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자연환경관리기술사

제131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기출문제 및 예상답안

information net 2025. 2. 21. 16:34
728x90
반응형
SMALL

 

 

 

21세기 자연환경관리기술사 - 자연환경 | 쿠팡

쿠팡에서 21세기 자연환경관리기술사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자연환경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 다음 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10점)

1.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대한민국의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는 2018년 배출량 대비 40%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는 2018년 배출량 727.6백만톤CO2eq에서 2030년까지 436.6백만톤CO2eq로 감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추가 감축 수단
 
1. 탄소흡수원: 26.7백만톤CO2eq 감축
2. CCUS(탄소 포집·활용·저장): 11.2백만톤CO2eq 감축
3. 국제감축: 37.5백만톤CO2eq (파리협정 제6조에 따른 자발적 협력)
 
□ 주요 정책 방향
 
1. 에너지 전환: 석탄 발전 비중 축소, 재생에너지 비중 20%까지 확대
2. 산업 혁신: 스마트 팩토리 지원,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FEMS) 도입
3. 건물 에너지 효율: 제로에너지 건물 확대, 그린 리모델링 촉진
4. 친환경 교통: 전기차, 수소차 보급 확대, 철도 네트워크 확충
5. 순환경제: 폐기물 발생 저감, 재활용 촉진
 
이 목표는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한 중간 목표로, 정부는 구체적인 이행 로드맵을 수립하고 관련 제도 개선, 정책적·재정적 지원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2. BOD, COD, TOC

BOD, COD, TOC는 수질 오염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들입니다.
 
□ BOD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
 
- 물 속 유기물을 분해하는 데 필요한 산소의 양을 측정
- 일반적으로 5일 동안 20°C에서 배양하여 측정 (BOD5)
- 수질 오염도와 유기물 함량을 나타내는 지표
- 높은 BOD 값은 수중 산소 고갈과 수생 생물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음
 
□ COD (화학적 산소 요구량)
 
- 물 속 유기물과 무기물을 화학적으로 산화시키는 데 필요한 산소량을 측정
- BOD보다 더 광범위한 물질을 측정하며 더 빠른 결과를 얻을 수 있음
- 주로 폐수 처리 효율성 평가와 오염 수준 측정에 사용됨
 
□ TOC (총유기탄소)
 
- 물 속에 존재하는 모든 유기 화합물의 탄소 함량을 측정
- 수질 오염의 비특이적 지표로 사용됨
- 음용수 처리, 제약, 반도체 제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중요
- 빠르고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여 수질 모니터링에 효과적
 
이 세 가지 지표는 각각 다른 측면에서 수질을 평가하며, 종합적으로 사용되어 수질 관리와 환경 보호에 기여합니다.

 

3. 매트릭스형 코리도

매트릭스형 코리도는 경관생태학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는 주변 매트릭스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 선형의 경관 요소를 말합니다.
 
□ 주요 특징
 
- 매트릭스와 유사한 구조를 가짐
- 패치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함
- 생물종의 이동 통로 역할
- 주변 매트릭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좁음
 
□ 기능
 
1. 연결성 제공: 고립된 서식지 패치들을 연결하여 생물종의 이동을 돕습니다.
2. 서식지 제공: 일부 생물종에게 서식 공간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3. 완충 역할: 주변 환경으로부터의 영향을 완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 중요성
 
매트릭스형 코리도는 파편화된 경관에서 생물다양성을 유지하고 생태적 연결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도시화된 지역에서 녹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매트릭스형 코리도의 효과는 주변 매트릭스의 특성과 코리도의 폭, 길이, 연결성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효과적인 코리도 설계를 위해서는 대상 지역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세심한 계획이 필요합니다.

 

4. 환경DNA(eDNA ; Environmental DNA)를 활용한 생태모니터링

환경DNA(eDNA)는 생태계 모니터링에 혁신적인 도구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는 환경 샘플에서 추출한 유전물질을 분석하여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건강을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 eDNA의 주요 특징
 
- 물, 토양, 공기 등의 환경 샘플에서 추출
- 비침습적이고 표준화된 샘플링 방법
- 다양한 생물종을 동시에 탐지 가능
- 희귀종이나 은밀한 종도 감지 가능
 
□ 생태모니터링 적용 분야
 
1. 생물다양성 평가: 단일 샘플로 전체 생물군집 파악
2. 침입종 조기 탐지: 낮은 밀도에서도 외래종 감지
3. 멸종위기종 모니터링: 직접 관찰이 어려운 종 추적
4. 수생태계 건강 평가: 어류, 양서류 등의 분포 파악
5. 육상 생태계 조사: 포유류, 조류 등의 서식 확인
 
□ eDNA 분석 과정
 
1. 환경 샘플 수집 (물, 토양 등)
2. DNA 추출 및 정제
3. PCR 증폭 또는 메타바코딩
4. 고효율 염기서열 분석
5. 생물정보학적 데이터 분석
 
□ 장점과 한계
 
장점:
- 신속하고 비용 효율적인 모니터링
- 광범위한 생물종 동시 탐지
- 비침습적 방법으로 생태계 교란 최소화
 
한계:
- 개체 수나 연령 구조 파악 어려움
- 오염이나 위양성 가능성 존재
- 표준화된 프로토콜 필요
 
eDNA는 기존의 생태모니터링 방법을 보완하여 더욱 포괄적이고 효율적인 생태계 평가를 가능하게 합니다. 향후 기술 발전과 함께 보전 전략 수립에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5. 『자연환경보전법』에서 제시한 자연환경복원사업

『자연환경보전법』에서 제시한 자연환경복원사업은 훼손된 자연환경의 구조와 기능을 회복시키는 사업으로 정의됩니다. 주요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생태·경관보전지역에서의 자연생태·자연경관과 생물다양성 보전·관리를 위한 사업
 
2. 도시지역 생태계의 연속성 유지 또는 생태계 기능의 향상을 위한 사업
 
3. 단절된 생태계의 연결 및 야생동물의 이동을 위한 생태통로 설치 사업
 
4. 습지보호지역 등에서의 훼손된 습지를 복원하는 사업
 
5.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서식지를 복원하기 위한 사업
 
6. 협약등록습지를 복원하기 위한 사업
 
7. 하천법에 따른 보전지구와 복원지구 내 하천을 복원하기 위한 사업
 
8. 수변생태벨트 조성사업
 
9. 자연공원법에 따른 훼손지 복원사업
 
10. 국토환경 녹색복원사업 및 그린벨트 내 훼손지 복원사업
 
환경부장관은 자연환경조사, 생태계 정밀·보완조사, 기후변화 관련 생태계조사, 습지조사 등의 결과를 토대로 훼손된 지역의 생태적 가치와 복원 필요성 등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평가하고, 자연환경복원이 필요한 대상지역의 후보목록을 작성하여 체계적으로 사업을 추진합니다.

 

6. 생태계서비스

생태계서비스는 인간이 생태계로부터 얻는 다양한 혜택을 의미합니다. 이는 크게 4가지 범주로 구분됩니다:
 
□ 공급 서비스
- 식량, 물, 목재, 연료, 의약품 등 생태계에서 직접 얻을 수 있는 물질적 혜택
- 예: 과일, 채소, 어류, 가축, 식수, 약용 식물 등
 
□ 조절 서비스
- 생태계가 환경을 조절하는 기능
- 기후 조절, 대기 정화, 수질 정화, 홍수 조절, 질병 조절, 탄소 격리 등
- 예: 숲의 대기 정화 및 토양 침식 방지 기능
 
□ 문화 서비스
- 생태계가 제공하는 비물질적 혜택
- 심미적 가치, 레크리에이션, 관광, 교육, 영적/종교적 가치 등
- 예: 자연 경관을 통한 휴양, 생태 관광
 
□ 지원 서비스
- 다른 생태계 서비스의 기반이 되는 기본적 생태계 기능
- 영양 순환, 서식지 제공, 생물다양성 유지, 광합성 등
- 예: 토양의 영양분 순환, 식물의 광합성을 통한 산소 생산
 
생태계서비스는 인간의 생존과 복지에 필수적이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이를 보전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생태계의 건강성을 유지함으로써 우리는 깨끗한 공기와 물, 식량 안보, 기후 안정 등의 혜택을 계속해서 누릴 수 있습니다.

 

 

 

 

쿠팡이 추천하는 자연환경관리기술사 관련 혜택과 특가

쿠팡이 추천하는 자연환경관리기술사 특가를 만나보세요. 로켓와우 회원은 다양한 할인과 무료 배송 및 반품 혜택도 누릴 수 있어요.

www.coupang.com

 

7. 종(Species)의 개념

종(Species)은 생물학에서 가장 기본적인 분류 단위이자 분류 등급입니다. 종의 개념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습니다:
 
1. 생물학적 종 개념: 자연 상태에서 실제로 또는 잠재적으로 교배가 가능하고 생식적으로 격리된 개체군의 집단입니다. 이는 가장 널리 알려진 종 개념입니다.
 
2. 형태학적 종 개념: 특정 고정된 특성을 공유하는 유기체 그룹으로, 주로 외형적 특징을 기반으로 합니다.
 
3. 계통학적 종 개념: 공통 조상과 후손을 공유하며 생명의 나무에서 단일 가지를 형성하는 유기체 그룹입니다.
 
4. 생태학적 종 개념: 특정 생태적 지위를 공유하는 유기체 그룹입니다.
 
5. 유전적 종 개념: 공통 유전자 풀을 공유하는 유기체 그룹입니다.
 
종 개념은 생물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분류하는 데 중요하지만, 각 개념은 한계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생물학적 종 개념은 무성생식 생물에 적용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종을 정의할 때 여러 개념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현재 지구상에는 약 870만 종의 생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지금까지 존재했던 모든 생물의 일부에 불과합니다.

 

8. 멸종위기 야생생물

멸종위기 야생생물은 자연 상태에서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멸종 위험에 처한 동식물을 말합니다. 주요 특징과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요 특징
 
- 개체 수가 매우 적음 (예: 250마리 이하의 성체)
- 서식지가 제한적이거나 파편화됨
- 지속적인 개체 수 감소 추세
- 자연 상태에서 생존이 어려움
 
□ 주요 원인
 
1. 서식지 파괴 및 훼손: 개발, 벌목, 농경지 확대 등으로 인한 서식지 감소
2. 기후변화: 생태계 변화로 인한 서식 환경 악화
3. 남획 및 밀렵: 상업적 이용이나 불법 포획으로 인한 개체 수 감소
4. 환경오염: 서식지 오염으로 인한 생존 위협
5. 외래종 침입: 생태계 교란으로 인한 경쟁 심화
 
□ 보호 노력
 
- 서식지 보전 및 복원
- 불법 포획 단속 강화
- 인공 번식 및 방사 프로그램
- 대중 인식 제고 및 교육
- 국제 협력을 통한 보호 정책 수립
 
멸종위기 야생생물 보호는 생태계 균형과 생물다양성 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개인적으로도 지속 가능한 제품 구매, 서식지 보호 활동 참여 등을 통해 보호 노력에 동참할 수 있습니다.

 

9.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제시한 녹지의 세분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녹지는 그 기능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세분됩니다:
 
1. 완충녹지: 대기오염, 소음, 진동, 악취, 그 밖에 이에 준하는 공해와 각종 사고나 자연재해,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재해 등의 방지를 위하여 설치하는 녹지입니다.
 
2. 경관녹지: 도시의 자연적 환경을 보전하거나 이를 개선하고 이미 자연이 훼손된 지역을 복원·개선함으로써 도시경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치하는 녹지입니다.
 
3. 연결녹지: 도시 안의 공원, 하천, 산지 등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도시민에게 산책공간의 역할을 하는 등 여가·휴식을 제공하는 선형(線型)의 녹지입니다.
 
이러한 녹지의 세분은 각각의 기능과 목적에 따라 구분되어 있으며, 도시 환경의 개선과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쿠팡이 추천하는 자연환경관리 합격 관련 혜택과 특가

쿠팡이 추천하는 자연환경관리 합격 특가를 만나보세요. 로켓와우 회원은 다양한 할인과 무료 배송 및 반품 혜택도 누릴 수 있어요.

www.coupang.com

 

10. 동·식물상 항목의 환경영향평가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

동·식물상 항목의 환경영향평가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초 조사
- 프로젝트 지역 및 주변의 동식물 종 현황 파악
- 보호종, 멸종위기종, 고유종 등 중요 종의 서식 여부 확인
- 생태계 유형 및 서식지 특성 조사
- 계절적 특성을 고려한 충분한 조사 기간 확보
 
2. 영향 분석
- 서식지 손실 및 파편화 가능성 평가
- 소음, 먼지 등 공사 활동으로 인한 교란 영향 분석
- 수질, 대기질 변화가 동식물에 미치는 영향 검토
- 생태계 연결성 및 누적 영향 고려
 
3. 저감 방안 수립
- 서식지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설계 변경 검토
- 소음, 먼지 저감을 위한 공사 방법 개선
- 야생동물 이동통로 등 생태계 연결성 유지 방안 마련
- 오염 방지 및 생태계 복원 계획 수립
 
4. 모니터링 계획
- 주요 종 및 서식지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방안 마련
- 예상치 못한 영향 발생 시 대응 방안 수립
 
환경영향평가는 프로젝트가 동식물상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가능한 개발의 균형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11. GEO BON(Group on Earth Observation Biodiversity Observation Network)의 7가지 지수

GEO BON(Group on Earth Observation Biodiversity Observation Network)은 생물다양성 관찰과 모니터링을 위한 글로벌 네트워크로, 다음과 같은 7가지 주요 지수를 개발했습니다:
 
1. Species Habitat Index (SHI): 종의 서식지 연결성, 크기, 질의 변화를 측정합니다.
 
2. Species Protection Index: 종의 보호 상태를 평가하는 지수입니다.
 
3. Species Status Information Index: 종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지수입니다.
 
4. Biodiversity Habitat Index (BHI): 서식지 변화가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합니다.
 
5. Bioclimatic Ecosystem Resilience Index (BERI): 생태계의 기후 변화에 대한 회복력을 측정합니다.
 
6. Protected Area Representativeness and Connectedness (PARC) indices: 보호구역의 대표성과 연결성을 평가합니다.
 
7. Forest Structural Integrity Index (FSII): 산림 생태계의 구조적 온전성을 측정합니다.
 
이러한 지수들은 원격 감지 데이터, 현장 관찰, 모델링 등을 통합하여 생물다양성 변화를 전 지구적 규모에서 평가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를 통해 국가 및 글로벌 수준에서 생물다양성 목표 달성 정도를 추적하고 보전 의사결정을 지원합니다.
 

 

12. 야생동물의 행동권 분석방법

서론
 
야생동물의 행동권은 동물이 일상적인 활동을 하는 지리적 영역을 의미합니다. 행동권 분석은 야생동물의 공간 이용 패턴을 이해하고, 서식지 요구사항을 파악하며, 보전 전략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최근 GPS 기술의 발전으로 더욱 정확하고 상세한 행동권 분석이 가능해졌습니다.
 
본론
 
야생동물의 행동권을 분석하는 주요 방법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최소볼록다각형법(Minimum Convex Polygon, MCP)
- 외곽 위치점들을 연결하여 다각형을 형성합니다.
- 간단하고 직관적이지만, 행동권을 과대평가할 수 있습니다.
 
2. 커널밀도추정법(Kernel Density Estimation, KDE)
- 위치 데이터의 확률밀도함수를 추정하여 이용 강도를 표현합니다.
- 핵심 서식지와 주변부를 구분할 수 있지만, 매개변수 선택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3. 자기상관 커널밀도추정법(Autocorrelated Kernel Density Estimation, AKDE)
- 위치 데이터의 시간적 자기상관을 고려하여 더 정확한 행동권 추정이 가능합니다.
- 전통적인 KDE보다 더 신뢰할 수 있는 예측이 가능하지만, 계산이 복잡합니다.
 
4. 활동중심법(Center of Activity Method)
- 동물의 활동 중심을 기반으로 행동권을 추정합니다.
- 핵심 활동 영역 파악에 유용하지만, 주변부 이용 패턴을 과소평가할 수 있습니다.
 
5. 비모수적 방법(Nonparametric Method)
- 데이터 자체의 분포를 이용하여 복잡한 행동권 형태도 표현할 수 있습니다.
- 유연하지만 대규모 데이터셋에서는 계산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결론
 
야생동물의 행동권 분석은 생태학 연구와 보전 관리에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각 방법은 고유한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연구 목적과 대상 종의 특성, 가용한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최근에는 자기상관을 고려한 AKDE와 같은 고급 기법이 주목받고 있으며, 이를 통해 더욱 정확한 행동권 추정이 가능해지고 있습니다. 향후 기술의 발전과 함께 더욱 정교한 행동권 분석 방법이 개발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13. 환경영향평가 자연환경자산 조사항목

서론
환경영향평가에서 자연환경자산 조사는 개발 사업이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자연환경자산은 생태적, 경관적, 학술적 가치가 높은 자연환경 요소를 의미하며, 이를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평가하는 것은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본론
자연환경자산 조사항목은 크게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법정보호종 및 멸종위기종
-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 문화재청 지정 천연기념물
- IUCN 적색목록 등재종
 
2. 생태계 보호지역
- 국립공원, 도립공원, 군립공원
- 생태·경관보전지역
- 습지보호지역
- 야생생물 보호구역
 
3. 특이 지형 및 지질
- 지질공원
- 동굴, 폭포, 계곡 등 특이 지형
- 화석 산지, 지질 노두 등
 
4. 생물다양성 핵심지역
- 생태축(생태 네트워크)
- 주요 서식지 및 번식지
- 이동성 생물의 주요 경로
 
5. 경관적 가치가 높은 지역
- 우수 자연경관지
- 조망점 및 조망권
 
조사 방법으로는 문헌조사와 현지조사를 병행합니다. 문헌조사를 통해 기존에 알려진 자연환경자산 정보를 수집하고, 현지조사를 통해 실제 현황을 파악합니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사업 시행이 자연환경자산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 필요한 보전 방안을 수립합니다.
 
결론
자연환경자산 조사는 환경영향평가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개발 사업이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생태적 가치를 보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체계적이고 정확한 조사를 통해 자연환경자산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보전 대책을 수립함으로써 지속가능한 개발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향후 기술의 발전과 함께 더욱 정밀하고 효율적인 조사 방법이 개발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쿠팡이 추천하는 자연환경관리 공부 관련 혜택과 특가

쿠팡이 추천하는 자연환경관리 공부 특가를 만나보세요. 로켓와우 회원은 다양한 할인과 무료 배송 및 반품 혜택도 누릴 수 있어요.

www.coupang.com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25점)

1. 유해야생동물의 종류를 제시하고, 멧돼지와 고라니의 생태적·생리적 특징과 퇴치 및 관리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서론
유해야생동물은 인간의 생명이나 재산에 피해를 주는 야생동물로, 농작물 피해와 생태계 균형 파괴 등의 문제를 일으킵니다. 이 글에서는 유해야생동물의 종류를 살펴보고, 특히 멧돼지와 고라니의 생태적·생리적 특징 및 이들의 퇴치와 관리 방안에 대해 논의하겠습니다.
 
본론
 
유해야생동물의 종류:
1. 포유류: 멧돼지, 고라니, 청설모, 두더지, 쥐류
2. 조류: 참새, 까치, 어치, 직박구리, 까마귀, 갈까마귀, 떼까마귀, 꿩, 멧비둘기, 집비둘기
3. 기타: 인가 주변에 출현하여 위험을 주는 맹수류
 
멧돼지와 고라니의 생태적·생리적 특징:
 
1. 멧돼지
- 생태적 특징: 깊은 산과 숲에 서식, 주로 야행성, 잡식성
- 생리적 특징: 몸길이 1~1.8m, 11월~1월 교미, 4개월 임신, 3~8마리 출산
 
2. 고라니
- 생태적 특징: 들 근처 나지막한 산, 강기슭에 서식, 새벽과 해질녘 활동, 초식성
- 생리적 특징: 몸길이 77.5cm~1m, 겨울 번식기, 170~210일 임신, 2~5마리 출산
 
퇴치 및 관리방안:
 
1. 물리적 방법: 철망, 전기울타리 설치
2. 음향 기반 퇴치: 초음파 퇴치기, 특정 소음 발생기
3. 후각 기반 퇴치: 계피, 박하향 등 특정 냄새 사용
4. 생태적 관리: 서식지 보호 및 복원, 생태 통로 설치
5. 제도적 관리: 포획 허가 제도, 농작물 피해 보상 제도
6. 교육 및 인식 개선: 인식 개선 프로그램, 농민 대상 피해 예방 교육
 
결론
멧돼지와 고라니로 인한 농작물 피해는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합니다. 이들 유해야생동물의 생태적·생리적 특성을 이해하고, 다양한 퇴치 및 관리 방안을 종합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리적 방법, 음향 및 후각 기반 퇴치, 생태적 관리, 제도적 관리, 교육 및 인식 개선 등을 통합적으로 실시하여 인간과 야생동물의 공존을 모색해야 합니다. 장기적으로는 생태계 균형을 고려한 지속가능한 관리 전략 수립이 필요할 것입니다.

 

2. 국토환경성평가지도 구축의 의미와 활용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서론:
국토환경성평가지도는 국토의 환경적 가치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등급화한 지도로, 지속가능한 국토 관리와 친환경적 토지이용을 위해 환경부에서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 지도는 국토의 효율적인 보전과 환경친화적인 이용을 유도하기 위한 중요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본론:
 
국토환경성평가지도의 의미
 
1. 환경가치의 종합적 평가
- 국토의 다양한 환경정보를 종합적으로 평가
- 환경적 가치에 따라 전국을 5개 등급으로 구분
 
2. 과학적 근거 제공
- 환경정책 수립 및 의사결정을 위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근거 제공
- 국토-환경계획 통합관리 지원
 
3. 공간환경정보의 시각화
- 환경정보를 공간정보로 제공하여 이해도 증진
- 토지이용 및 환경계획 수립 시 활용 용이
 
활용방안
 
1. 도시계획 수립
- 광역도시계획, 도시기본계획, 도시관리계획의 토지이용계획 및 공원녹지계획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
- 1, 2등급지는 보전용지나 공원녹지로 우선 지정
 
2. 환경영향평가
- 개발사업의 입지 적절성 평가
- 환경영향평가 시 객관적 정보 제공
 
3. 개발사업 계획
- 택지개발, 산업단지, 관광지 등 개발사업 계획 시 활용
- 등급에 따른 개발 가이드라인 제시
 
4. 지자체 환경계획 수립 지원
- 공간기반 환경계획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
- 지역 특성을 반영한 환경관리 방안 수립
 
5. 환경입지컨설팅
- 개발사업 초기 단계에서 환경성 검토
- 환경 훼손 최소화 및 친환경적 개발 유도
 
결론:
국토환경성평가지도는 국토의 환경적 가치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시각화한 중요한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보전가치가 높은 지역을 보호하고 개발이 필요한 지역에서는 친환경적 개발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국토환경성평가지도의 정밀도 개선과 활용성 확대를 통해 더욱 효과적인 국토-환경 통합관리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지속적인 갱신과 사용자 교육을 통해 이 지도의 활용도를 높이고,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국토 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3.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의 용도지역 중 도시지역의 세부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도시지역은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세분됩니다:
 
1. 주거지역:
- 전용주거지역: 양호한 주거환경 보호를 위한 지역
- 제1종 전용주거지역: 단독주택 중심
- 제2종 전용주거지역: 공동주택 중심
- 일반주거지역: 편리한 주거환경 조성을 위한 지역
- 제1종 일반주거지역: 저층주택 중심
- 제2종 일반주거지역: 중층주택 중심
- 제3종 일반주거지역: 중·고층주택 중심
- 준주거지역: 주거 기능 위주로 일부 상업 및 업무 기능을 보완하는 지역
 
2. 상업지역:
- 중심상업지역: 도심, 부도심의 상업 및 업무 기능 확충을 위한 지역
- 일반상업지역: 일반적인 상업 및 업무 기능을 담당하는 지역
- 근린상업지역: 근린지역의 일용품 및 서비스 공급을 위한 지역
- 유통상업지역: 도시 내 및 지역 간 유통 기능 증진을 위한 지역
 
3. 공업지역:
- 전용공업지역: 주로 중화학공업, 공해성 공업 등을 수용하기 위한 지역
- 일반공업지역: 환경을 저해하지 않는 공업의 배치를 위한 지역
- 준공업지역: 경공업 및 그 외 공업을 수행하되, 주거, 상업, 업무 기능의 보완이 필요한 지역
 
4. 녹지지역:
- 보전녹지지역: 도시의 자연환경, 경관, 산림, 녹지공간 보전이 필요한 지역
- 생산녹지지역: 주로 농업적 생산을 위해 개발을 유보할 필요가 있는 지역
- 자연녹지지역: 도시 녹지공간 확보, 도시 확산 방지, 장래 도시용지 공급 등을 위해 보전이 필요하나 제한적 개발이 허용되는 지역
 
이러한 세분화는 토지의 효율적 이용과 도시의 기능 증진을 위해 이루어지며, 각 지역별로 건축물의 용도, 건폐율, 용적률, 높이 등에 대한 규제가 다르게 적용됩니다.
 

 

4. 토지적성평가의 수행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토지적성평가의 수행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평가지표 선정
- 지역 특성에 맞는 개발적성지표와 보전적성지표를 선정합니다.
 
2. 지표별 평가기준 설정
- 선정된 평가지표별로 지역 상황에 따라 평가기준을 조정 및 확정합니다.
 
3. 지표별 평가점수 산정
- 필지별 또는 격자별 특성값을 평가기준에 따른 점수값으로 환산합니다.
 
4. 특성별 적성값 산정
- 개발, 보전, 농업의 3개 특성별로 평가지표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적성값을 산출합니다.
 
5. 종합적성값 산정
- 특성별 적성값을 종합하여 전체적인 적성값을 계산합니다.
 
6. 표준화값 산정
- 종합적성값을 표준화하여 비교 가능한 형태로 변환합니다.
 
7. 별도 분류 결과 활용
- 우선보전 대상지역 등 별도로 분류된 지역의 결과를 반영합니다.
 
8. 등급 구분 및 결과 도출
- 표준화된 값을 바탕으로 최종적인 토지적성 등급을 구분하고 결과를 도출합니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토지의 환경적, 물리적, 공간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발 가능한 토지와 보전이 필요한 토지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분류합니다.

 

5. 포유류 현지 조사방법과 주요 포유류 3종(삵, 수달, 하늘다람쥐)의 서식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포유류 현지 조사방법:
 
1. 직접 관찰: 주간에 도보나 차량으로 이동하며 목격된 종을 기록합니다.
 
2. 야간 조사: 서치라이트를 이용하여 야간에 조사를 실시합니다.
 
3. 흔적 조사: 배설물, 족흔, 식흔, 휴식흔적 등의 흔적을 통해 동물을 확인합니다.
 
4. 탐문 조사: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서식 동물에 대한 청문 조사를 실시합니다.
 
주요 포유류 3종의 서식 특성:
 
1. 삵 (Prionailurus bengalensis)
- 서식지: 산림, 계곡, 연안, 관목 지역
- 먹이: 주로 설치류, 조류, 곤충 등
- 번식: 2-3월 교미, 60일 임신 기간, 2-3마리 출산
- 특징: 야행성, 전국적 분포(제주도 제외)
 
2. 수달 (Lutra lutra)
- 서식지: 강둑, 바위 밑의 굴
- 먹이: 주로 어류, 양서류, 갑각류
- 번식: 1-2월 번식기, 63-70일 임신 기간, 2-4마리 출산
- 특징: 수생 환경에 적응, 새끼는 50일 후 물속 활동 시작
 
3. 하늘다람쥐 (Pteromys volans)
- 서식지: 상수리나무와 잣나무 혼효림, 침엽수림
- 먹이: 나무 열매, 어린 싹, 나뭇가지 등 식물성 먹이
- 번식: 2-3월, 6-7월 연 2회 번식, 임신기간 28일, 3-6마리 출산
- 특징: 야행성, 나무 사이 활공 능력, 고사목이나 나무구멍에 서식
 
이들 종은 각각 독특한 서식 환경과 생태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해당 종의 보전을 위해서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보호 전략이 필요합니다.
 

 

6. 『물환경보전법』에 따른 하천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목적, 평가 체계, 조사항목, 평가 지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물환경보전법』에 따른 하천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집니다:
 
□ 목적
 
전국 하천의 수생태계 건강성 실태 및 중장기적 변화추이를 파악하고 주요 환경정책의 효과분석 및 정책수립에 활용하는 것입니다.
 
□ 평가 체계
 
- 조사지점: 전국 주요 하천의 3,035개 지점
- 조사주기: 일반지점(2,814개)은 3년, 상시지점(221개)은 매년 조사
- 수행기관: 국립환경과학원
 
□ 조사항목
 
1. 부착돌말류
2.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3. 어류
4. 수변식생
5. 서식 및 수변환경
 
부착돌말, 저서동물, 어류는 연 2회(봄, 가을), 수변식생과 서식 및 수변환경은 연 1회(봄~가을) 조사합니다.
 
□ 평가 지수
 
1. 부착돌말지수(TDI): 부착조류의 상대밀도, 오염민감도 등을 평가
2. 저서동물지수(BMI): 저서동물 출현개체수, 오탁도 내성치 등을 평가
3. 어류생물지수(FAI): 국내종의 종수 및 개체수, 영양단계 구조 등을 평가
4. 수변식생지수(RVI): 수변식생 종수, 외래종 우점면적비율 등을 평가
5. 서식수변환경지수(HRI): 저질상태, 횡구조물, 하천변폭 등을 평가
 
각 지수는 매우좋음(A), 좋음(B), 보통(C), 나쁨(D), 매우나쁨(E)의 5등급으로 평가됩니다.
 
이러한 평가 체계를 통해 하천의 수생태계 건강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천 관리 정책을 수립하고 개선해 나가고 있습니다.
 

 

 

 

 

쿠팡이 추천하는 금방 이해하는 자연환경관리 관련 혜택과 특가

쿠팡이 추천하는 금방 이해하는 자연환경관리 특가를 만나보세요. 로켓와우 회원은 다양한 할인과 무료 배송 및 반품 혜택도 누릴 수 있어요.

www.coupang.com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25점)

1.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의 LULUCF 토지이용 카테고리 분류와 토지이용별 탄소흡수량 산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서론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는 토지 이용, 토지 이용 변화 및 산림(LULUCF)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과 흡수량을 일관되고 정확하게 산정하기 위해 토지이용 카테고리를 분류하고 각 카테고리별 탄소흡수량 산정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국가별 온실가스 인벤토리의 정확성과 비교가능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본론
 
□ LULUCF 토지이용 카테고리 분류
 
IPCC는 LULUCF 부문을 다음 6개의 광범위한 토지이용 카테고리로 분류합니다:
 
1. 산림지(Forest Land)
2. 농경지(Cropland)
3. 초지(Grassland)
4. 습지(Wetlands)
5. 정주지(Settlements)
6. 기타 토지(Other Land)
 
이 카테고리들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모든 토지 면적을 분류할 수 있을 만큼 포괄적이며, 국가별 분류 시스템의 차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토지이용별 탄소흡수량 산정 방법
 
IPCC는 각 토지이용 카테고리별로 다음과 같은 탄소 저장고의 변화를 고려하여 탄소흡수량을 산정하도록 권고합니다:
 
1. 지상부 생물량
2. 지하부 생물량
3. 고사유기물(낙엽층)
4. 고사목
5. 토양 유기탄소
 
탄소흡수량 산정의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대기 중 CO2 유출입은 기존 생물량과 토양의 탄소 저장량 변화와 동일하다고 가정합니다.
2. 탄소 저장량 변화는 토지 이용 변화율과 그 변화를 가져오는 관행을 먼저 파악하여 추정합니다.
 
IPCC는 3단계(Tier) 접근법을 제시하여 국가별 상황에 맞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합니다:
 
- Tier 1: 기본 방법으로, IPCC가 제공하는 기본값 사용
- Tier 2: Tier 1과 동일한 접근법이지만 국가 고유의 배출계수와 활동자료 사용
- Tier 3: 고급 방법으로, 모델링과 인벤토리 측정 등 사용
 
각 국가는 자국의 데이터 가용성과 기술적 능력에 따라 적절한 Tier를 선택하여 탄소흡수량을 산정할 수 있습니다.
 
□ 결론
 
IPCC의 LULUCF 토지이용 카테고리 분류와 탄소흡수량 산정 방법은 국가별 온실가스 인벤토리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이를 통해 각국은 자국의 LULUCF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과 흡수량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 효과적인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표준화된 방법론은 국가 간 비교를 가능하게 하여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 대응 노력을 평가하고 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리질리언트 시티(Resilient City) 개념과 지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리질리언트 시티의 개념
 
리질리언트 시티는 만성적인 스트레스와 급성 충격에 대해 도시 시스템, 기업, 기관, 지역사회, 개인이 생존하고 적응하며 번영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이는 자연재해나 인위적 재난 등 다양한 위험에 대해 도시와 도시 공동체가 견디고 번영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합니다.
 
□ 리질리언트 시티의 주요 차원
 
리질리언트 시티는 다음 4가지 주요 차원으로 구성됩니다:
 
1. 건강과 웰빙
2. 경제와 사회
3. 인프라와 환경
4. 리더십과 전략
 
□ 리질리언트 시티의 12가지 목표
 
위 4가지 차원 아래에는 12가지 목표가 있습니다:
 
1. 최소한의 인간 취약성
2. 다양한 생계와 고용
3. 인간의 생명과 건강에 대한 적절한 보호
4. 집단적 정체성과 지역사회 지원
5. 포괄적인 보안과 법치
6. 지속가능한 경제
7. 자연 및 인공 자산의 노출과 취약성 감소
8. 중요 서비스의 연속성 보장
9. 신뢰할 수 있는 통신과 이동성
10. 효과적인 리더십과 관리
11. 이해관계자의 권한 부여
12. 통합된 개발 계획
 
□ 리질리언트 시티 지표
 
도시 회복력을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지표 시스템이 개발되었습니다:
 
1. City Resilience Index (CRI)
2. UN-Habitat의 City Resilience Profiling Tool (CRPT)
3. Economist Impact의 Resilient Cities Index
 
이러한 지표 시스템들은 도시가 자신의 회복력 수준을 평가하고, 취약점을 식별하며, 개선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각 지표 시스템은 도시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종합적인 평가를 제공합니다.
 

 

3. 맹꽁이의 생태특성과 대체서식지 조성에 따른 이주계획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맹꽁이의 생태특성과 대체서식지 조성에 따른 이주계획서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 맹꽁이의 생태특성
 
1. 서식환경: 맹꽁이는 일시적으로 물이 고이는 습지에서 산란합니다.
 
2. 활동 시기: 3~4월경 겨울잠에서 깨어나 활동을 시작하며, 5월 말부터 7월 초 사이에 짝짓기 행동을 보입니다.
 
3. 번식: 주로 장마철 전후에 짝짓기와 산란이 이루어지며, 8월까지 지속됩니다.
 
4. 서식지 선호 조건:
- 산란지 고도: 400m 이하
- 은신처 흙깊이: 20cm 이상
- 물깊이: 10~50cm
- 수질 pH: 5.8~7.5
 
5. 먹이: 개미, 모기, 거미, 지렁이 등 작은 곤충류를 주로 섭취합니다.
 
□ 대체서식지 조성 및 이주계획서
 
1. 서식지 구성요소: 집단산란지, 활동지, 동면지, 이동경로를 포함해야 합니다.
 
2. 면적: 훼손된 서식지 면적의 1.5배 이상(완충지역 포함)을 확보해야 합니다.
 
3. 구조: 2개 이상의 저습지를 인접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4. 적합성 평가: 서식처 적합성지수(HSI)를 활용하여 맹꽁이의 생태활동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합니다.
 
5. 이주 시기: 맹꽁이가 동면에서 깨어나는 시기(주로 6월경)에 맞춰 이주를 진행합니다.
 
6. 전문가 자문: 관련 전문가의 현장 확인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7. 모니터링: 이주 후 체계적인 사후 관리와 모니터링을 통해 서식처를 안정적으로 운영합니다.
 
8. 보고서 제출: 이주 완료 후 정해진 기한 내에 이주완료 보고서를 관련 기관에 제출합니다.
 
이주계획서 작성 시 위의 요소들을 고려하여 맹꽁이의 생태적 특성에 맞는 대체서식지를 선정하고, 안전한 이주 방법과 시기를 명시해야 합니다. 또한, 이주 후 모니터링 계획을 포함하여 맹꽁이 개체군의 안정적인 정착을 보장해야 합니다.

 

4. 『도시생태현황지도의 작성방법에 관한 지침』에 따른 도시생태현황지도(BiotopeMap) 주요 작성 과정 및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도시생태현황지도의 작성방법에 관한 지침』에 따른 도시생태현황지도(Biotope Map) 주요 작성 과정 및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획 단계
- 지자체의 특성에 맞는 작성 및 활용 방향 설정
- 작성 범위, 일정, 예산 등 계획 수립
 
2. 기초자료 수집
- 항공사진, 수치지형도, 토지이용현황도 등 기본도 확보
- 기존 환경 관련 자료 수집
 
3. 비오톱경계구획도 작성
- 수집된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비오톱의 경계를 구획
- GIS를 활용한 공간정보지도 작성
 
4. 비오톱 현장조사 및 수정
- 구획된 비오톱에 대한 현장조사 실시
- 필요시 비오톱 경계 수정
 
5. 비오톱 유형기준 설정 및 유형화
- 조사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비오톱 유형 설정
- 설정된 기준에 따라 비오톱 분류
 
6. 비오톱 평가기준 설정과 평가
- 비오톱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 설정
- 설정된 기준에 따라 비오톱 평가 실시
 
7. 운영 및 활용계획 수립
- 완성된 도시생태현황지도의 운영 방안 계획
- 도시계획 및 환경관리 등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 수립
 
8. 검토위원회 운영
- 작성 과정 전반에 걸쳐 검토위원회 구성
- 공정성과 정확성 확보를 위한 검토 실시
 
9. 성과품 제출 및 검수
- 완성된 도시생태현황지도를 지자체에 제출
- 지자체의 검수 후 환경부에 최종 제출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시의 생태적 특성과 가치를 반영한 정밀 공간 생태정보지도가 작성되며, 이는 도시계획 및 환경관리의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5. 『도시생태축 복원사업 가이드라인(2023년 7월)』 주요 개정 내용과 사업 우선 순위, 평가항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도시생태축 복원사업 가이드라인(2023년 7월)』의 주요 개정 내용과 사업 우선 순위, 평가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요 개정 내용
 
1. 신규사업 사전심사 강화
- 현장평가 의무화를 통해 대상지와 주변 생태축 연결성, 부지확보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
 
2. 사후관리 강화
- 유지관리 기간을 3년에서 5년으로 확대
- 사업 전후 효과성 검증 강화
 
3. 신속한 사업추진 유도
- 행정절차 정보 공유
- 사전준비와 추진의지가 높은 지자체 선정을 위해 평가배점 조정
 
4. 생물다양성 증진 강화
- '10-20-30 원칙' 적용: 동일 종 10% 이하, 동일 속 20% 이하, 같은 과 30% 이하 식재
- 자생종 우선 식재
- 곤충 유입을 위한 먹이식물 식재 및 다층식재 고려
 
5. 인위적 시설 설치 최소화
-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내 인위적 시설물 면적 비율을 10%에서 5% 이하로 축소
 
□ 사업 우선 순위
 
1. 정책과의 부합성
- 정부 정책방향, 시·도 환경계획 등 상위·관련계획과의 부합도
- 광역·기초 지방자치단체의 생태축 구축 및 실천계획 수립 여부
 
2. 입지여건
- 생태적 여건이 미흡하여 개선이 시급한 훼손·방치된 지역
- 도시생태계 개선과 생태계서비스 증진 효과가 큰 지역
 
□ 평가항목
 
1. 사전준비 및 추진의지
2. 모니터링 계획의 구체성
3. 도시기본계획-공원녹지기본계획-환경계획 연동성
4. 대상지와 주변 생태축 연결성
5. 부지확보 여부
 
이러한 개정을 통해 도시생태복원사업의 내실화와 효율성을 강화하고, 생물다양성 증진 및 도시 생태계 연결성 향상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6. 멸종에 취약한 종의 특징을 제시하고, 종과 개체군에 대한 멸종위협요인을 결정적 요인(인위적 요인)과 확률적 요인(자연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멸종에 취약한 종의 특징과 멸종위협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멸종에 취약한 종의 특징
 
1. 작은 개체군 크기
2. 감소하는 개체군
3. 제한된 분포 범위
4. 큰 체구를 가진 동물 종
5. 넓은 서식지를 필요로 하는 종
6. 이동 능력이 낮은 종
7. 계절적 이동을 하는 종
8. 낮은 유전적 다양성을 가진 종
9. 안정적인 생태계에서 진화한 종
10. 특수한 요구사항을 가진 종
11. 군집 생활을 하는 종
 
□ 멸종위협요인
 
□ 결정적 요인 (인위적 요인)
 
1. 서식지 파괴 및 단편화
2. 과도한 포획 및 채취
3. 외래종 도입
4. 환경오염
5. 기후변화
6. 도시화 및 농업의 확대
7. 불법 야생동물 거래
 
□ 확률적 요인 (자연적 요인)
 
1. 인구학적 변동성: 성비 불균형, 출생률/사망률의 무작위적 변화
2. 환경적 변동성: 자연재해, 기후 변동
3. 유전적 변동성: 근친교배로 인한 유전적 다양성 감소
4. 자연적 질병 발생
5. 개체군 크기의 자연적 변동
 
이러한 요인들은 종과 개체군의 생존에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멸종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인위적 요인은 주로 인간 활동에 의해 직접적으로 발생하는 반면, 자연적 요인은 작은 개체군에서 더 큰 영향을 미치며 종의 장기적 생존에 위협이 됩니다.

 

 

 

 

쿠팡이 추천하는 너무나 쉬운 자연환경관리 관련 혜택과 특가

쿠팡이 추천하는 너무나 쉬운 자연환경관리 특가를 만나보세요. 로켓와우 회원은 다양한 할인과 무료 배송 및 반품 혜택도 누릴 수 있어요.

www.coupang.com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25점)

1. InVEST Carbon 모형을 활용한 탄소저장량 추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InVEST Carbon 모형을 활용한 탄소저장량 추정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입력 데이터 준비
- 토지이용/토지피복(LULC) 지도
- 탄소 저장고(carbon pools) 데이터 테이블
 
2. 탄소 저장고 구분
- 지상부 바이오매스
- 지하부 바이오매스
- 토양 유기탄소
- 고사 유기물
 
3. 계산 방법
- 각 LULC 유형별로 4개 탄소 저장고의 탄소 밀도를 합산
- 합산된 탄소 밀도를 LULC 지도에 적용하여 전체 탄소저장량 산출
 
4. 모델 실행
- InVEST 소프트웨어의 Carbon Storage and Sequestration 모듈 사용
- 작업 공간, LULC 지도, 탄소 저장고 테이블 지정 후 실행
 
5. 결과 해석
- 총 탄소저장량 지도 생성 (단위: Mg/픽셀)
- 구역 통계를 통해 전체 지역의 총 탄소저장량 및 평균 탄소저장량 계산
 
이 방법은 간단하고 데이터 요구사항이 적어 데이터가 부족한 지역에서도 적용 가능합니다. 그러나 시간에 따른 변화나 배출량은 고려하지 않는 정적인 모델이라는 한계가 있습니다.
 

 

2. 생태복원을 위한 구조 안정성과 기반 조성, 식생 및 서식처 복원, 모니터링 및 평가과정별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생태복원을 위한 주요 과정별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구조 안정성과 기반 조성
 
1. 현장 조사를 통해 지형, 토양, 수문 등 기존 환경 조건을 파악합니다.
 
2. 복원 목표에 맞는 지형 조성 및 토양 개량 작업을 실시합니다.
 
3. 침식 방지와 구조적 안정성을 위한 조치를 취합니다(예: 사면 안정화, 배수로 설치 등).
 
4. 토양 피복 두께는 식물 생장에 적합하도록 최소 50cm 이상 확보합니다.
 
□ 식생 및 서식처 복원
 
1. 해당 지역의 자생종과 목표 생태계에 적합한 식물종을 선정합니다.
 
2. 다양성 확보를 위해 '10-20-30 원칙'을 적용합니다(동일 종 10% 이하, 동일 속 20% 이하, 같은 과 30% 이하).
 
3. 식재 방법은 현장 여건에 따라 직접 파종, 묘목 식재 등을 선택합니다.
 
4. 목표 동물종의 서식 요구조건을 고려하여 먹이식물, 은신처 등을 조성합니다.
 
5. 생태적 연결성을 고려하여 주변 생태계와의 연계를 강화합니다.
 
□ 모니터링 및 평가
 
1. 복원 목표와 연계된 명확한 모니터링 계획을 수립합니다.
 
2. 이행 모니터링과 효과성 모니터링을 구분하여 실시합니다.
 
3. 식생 피복도, 종다양성, 토양 특성 등 핵심 지표를 선정하여 주기적으로 측정합니다.
 
4. 복원 전후 비교를 위해 기준 데이터(baseline data)를 확보합니다.
 
5.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적응적 관리 방안을 수립하고 실행합니다.
 
6.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생태계의 자생력과 지속가능성을 평가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태적으로 안정되고 지속가능한 복원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3. 생태자연도의 등급 수정 및 보완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생태자연도의 등급 수정 및 보완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신청 및 접수
- 이의가 있는 자가 국립생태원장에게 수정·보완을 요청합니다.
- 신청서류에는 지역 개요, 수정·보완 목적 및 사유, 자연환경 조사결과, 기타 입증 자료가 포함됩니다.
 
2. 서류 검토 및 현지조사
- 국립생태원이 신청서류를 검토합니다.
- 분야별 외부전문가와 함께 90일 이내에 현지조사를 실시합니다.
 
3. 조사결과 보고
- 현지조사 결과를 정리하고 취합합니다.
- 열람도면을 작성하고 환경부에 결과를 보고합니다.
 
4. 국민열람 공고
- 생태·자연도 등급 수정·보완(안)을 14일간 국립생태원 홈페이지에 공고합니다.
 
5. 고시 요청
- 국립생태원이 환경부에 생태·자연도 등급 수정·보완 고시를 요청합니다.
 
6. 관보 게재 및 통보
- 환경부가 30일 이내에 관보에 게재하고 유관기관에 통보합니다.
 
이 절차를 통해 생태자연도의 등급이 수정 및 보완되며, 이는 자연환경의 변화를 반영하고 정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환경생태학 - 생명과학 | 쿠팡

쿠팡에서 환경생태학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생명과학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4. 생태모델숲의 개념과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생태모델숲(eco-model forests)의 개념과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개념
 
생태모델숲은 자연림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자연림과 유사하게 조성된 숲을 의미합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포트에 의해 양묘된 개체를 식재에 사용합니다.
2. 교목류, 아교목류, 관목류를 동시에 구성하여 밀도를 높입니다.
3. 식재 후 자연발달을 유도하여 약 10년 후 안정된 숲으로 발달합니다.
4. 자생종으로 구성되어 지역의 생태적 특성을 반영합니다.
 
□ 기능
 
생태모델숲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1. 생물서식공간 제공: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지 역할을 합니다.
2. 미기후 조절 및 대기정화: 주변 환경의 기후를 조절하고 공기를 정화합니다.
3. 방음 기능: 소음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4. 지구온난화 예방: 탄소 흡수를 통해 기후변화 완화에 기여합니다.
5. 어메니티 향상: 도시 경관을 개선하고 삶의 질을 높입니다.
6. 생태환경 교육: 도시민들에게 자연 관찰 및 학습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생태모델숲은 저비용으로 단기간에 자연림과 유사한 숲을 복원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넓은 면적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이는 도시 생태계 개선과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접근법입니다.
 

 

5. 대체서식지 조성, 관리를 위한 기본원칙 및 유지관리 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대체서식지 조성, 관리를 위한 기본원칙과 유지관리 시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본원칙
 
1. 생물종의 서식환경에 맞는 적절한 대체서식지 조성
2. 생물종의 서식요건 유지 및 보전
3. 인간 활동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생물종의 서식지 보호
4.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조사를 통한 대체서식지의 유지 및 개선
5. 과학적인 접근을 통한 생물종 서식환경 조성 및 생태계 조사
6. 점진적 접근과 사후모니터링을 통한 평가 및 유지관리
7. 해당지역 및 주변지역의 생태적 구조와 기능 고려
 
□ 유지관리 시 고려사항
 
1. 현황 및 서식지 분석을 통한 지역특성 고려
2. 목표종의 생태특성을 고려한 관리
3. 장기적 결과를 위한 관리 방향 설정
4. 지역주민 참여 유도
5. 구조물 및 시설물 관리
6. 서식지 및 식생 관리
7. 이용자 관리
8. 주변지역 관리
9. 보호지역 지정 고려
 
이러한 원칙과 고려사항을 바탕으로 대체서식지를 조성하고 관리함으로써, 생태계의 안정성과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환경영향평가사 2: 기출문제 및 풀이:1차 필기시험 1회∼14회 수록 - 환경 기능사 | 쿠팡

쿠팡에서 환경영향평가사 2: 기출문제 및 풀이:1차 필기시험 1회∼14회 수록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환경 기능사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6. 『제4차 습지보전기본계획(2023∼2027)』에 제시된 습지보전정책 전략별 추진과제를 설명하시오.

제4차 습지보전기본계획(2023∼2027)은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지속가능한 습지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4개의 주요 전략과 12개의 추진과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각 전략별 주요 추진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과학 기반의 습지조사 및 평가
 
- 습지의 생태계서비스 가치와 탄소흡수 가치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조사 및 연구 확대
- 첨단 과학기술을 활용한 습지조사의 정밀성과 효율성 향상
- 시민 참여를 통한 습지 생물종 관측 확대
- 내륙습지 면적의 국가 공식통계 인정 추진
 
 2. 습지의 실효적 보전·관리
 
- 습지보호지역 지속적 확대 및 관리 강화
- 내륙습지와 연안습지 보호지역 확대 목표 설정
- 내륙·연안습지 복원을 통한 탄소흡수원 확대
- 자연기반해법(NbS)을 활용한 인공습지 조성
 
 3. 습지의 현명한 이용 활성화
 
- 습지정책에 대한 국민 인식 증진 및 정책 수용성 향상을 위한 홍보 강화
- 습지 정보 접근성 향상을 위한 통합 플랫폼 구축
- 초중고 교육과정에 습지교육 도입 추진
- 람사르 습지 도시 인증지역 확대 및 지역 경제 기여 방안 모색
 
 4. 습지 관리의 협력기반 강화
 
- 보호지역별 보전관리위원회 운영 확대
- 지역 기반의 습지 소통 창구 강화
- 람사르협약 사무국 및 개도국 지원을 위한 협력 사업 추진
- 람사르 습지 등록 지속 확대
- 비식생 갯벌의 탄소흡수원 국제 인증을 위한 국제기구와의 협력 강화
 
이 계획은 기존의 생물다양성 보전 중심에서 나아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습지의 생태계서비스 가치와 탄소흡수원으로서의 가치 증진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21세기 자연환경관리기술사 - 자연환경 | 쿠팡

쿠팡에서 21세기 자연환경관리기술사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자연환경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쿠팡이 추천하는 3개월만에 합격하는 자연환경관리 관련 혜택과 특가

쿠팡이 추천하는 3개월만에 합격하는 자연환경관리 특가를 만나보세요. 로켓와우 회원은 다양한 할인과 무료 배송 및 반품 혜택도 누릴 수 있어요.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