 종의 풍부함이 가장 높아진다는 개념입니다.
 
2. 원리:
- 교란이 심할 경우: 내성이 강한 종만 생존합니다.
- 교란이 약할 경우: 종간 경쟁이 심해집니다.
- 중간 수준의 교란: 다양한 종이 공존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됩니다.
 
3. 적용 예시:
- 미꾸라지 서식지에 메기 등이 존재하는 경우
- 하천 생태계에서의 주기적인 홍수
- 산불 후 식생 회복 과정
 
4. 의의:
- 생태계 관리 및 복원에 있어 중요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합니다.
- 생물다양성 보전 전략 수립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중규모 교란설은 생태계의 균형과 다양성 유지에 있어 적절한 수준의 교란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는 자연환경 관리 및 복원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9. 생태적 참조(Ecological references)

생태적 참조(Ecological references)는 생태계 복원, 관리 및 연구에서 기준으로 사용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정의와 목적
 
생태적 참조는 특정 생태계가 인간의 영향을 받기 이전의 자연적 상태를 나타냅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활용됩니다:
 
- 현재 생태계 상태 평가의 기준점 제공
- 생태 복원 목표 설정
- 생태계 관리 전략 수립
 
□ 주요 특성
 
- 참조 상태: 인간의 간섭이 최소화된 이상적인 생태계 상태를 의미합니다.
- 구조와 기능: 생태계의 구성(종), 구조(복잡성), 기능(생물학적 과정)을 포함합니다.
- 적응성: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 능력을 고려합니다.
 
□ 설정 방법
 
1. 역사적 자료 분석: 과거 기록을 통한 생태계 상태 추정
2. 현존 자연 지역 조사: 인간 간섭이 적은 지역 연구
3. 생태적 모델링: 컴퓨터 모델을 통한 이상적 상태 시뮬레이션
4. 전문가 자문: 생태학자와 지역 전문가의 지식 활용
 
□ 활용 분야
 
- 생태계 복원: 복원 목표 설정 및 평가
- 환경 영향 평가: 프로젝트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보전 전략 수립: 자연 보호구역 설정 및 관리
 
생태적 참조는 훼손된 생태계를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거나 관리하는 데 중요한 지침을 제공하며, 지속 가능한 생태계 관리를 위한 핵심 개념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10. 빗물에 의한 토양 침식의 형태 및 유형

빗물에 의한 토양 침식의 형태 및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침식의 형태
 
1. 표면 침식(Sheet Erosion): 토양 표면에서 얇은 층의 흙이 고르게 씻겨 나가는 현상.
 
2. 선상 침식(Rill Erosion): 표면 침식이 진행되면서 물이 모이는 길을 따라 작은 홈(릴)이 형성되는 침식.
 
3. 도랑 침식(Gully Erosion): 선상 침식이 심화되어 큰 도랑이나 깊은 구덩이가 형성되는 침식.
 
4. 산사태 침식(Mass Erosion): 강우로 인해 토양의 큰 덩어리가 한꺼번에 미끄러져 내려오는 현상.
 
□ 침식의 유형
 
1. 우적침식(Raindrop Erosion): 강우가 지표면에 떨어지면서 토양을 타격하여 분산시키는 침식.
 
2. 면상침식(Sheet Erosion): 경사지 전면에 걸쳐 얇은 층으로 토양이 이동하는 평면적 침식.
 
3. 세류침식(Rill Erosion): 면상침식이 발전하여 지표면에 가늘고 얕은 골을 만드는 침식.
 
4. 걸리침식(Gully Erosion): 세류침식이 지속되어 깊이와 폭이 큰 개울을 형성하면서 일어나는 침식.
 
이러한 침식 형태와 유형은 강우 강도, 토양 특성, 경사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토양 비옥도 감소, 농업 생산성 저하, 수질 악화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11. 생물과의 만남 방법

생물과의 만남 방법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
 
1. 정기적인 현장 조사: 마이즈루만의 사례처럼 2주마다 한 번씩 수중으로 들어가 물고기와 해파리의 개체 수를 기록하는 방식으로 12년 동안 지속적인 관찰을 수행합니다
2. 장기 생태 연구: 국가장기생태연구 중점 지소를 설치하여 중장기적 환경 변화를 예측하고 대응 방안을 마련합니다
 
3. 전국자연환경조사: 전국의 자연환경 현황을 조사하고 생태·자연도를 작성하여 갱신합니다
 
4. 특정 지역 정밀 조사: DMZ, 백두대간, 무인도서, 생태경관보전지역 등에 대한 정밀 생태계 조사를 수행합니다
 
5. 멸종위기 야생생물 조사: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전국 분포 조사 및 통합정보(DB) 구축을 통해 생물과의 만남을 기록합니다
 
6. 습지 생태계 조사: 전국 내륙습지의 기초조사와 정밀조사를 통해 습지 생물과의 만남을 기록합니다
 
7. 생태계 모니터링: 외래생물, 유전자변형생물체(LMO) 등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생물과의 만남을 관찰합니다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다양한 생물과의 만남을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연구할 수 있습니다.
 

 

12. 식물재료의 조달 방법

식물재료의 주요 조달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종자 조달
- 상업적 구입: 종자 회사나 온라인 상점에서 구매
- 종자 은행: 희귀종이나 보존이 필요한 종자 확보
- 자체 수집: 재배 중인 식물에서 직접 종자 수집
 
2. 묘목 조달
- 상업적 구입: 정원 센터, 농장, 온라인 상점에서 구매
- 자체 재배: 종자를 심어 직접 묘목 기르기
- 교환 및 기부: 지역 커뮤니티나 농업 프로그램을 통해 교환
 
3. 삽목 및 접목
- 삽목: 건강한 모체 식물에서 가지나 잎을 잘라 심기
- 접목: 서로 다른 두 식물을 결합하여 성장시키기
 
4. 자연 채집
- 야생 채집: 자연 보호 구역이나 야생 지역에서 식물 재료 채집
- 산림 및 들판: 산림 지역이나 들판에서 식물 재료 채집
 
5. 구근, 덩이줄기, 괴경 조달
- 상업적 구입: 농업 상점이나 온라인에서 구매
- 자체 재배: 기존 식물에서 채취하여 재배
 
6. 조직 배양
- 실험실 배양: 무균 환경에서 식물 세포를 배양하여 새로운 식물 재배
 
7. 자생식물 수집 및 활용
- 복원용 자생식물 종자 94종을 목표로 수집
- 자생지나 수목원에서 전국단위로 수집한 식물을 이력 관리
- '시드 믹스처(Seed Mixture)' 개발을 통한 지역 특성에 맞는 종자 조합 활용
 
식물재료 조달 시 주의사항:
- 목적에 맞는 방법 선택
- 품질 확인
- 법적 규제 준수
- 적절한 보관 및 관리

 

13. 환경해설의 기법

환경해설의 주요 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직접 해설 기법
 
1. 대면 해설: 해설가가 직접 청중과 마주하여 진행하는 방식
 
2. 이동식 해설: 해설가가 참가자를 인도하며 특정 자연 환경을 해설하는 방식
 
3. 거점적 해설: 특정 장소나 위치를 선정하여 해당 지점을 중심으로 해설하는 방식
 
□ 간접 해설 기법
 
1. 인쇄물 활용: 리플릿, 안내판 등을 통해 정보 제공
 
2. 전자 기기 활용: 음성 기기나 전자 장비를 이용한 자가 해설
 
3. 모형 기법: 축소모형, 실물모형, 확대모형 등을 활용한 해설
 
4. 실물 기법: 사실 재현, 유적 재현 등을 통한 해설
 
□ 효과적인 해설을 위한 원칙
 
1. 참여 유도: 참가자가 해설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때 학습 효과가 높아짐
 
2. 다감각 활용: 듣고, 보고, 만지는 등 다양한 감각을 활용한 체험 중심 해설
 
3. 대상 맞춤형 접근: 참가자의 연령, 관심사, 배경 등을 고려한 맞춤형 해설
 
4. 전체적 접근: 개별 요소보다는 전체적인 맥락에서 해설 제공
 
5. 지속적 연구와 준비: 해설가의 꾸준한 학습과 프로그램 개선 노력
 
환경해설은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참가자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자연에 대한 이해와 감흥을 불러일으키는 종합적인 활동입니다. 효과적인 해설을 위해서는 다양한 기법을 상황에 맞게 적절히 활용하고, 지속적인 연구와 준비가 필요합니다
 

 

 

 

 

https://www.99flower.co.kr/linkprice/gateway/index.php?lpinfo=A100694098%7C289990904QRVw0%7C0000%7CB%7C1&url=http%3A%2F%2Flink.99flower.co.kr

 

www.99flower.co.kr

 

 

 

 

JEJUPASS-LPINFO

 

www.jejupass.com

 

 

 

※ 총 6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 25점)

1. 해안사구 생태계와 관련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1) 해안사구의 형성 원리

2) 해안사구와 방풍림과의 관계

1) 해안사구의 형성 원리
 
해안사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형성됩니다:
 
- 바닷가의 모래가 파랑에 의해 사빈으로 퇴적됩니다
- 퇴적된 모래가 해풍에 의해 내륙 쪽으로 이동하여 모래 언덕을 형성합니다
- 사초(沙草)와 같은 식물이 정착하여 모래를 고정시키고 사구의 성장을 돕습니다
- 사구가 안정 상태에 이르면 해송과 같은 수목도 자라게 됩니다
 
해안사구의 형성에는 다음 요소들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연안류: 해안을 따라 퇴적물을 운반하여 지속적인 퇴적과 운반 작용을 합니다
- 바람: 모래를 내륙으로 이동시키는 주요 동력입니다
- 식생: 모래를 고정시키고 사구의 안정화를 돕습니다
 
2) 해안사구와 방풍림과의 관계
 
해안사구와 방풍림의 관계는 복잡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 방풍림의 원래 목적: 자연재해로부터 해안사구와 주변 지역을 보호하기 위해 조성되었습니다
 
- 부정적 영향:
- 과도하게 조성된 방풍림은 모래의 자연적인 순환을 방해하고 해안사구의 침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방풍림이 바람을 막아 사구가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게 합니다
- 대청도의 경우, 20여 년 전 심은 방풍림이 바람 길을 가로막아 모래 공급을 차단했습니다
 
- 관리의 필요성:
- 주민 생활과 직접 관계없는 방풍림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원래의 모래사막을 회복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 방풍림의 무분별한 확장을 제한하고 적절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해안사구의 보존을 위해서는 방풍림의 역할과 영향을 신중히 고려하여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합니다. 자연의 순리에 맞는 복원과 관리가 중요합니다
 

 

2.『물환경보전법』 상 수생태계 복원계획과 시행계획을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물환경보전법』에 따른 수생태계 복원계획과 시행계획은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 수생태계 복원계획
 
- 법적 근거: 물환경보전법 제27조의 2
- 성격: 생태하천복원사업의 사업계획
- 목적: 훼손된 수생태계의 건강성 회복
- 내용:
1. 훼손 이전과 유사한 수생태계 또는 변화한 여건에 적합한 대체 수생태계 조성 계획
2. 5개 유형(물리적, 화학적, 생물적 요소)에 대한 사업 필요성 검토
3. 복원 목표와 우선순위 결정
4. 참조하천 선정 및 비교·평가를 통한 사업 방향 설정
 
□ 시행계획
 
- 성격: 수생태계 복원계획의 실행을 위한 구체적 계획
- 내용:
1. 생태하천복원사업의 세부 실행 방안
2. 사업 일정, 예산, 인력 등 자원 배분 계획
3. 모니터링 및 평가 방법
4. 지역 주민 참여 및 협력 방안
 
수생태계 복원계획이 전반적인 방향과 목표를 제시한다면, 시행계획은 이를 실제로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 계획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습지의 생성 원인 중 인공습지와 반자연습지, 자연습지의 분류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습지의 생성 원인에 따른 인공습지, 반자연습지, 자연습지의 분류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자연습지
자연습지는 인간의 개입 없이 자연적으로 형성된 습지를 말합니다. 주요 특징은:
- 자연적인 지형, 기후, 수문학적 조건에 의해 형성
- 생태계의 자연스러운 발달과 진화 과정을 거침
- 내륙 습지와 해안 습지로 구분될 수 있음
 
2. 인공습지
인공습지는 인간이 특정 목적을 위해 의도적으로 조성한 습지입니다. 주요 특징은:
- 수질 개선, 홍수 조절, 생태 교육 등 특정 목적을 위해 설계 및 조성
- 인위적인 구조물과 설비를 포함할 수 있음
- 지속적인 관리와 모니터링이 필요
 
3. 반자연습지
반자연습지는 자연습지와 인공습지의 중간 형태로, 인간의 개입이 일부 있지만 자연적인 특성도 유지하는 습지입니다. 주요 특징은:
- 기존의 자연습지를 인위적으로 개선하거나 복원한 경우
- 자연적으로 형성된 습지에 인간의 관리가 더해진 경우
- 생태적 기능과 인간의 이용 목적이 조화를 이루는 형태
 
이러한 분류는 습지의 형성 과정, 관리 방식, 생태적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각 유형의 습지는 고유한 생태적 가치와 기능을 가지며, 지속가능한 관리와 보전이 필요합니다.
 

 

4. 자연환경조사·예측·평가의 기술적 특징과 저감조치의 방법·기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자연환경조사·예측·평가의 기술적 특징과 저감조치의 방법·기술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자연환경조사·예측·평가의 기술적 특징
 
1. 과학적 접근: 환경에 대한 현황조사, 예측, 평가 등에 다양하고 합리적인 기법들을 활용합니다
 
2. 종합적 분석: 자연환경, 생활환경, 사회·경제 환경 등 3분야를 포괄적으로 고려합니다
 
3. 사전 예방적 성격: 개발사업의 시행으로 인한 환경영향을 미리 예측하고 분석합니다
 
4. 불확실성 고려: 미래의 환경 변화를 예측하는 과정에서 불확실성을 감안합니다
 
5. 지속적인 모니터링: 평가 후에도 지속적인 관찰과 데이터 수집이 필요합니다.
 
□ 저감조치의 방법·기술
 
1. 회피: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전히 피하는 방법을 모색합니다.
 
2. 최소화: 영향의 정도, 규모, 기간을 줄이는 기술을 적용합니다.
 
3. 복원: 훼손된 환경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는 기술을 사용합니다.
 
4. 대체: 손실된 자연자원과 동등한 가치의 대체 자원을 제공합니다.
 
5. 친환경 기술 도입: 오염 저감, 예방 및 오염된 환경을 복원시키는 기술을 적용합니다
 
6. 생태계 기반 접근: 자연 기반 해법(Nature-based Solutions)을 활용하여 환경 영향을 줄입니다.
 
이러한 방법과 기술들은 환경영향평가 과정에서 체계적으로 적용되며, 개발과 보전의 균형을 추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지속적인 연구와 기술 개발을 통해 더욱 효과적인 저감조치가 마련될 수 있습니다.

 

5. 도시숲 조성과 관련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1) 식물생리학적 측면에서 미세먼지 및 도시열섬 감소 효과

2) 바람길 숲 조성을 위한 과정

1) 식물생리학적 측면에서 미세먼지 및 도시열섬 감소 효과
 
도시숲은 식물생리학적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미세먼지 및 도시열섬 현상을 감소시킵니다:
 
□미세먼지 감소 효과:
- 잎의 표면 구조를 통한 흡착: 식물의 잎, 특히 침엽수와 복잡한 잎 구조를 가진 수종들이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흡착합니다
- 기공을 통한 흡수: 식물의 기공을 통해 미세먼지가 흡수됩니다.
- 수관구조의 여과 작용: 나무의 수관이 공기 중 미세먼지를 여과합니다.
 
□도시열섬 감소 효과:
- 증산작용: 식물의 잎에서 수분이 증발하면서 주변 온도를 낮춥니다.
- 광합성 과정: CO2를 흡수하고 O2를 방출하는 과정에서 열을 흡수합니다
- 그늘 형성: 나무의 수관이 그늘을 만들어 지표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합니다.
 
□실제 효과:
- 미세먼지 농도 평균 25.6% 감소
- 초미세먼지 농도 평균 40.9% 감소
- 여름 한낮 평균기온 3~7℃ 감소
 
2) 바람길 숲 조성을 위한 과정
 
□바람길 숲 조성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1. 미기상 분석:
- 연평균 풍속, 풍향 모니터링
- 주풍 방향 분석
- 폭염, 혹서, 대기 정체역 분석
 
2. 대상지 선정:
- 미세먼지 고농도지역 파악
- 폭염지역 파악
- 찬공기 유동 잠재지역 파악
- 생태축 연결지역 중첩 분석
 
3. 바람길숲 구성요소 계획:
- 생성숲: 도시 외곽의 산림지역에 조성
- 연결숲: 가로수, 하천변 등을 활용한 바람통로 확보
- 디딤·확산숲: 도시 내 공원, 녹지 등에 조성
 
4. 수종 선정 및 식재 계획:
- 미세먼지 저감에 효과적인 수종 선택 (예: 소나무, 곰솔, 향나무 등)
- 상록수종 고려 (겨울, 봄철 미세먼지 대응)
 
5. 식재 및 관리:
- 바람 생성숲: 산소배출 및 수분증발이 뛰어난 낙엽활엽수 숲 조성
- 연결숲: 가로수 등 녹지 확충
- 디딤·확산숲: 도시 내부 건물 사이 녹지공간 조성, 옥상녹화, 벽면녹화 등
 
6. 모니터링 및 평가:
- 조성된 바람길숲의 효과 지속적 관찰
- 필요시 보완 및 개선 조치 실시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시 내 대기순환을 개선하고, 미세먼지 저감 및 열섬현상 완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6.『멸종위기 야생생물 포획·채취 등 허가신청 절차 안내서』에서 제시된 허가신청 및 처리 절차와 포획·채취금지 제한지역을 설명하시오.

『멸종위기 야생생물 포획·채취 등 허가신청 절차 안내서』에 따른 허가신청 및 처리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신청서 제출: 신청자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포획·채취 등 허가신청서'를 작성하여 제출합니다
 
2. 접수 및 검토: 관할 기관에서 신청서를 접수하고 내용을 검토합니다.
 
3. 허가 여부 결정: 검토 결과에 따라 허가 여부를 결정합니다.
 
4. 허가증 발급: 허가가 승인된 경우, '멸종위기 야생생물 포획·채취 등 허가증'을 발급합니다
 
5. 사후 보고: 허가를 받은 자는 포획·채취 등을 한 후 5일 이내에 결과를 보고해야 합니다
 
전체 처리 기간은 7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포획·채취금지 제한지역에 대해서는 안내서에 명확히 언급되어 있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지역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국립공원, 도립공원, 군립공원 등의 보호구역
- 생태·경관보전지역
- 습지보호지역
- 야생생물 특별보호구역
 
이러한 지역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포획·채취가 더욱 엄격히 제한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제한지역 목록은 관련 법규와 지침을 참조해야 합니다.
 

 

 

 

 

Sites-crocs_kr-Site

 

www.crocs.co.kr

 

 

 

 

Agoda Official Site | Free Cancellation & Booking Deals | Over 2 Million Hotels

Book your perfect holiday with Agoda and enjoy our great discounts on hotels, homes, flights and activities. Get the Agoda app!

www.agoda.com

 

 

 

※ 총 6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 25점)

1. IUCN 생태계 적색 목록(IUCN Red List of Ecosystem; RLE)의 개념과 분류 기준, 등급 유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IUCN 생태계 적색목록(IUCN Red List of Ecosystem; RLE)은 생태계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고 위협을 식별하여 보전 노력을 지원하는 도구입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개념
 
1. IUCN에서 제안한 위협받는 생태계를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2. 생물다양성협약(CBD)에서 제시한 2030년까지의 생물다양성 보전 목표 달성 정도를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3. 다양한 생태계 유형 및 지리에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하며, 과학적 투명성과 엄격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4. 정책결정자 및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분류 기준
 
IUCN 생태계 적색목록은 다음 5가지 기준을 사용하여 생태계를 평가합니다
 
1. 기준 A: 지리분포 감소 - 생태계 손실·파편화를 유발하는 위협으로 인한 면적 감소
2. 기준 B: 지리분포 제한 - 지리적으로 뚜렷한 위협·재해에 취약한 소규모 분포 생태계 식별
3. 기준 C: 환경 황폐화 - 환경 황폐화를 겪고 있는 생태계 식별
4. 기준 D: 생태 천이/상호작용 교란 - 주요 생태 천이/상호작용의 손실 또는 교란을 겪는 생태계 식별
5. 기준 E: 정량 분석 - 생태계 붕괴 확률을 추정하는 정량 분석, 여러 위협·징후 및 상호작용을 종합적으로 평가
 
□ 등급 유형
 
생태계 적색목록은 평가 결과를 8개의 등급으로 분류합니다
 
1. 붕괴(CO)
2. 위급(CR)
3. 위기(EN)
4. 취약(VU)
5. 준위협(NT)
6. 최소관심(LC)
7. 정보부족(DD)
8. 미평가(NE)
 
이 중 위급(CR), 위기(EN), 취약(VU)은 시급한 조치가 필요한 위협받는 생태계로 간주됩니다
 
IUCN 생태계 적색목록은 생태계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자원 이용·관리에 관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데 활용되며,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중요한 도구로 사용됩니다
 

 

2. 습지 개방수면의 중요성과 습지 복원 후 개방수면의 지속적 유지 방안을 설명하시오.

습지의 개방수면은 생물다양성 유지와 생태계 기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개방수면의 중요성과 유지 방안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개방수면의 중요성
 
1. 생물다양성 유지: 개방수면은 다양한 야생동물의 서식지로 기능합니다
2. 생태적 기능: 양서류와 육상에서 우화하는 곤충들의 이동을 돕습니다
3. 경관적 가치: 습지의 미적 기능과 레크리에이션 기회를 제공합니다
4. 수질정화: 적절한 비율의 개방수면은 수질정화에 효과적입니다
 
□ 개방수면의 지속적 유지 방안
 
1. 수위 조절: 조성 후 관리기법으로 수위를 적절히 조절합니다
2. 식물 성장 제한: 지나치게 성장하는 지역에서는 식물의 성장을 제한하는 조치를 취합니다
3. 뿌리 확산 방지: 식재 시 뿌리로 번식하는 식물종의 확산을 막기 위한 방지책을 설치합니다
4. 주기적 관리: 식생관리와 유기물 제거를 통해 개방수면을 확보합니다
5. 적정 비율 유지: 수생식물과 개방수면의 비율을 50:50으로 유지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6. 모니터링: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개방수면의 상태를 관찰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합니다
 
이러한 방안들을 통해 습지 복원 후에도 개방수면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습지의 생태적 기능을 보존할 수 있습니다.
 

 

3. 하천식생의 맥박식 안정준극상(Pulse-stabilized subclimax) 식생천이 모델을 설명하시오.

맥박식 안정준극상(Pulse-stabilized subclimax) 식생천이 모델은 하천 생태계의 동적 특성을 설명하는 개념입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주기적 교란: 하천 생태계는 홍수와 같은 주기적인 교란을 겪습니다.
 
2. 천이와 재천이의 반복: 교란 후 식생이 천이를 시작하지만, 다음 교란에 의해 다시 초기 단계로 돌아가는 과정이 반복됩니다.
 
3. 준극상 상태: 완전한 극상에 도달하지 못하고, 교란 직전의 상태를 준극상으로 유지합니다.
 
4. 높은 생산성: 젊은 생태계와 유사한 높은 순 생산성을 유지합니다.
 
5. 적응력: 주기적 교란에 적응한 식물 군집이 형성됩니다.
 
6. 생물다양성: 다양한 천이 단계의 식물이 공존하여 높은 생물다양성을 유지합니다.
 
이 모델은 하천의 자연스러운 교란 체제를 인정하고, 이에 적응한 생태계의 동적 평형 상태를 설명합니다. 하천 관리와 복원에서 이러한 자연적 과정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인 산양의 서식지 적합성 지수(HSI)와 관련하여 산양의 주요 서식 변수로서 해발고도, 경사도, 향, 식생(영급), 지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인 산양의 서식지 적합성 지수(HSI)와 관련하여 주요 서식 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발고도
산양은 주로 고도 400m~1,000m 사이의 지역을 선호합니다[5]. 오대산의 경우 900m~1,000m 지역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2. 경사도
산양은 경사가 30°~45° 사이인 지역을 선호합니다[5]. 특히 35°~40° 경사를 가장 선호하며, 이는 천적으로부터의 방어와 관련이 있습니다
 
3. 향
산양은 주로 북향, 북동향, 동향을 선호합니다. 이는 여름철에 시원한 조건을 제공하고, 습하며 초본식물이 많아 먹이를 구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4. 식생(영급)
구체적인 영급 선호도는 제시된 자료에 명확히 나타나있지 않지만, 산양은 침엽수림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5. 지형
산양은 기암절벽으로 둘러싸인 산림지대, 바위와 바위 절벽의 꼭대기, 산맥의 나지 등을 선호합니다. 특히 암릉, 바위지대가 많은 지역이 산양 서식에 유리합니다
 
이러한 서식 변수들은 산양의 생태적 특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서식지 적합성 지수(HSI) 모델은 산양의 보전과 관리에 중요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5. 답압이 식물에 미치는 영향과 답압지의 복원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답압이 식물에 미치는 영향과 답압지의 복원 기술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답압이 식물에 미치는 영향
 
1. 생장 저해: 답압으로 인해 토양이 견밀화되면 식물의 생장이 정체되고 잎의 양이 감소하며 잎 자체가 왜소해집니다
 
2. 뿌리 발달 억제: 토양의 견밀화로 인해 수목의 세근 발달이 어려워집니다
 
3. 광합성 능력 감소: 답압의 충격량이 증가할수록 식물의 광합성 능력이 감소합니다
 
4. 지하부 호흡 감소: 토양의 고결화로 인해 식물 지하부의 호흡이 감소합니다
 
5. 토양 환경 악화: 답압으로 인해 토양의 통기성, 투수성이 악화되어 토양 소동물과 미생물의 서식이 어려워집니다
 
□ 답압지의 복원 기술
 
1. 배토와 경운:
- 배토를 통해 토양을 추가하고 경운을 실시하여 토양 물리성을 개선합니다
- 이는 식물체 생육에 도움이 되며, 토양 개량을 통해 잔디의 적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2. 토양개량제 사용:
- 우드칩, 핀칩 등의 토양개량제를 토양과 교대로 적층하여 견밀도를 개선합니다
- 이는 답압으로 인한 충격을 완화시키고 적정한 견밀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게 합니다
 
3. 아미노산 혈분액제 사용:
- 토양개량제나 토양에 아미노산 혈분액제를 살포하여 유용미생물에 의한 토양 내 미세공극 발달을 촉진합니다
- 이는 토양 견밀도 개선과 영양조건 개선, 산성토양의 pH 개선 효과를 가져옵니다
 
4. 휴식년제 실시:
- 일정 기간 동안 사람의 출입을 제한하여 답압의 피해를 경감시킵니다
 
5. 식생 관리:
- 답압 피해를 받은 지역의 식생을 적절히 관리하고 필요시 새로운 식물을 도입하여 생태계를 복원합니다.
 
이러한 복원 기술들을 통해 답압으로 인한 토양 및 식물의 피해를 개선하고, 건강한 생태계를 회복할 수 있습니다.
 
 

 

6. 자연환경 생태조사방법 중 생태계 기능 조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생태계 기능 조사 방법은 생태계의 주요 기능과 과정을 평가하기 위한 중요한 접근법입니다. 주요 조사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물질생산량 조사
- 식물의 광합성을 통한 일차생산량 측정
- 생물량(biomass) 측정을 통한 생산성 평가
 
2. 물질분해량 및 미생물 활성 조사
- 낙엽 분해율 측정
- 토양 호흡량 측정을 통한 미생물 활성도 평가
 
3. 영양염류 순환 조사
- 토양 및 수계의 질소, 인 등 주요 영양염류의 순환 과정 분석
- 생물체 내 영양염류 함량 측정
 
4. 에너지 흐름 분석
- 먹이사슬을 통한 에너지 전달 효율 측정
- 생태계 내 에너지 수지 분석
 
5. 수문학적 기능 조사
- 증발산량 측정
- 토양 수분 보유능력 평가
 
6. 생태계 안정성 및 회복력 평가
- 교란 후 생태계 회복 속도 측정
- 종 다양성과 생태계 기능 간의 관계 분석
 
이러한 조사 방법들은 생태계의 핵심 기능을 정량화하고, 생태계 서비스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이 데이터는 생태계 관리 및 복원 전략 수립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Surfshark VPN & all-in-one cybersecurity suites - Official Site

Surfshark VPN – secure your data ● Unlimited devices ● 24/7 support ● 3200+ servers in 100 countries ● No-logs policy ● RAM-only servers, & more.

surfshark.com

 

 

 

 

HotelsCombined | 여행 숙소 특가 상품을 찾아보세요

HotelsCombined에서 여행 숙소 특가 상품을 찾아보세요. 검색 한 번으로 다양한 인기 여행 사이트의 가격을 비교해 보고 마음에 드는 최적의 숙소를 찾아보세요!

www.hotelscombined.co.kr

 

 

※ 총 6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 25점)

1. 생태네트워크의 개념과 구성요소의 모식도를 작성하고, 도시지역에서 물리적, 기능적, 시각적 연결 방법을 설명하시오.

생태네트워크의 개념과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생태네트워크는 생물다양성 보존과 생태계 기능 유지를 위해 중요한 생태적 공간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체계입니다. 주요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핵심지역(Core area): 생물다양성이 풍부하고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
2. 완충지역(Buffer area): 핵심지역을 보호하는 완충 역할을 하는 지역
3. 코리더(Corridor): 핵심지역들을 연결하는 생태적 통로
4. 거점지역(Stepping stone): 소규모 서식지로 코리더 역할을 보완
 
모식도:

 
도시지역에서의 연결 방법:
 
1. 물리적 연결
- 생태통로 조성: 도로나 철도로 단절된 서식지를 연결하는 육교형, 터널형 생태통로 설치
- 녹지축 조성: 가로수, 녹지대 등을 연결하여 선형의 녹지축 형성
- 하천 복원: 복개된 하천을 복원하여 수생태계 연결성 확보
 
2. 기능적 연결
- 도시공원 및 녹지 확충: 도심 내 공원과 녹지를 조성하여 생물서식공간 제공
- 옥상정원, 벽면녹화: 건물 옥상과 벽면을 활용한 녹지 조성으로 징검다리 역할
- 생태연못 조성: 소규모 습지 조성으로 수생태계 연결성 강화
 
3. 시각적 연결
- 조망축 확보: 주요 산림, 하천 등으로의 시각적 연결성 확보
- 가로경관 개선: 가로수 식재, 화단 조성 등으로 시각적 연속성 제공
- 스카이라인 관리: 건물 높이 규제로 배후 산림으로의 조망 확보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도시 내 파편화된 생태계를 연결하고,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며, 도시민들에게 자연과의 접촉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2. 우리나라 하천이 화이트 리버에서 그린 리버로 바뀌는 현상의 원인, 문제점을 설명하시오.

우리나라 하천이 화이트 리버에서 그린 리버로 바뀌는 현상의 주요 원인과 문제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원인:
1. 댐 건설로 인한 유량 변화: 홍수 발생빈도와 첨두유량 감소, 갈수량 증가
2. 토지이용 변화: 댐 상류지역의 토지이용 패턴 변화
3. 기후변화: 기온과 강우량의 변화
4. 인공 구조물: 댐, 보, 하굿둑 등의 설치로 인한 하천의 종적, 횡적 단절
5. 봄철 강우양상 변화: 비조절하천에서 홍수 저감과 하천에 영양물질 유입 증가
 
문제점:
1. 생태계 변화: 하천 고유의 형태 상실과 생물다양성 감소
2. 홍수 위험 증가: 식생 점유 면적 증가로 인한 홍수 소통 면적 감소와 홍수위 상승
3. 하천 단면 변화: 식생 활착으로 인한 하도 내 사주 형성과 유로 폭 감소
4. 하상 침식: 흐름 집중으로 인한 유속 및 하상소류력 증가, 최심하상고 하강
5. 수생태계 연결성 저하: 어도 부족 및 기능 저하로 인한 물고기 이동 제한
 
이러한 변화는 하천의 물리적 구조뿐만 아니라 생태계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어, 정확한 원인 규명과 적절한 관리 방안 수립이 필요합니다

 

3. 생태공학적 접근 방식에 있어서 산호초 자연재생사업에 이르는 메카니즘, 재생의 기법, 과제와 전망 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산호초 자연재생사업의 생태공학적 접근은 다음과 같은 메카니즘, 기법, 과제 및 전망을 포함합니다:
 
□ 메카니즘
 
산호초 자연재생사업은 손상된 산호초 생태계를 복원하고 회복력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주요 메카니즘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인공 구조물 설치: 모래로 코팅한 강철 구조물을 설치하여 산호가 자랄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합니다
 
2. 산호 이식: 건강한 산호 조각을 인공 구조물에 이식하여 새로운 군집을 형성합니다
 
3. 유성생식 활용: 산호의 난자와 정자를 인공적으로 수정시켜 유생을 확보하고 이를 이식합니다
 
4. 환경 조건 최적화: 산호가 선호하는 미생물을 도포하는 등 산호의 생존과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합니다
 
□ 재생 기법
 
1. 바이오락(Biorock) 기술: 3D 전기화된 금속 구조물을 물에 담그고 약한 전류를 흘려 산호 골격과 유사한 물질을 생성합니다
2. 유생 배양 및 이식: 실험실에서 산호 유생을 배양하고 이를 해양 환경에 방류합니다
 
3. 인공 구조물 활용: 퇴역한 선박을 침몰시켜 인공 산호초를 조성합니다
 
4. 혼합 금융 프로그램: 지역 주도 기업을 활용하여 산호초 보호와 포용적 번영을 동시에 추구합니다
 
□ 과제와 전망
 
과제:
 
1. 기후변화 대응: 해수 온도 상승은 산호초에 가장 큰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2. 대규모 복원의 어려움: 현재의 방법들은 소규모 지역에서는 효과적이지만, 광범위한 생태계 전체를 복원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3. 장기적 지속가능성: 복원된 산호초의 장기적 건강 유지를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4. 비용 문제: 대규모 산호초 복원에는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며, 지속적인 재원 확보가 필요합니다
 
전망:
 
1. 기술 발전: 산호초 복원 기술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성공 사례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2. 국제적 협력: 산호초를 위한 글로벌 펀드 등 국제적인 지원과 협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3. 지역 참여: 지역 주민과 기업의 참여를 통해 산호초 보호와 경제적 이익을 동시에 추구하는 모델이 발전하고 있습니다
 
4. 생태계 회복력 구축: 보호 구역 설정, 어업 관리, 오염 감소 등을 통해 산호초의 회복력을 높이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산호초 자연재생사업은 기술적 진보와 국제적 협력, 그리고 지역 사회의 참여를 통해 발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기후변화라는 근본적인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전 지구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4. 지속가능한발전을 위한 자연기반해법의 확대 전략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자연기반해법(Nature-based Solutions, NbS)의 확대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인식의 전환
- 대응의 시급성 강조: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위기에 대한 인식 제고
- 그린워싱 극복: 실질적인 효과를 가진 자연기반해법 프로젝트 추진
 
2. 자연기반해법의 주류화
- 자연 복원 국가 전략 법제화: 정부 정책에 자연기반해법 통합
- 온실가스 감축 수단으로 인정: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주요 수단으로 활용
 
3. 과학적 근거 확보
- 비용·효과에 대한 데이터 수집 및 분석
- 장기적인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4. 지역 맞춤형 설계
- 지역 특성을 고려한 자연기반해법 프로젝트 개발
- 이해관계자 참여 확대: 지역사회, 기업, NGO 등의 협력 강화
 
5. 투자 확대
- 정부 및 민간 부문의 자연기반해법 투자 유도
- 국제 협력을 통한 재원 확보
 
6. 다양한 분야 적용
- 산림, 물, 도시, 농업, 해양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자연기반해법 적용 확대
- 분야별 맞춤형 해결책 개발
 
7. 사회·경제적 가치 창출
- 지역사회의 건강, 일자리, 성평등 등 삶의 질 향상과 연계
- 기업의 ESG 경영과 연계한 자연기반해법 도입 촉진
 
8. 장기적 관점 유지
- 자연기반해법의 특성상 장기간 투자와 관리가 필요함을 인식
-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개선을 통한 효과성 제고
 
이러한 전략을 통해 자연기반해법을 확대함으로써 기후변화 대응, 생물다양성 보전,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5. 제4차 습지보전기본계획(2023-2027)의 비전·목표 및 4가지 전략과제를 설명하시오.

제4차 습지보전기본계획(2023-2027)의 비전과 목표, 그리고 4가지 전략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비전 및 목표: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지속가능한 습지생태계 조성"
 
4가지 전략과제:
 
1. 과학 기반의 습지조사 및 평가
- 내륙습지 생태계의 탄소 배출과 흡수가치를 정량적으로 평가
- 2027년까지 내륙습지 면적을 국가 공식통계로 인정받기 위한 노력
 
2. 습지의 실효적 보전·관리
- 습지보호지역 확대: 2027년까지 내륙습지 150㎢, 연안습지 1580㎢로 확대
- 내륙습지 보호지역 내 사유지 매입 및 훼손지 복원
- 갯벌 세계유산 보전본부 및 지역방문자센터 건립 추진
 
3. 습지의 현명한 이용 활성화
- 람사르습지도시 인증지역 확대
- 습지도시 간 교류 확대 및 지역 대표 상표 개발
- 초중고 교육과정에 습지교육 도입 추진
 
4. 습지 관리의 협력기반 강화
- 지역사회와의 협력 및 소통 강화
- 국제협력 강화: IPCC 등 국제기구와 협력하여 비식생 갯벌의 탄소흡수원 국제 인증 추진[9]
 
이 계획은 기존의 생물다양성 보전 중심에서 나아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습지의 생태계서비스 가치와 탄소흡수원으로서의 가치 증진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6. 하천 및 호소에서의 총인(TP)과 관련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1)『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상 “수질 및 수생태계”의 생활환경기준에서 “매우 좋음”

등급의 총인 농도

2) 수중에서의 인의 존재 형태 및 부영양화 방지 대책

1)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상 "수질 및 수생태계"의 생활환경기준에서 "매우 좋음" 등급의 총인 농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하천의 경우, "매우 좋음(Ia)" 등급의 총인 수질환경기준은 0.02mg/L 이하입니다
호소의 경우, "매우 좋음(Ia)" 등급의 총인 수질환경기준은 0.01mg/L 이하입니다
 
2) 수중에서의 인의 존재 형태 및 부영양화 방지 대책:
 
인의 존재 형태:
- 수중에서 인은 주로 인산염(PO4) 형태로 존재합니다.
- 용존성 무기인(DIP)과 용존성 유기인(DOP)으로 구분됩니다.
- 입자성 인(PP)도 존재하며, 이는 부유물질에 흡착된 형태입니다.
 
부영양화 방지 대책:
1. 점오염원 관리:
- 하수처리장의 고도처리 시설 도입
- 산업폐수의 처리 강화
 
2. 비점오염원 관리:
- 농경지에서의 비료 사용량 조절
- 도시 지역의 빗물 유출수 관리
 
3. 수체 내부 관리:
- 저층 퇴적물의 준설
- 수생식물을 이용한 영양염류 흡수
 
4. 법적·제도적 대책:
- 총인 규제 강화
- 수질오염총량관리제 시행
 
5. 생태계 관리:
- 수생식물 군락 조성
- 어류 군집 관리를 통한 생태계 균형 유지
 
이러한 대책들을 종합적으로 적용하여 수중 총인 농도를 낮추고 부영양화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