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2025/02 101

제127회 기상예보기술사 기출문제

※ 다음 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10점)1. 분석일기도에서 1000hPa 고도와 500hPa 고도 사이의 층두께를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시오.2. 기상법에 따라 예보행위를 할 수 있는 주체를 설명하시오.3. 우리나라 기상특보 종류 중 8가지를 쓰시오.4. 대기운동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 여러 가지 무차원수가 있다. 그 중 로스비 수(Rossby Number)의 정의를 쓰고 그 물리적 의미를 설명하시오.5. (x, y, z) 직각좌표계에서 절대 소용돌이도를 예측하려 한다. 종관 규모 운동에서 절대소용돌이도 시간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힘 세 가지를 쓰시오.6. 동풍이 불 때 태백산맥 풍상측 비가 많이 내려도 풍하측에서는 비가 안 오는 경우가있다. 이러한 현상의 명칭을 쓰고 그 발생 원인을..

제124회 기상예보기술사 기출문제

※ 다음 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10점)1. 대류온도(Convective Temperature, Tc)를 정의하고, 단열선도상에서 대류온도를지상부터 연직으로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시오.2. 수은기압계로 관측된 현지기압을 해면경정하여 해면기압으로 이용하기 전 어떤보정 절차가 필요한지 설명하시오.3. 카오스(Chaos) 현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4. 기후변화를 유발하는 자연적 원인과 인위적 원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5. 구름이 형성되기 위하여 공기를 상승시키는 원인을 설명하시오.6. 온도풍 방정식은 아주 유용한 진단 수단으로 관측된 바람과 온도장의 분석이 일치하는지검사하는데 종종 사용된다. 그리고 수평 온도 이류를 추정하기 위해 온도풍 방정식을사용할 수 있다. 북반구에서 고도에 따른 바람..

제121회 기상예보기술사 기출문제

※ 다음 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10점)1. 다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가) 대기안정도(static stability)와 잠재소용돌이도(potential vorticity)의 관계(나) 400∼800hPa 기층에서 적운이 발달할 때, 800∼1000hPa 기층의 잠재소용돌이도 변화2. 500 hPa 기압골 주변에서 부는 바람의 풍속이 지균풍보다 약한(subgeostrophic) 이유3. 기단(air mass)의 정의 및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기단과 그 특성(3개)4. 일기예보 용어의 시제 표현 중 ‘새벽’과 ‘저녁’에 해당하는 시간대5. 기상청에서 발표하는 한파주의보 운용 시기와 발표기준6. 종관규모7. 다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가) 관측 증분(observation increme..

제118회 기상예보기술사 기출문제

※ 다음 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10점)1. 태양상수   를 구하시오. (단, 스테판-볼쯔만 상수   ×     이고,태양반경    ×  이며,태양과 지구간의 거리   ×  이며, 태양의 절대온도는   이다.)2. 태양상수가   일 때, 태양 고도각이 30°인 지점의 지구표면에서 관측되는 복사에너지의양을 구하시오. (단, 에너지의 대기 중 감쇠현상은 무시한다.)3. 변형장(안장부, 안장점, 중립점, col)에 대하여 설명하시오.4. T106 모델의 공간해상도(km)을 구하시오. (단, 지구 둘레는 40,000km로 정의한다.)5. 수치예보모델의 모수화(매개변수화, parameterization)에 대하여 ..

제115회 기상예보기술사 기출문제

※ 다음 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10점)1. 대기를 조성하고 있는 여러 성분 중 구성 비율이 높은 순으로 4가지 기체를 나열하고,지상에서 변화가 가장 큰 기체를 설명하시오.2. 잠재소용돌이도(Potential Vorticity) 보존 법칙을 설명하시오.3. 열대지역에서 서쪽으로 전파하는 대기 파동의 종류 2가지를 설명하시오.4. 우리나라 동해의 지상풍이 북풍일 때 에크만(Ekman) 수송에 의한 표층수의 진행 방향을설명하시오.5. 열역학선도에서 노점온도를 이용하여 최저기온을 예보하는 방법을 설명하시오.6. 구름이 흰색 또는 회색으로 보이는 이유를 설명하시오.7. 열역학선도에서 약한 뇌우와 강한 뇌우를 판별하는 연직의 기상 조건 2가지를 설명하시오.8. 건조한 지역과 습한 지역의 일교..

제112회 기상예보기술사 기출문제

※ 다음 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10점)1. 미세먼지가 많은 날 하늘이 뿌옇게 보이는 이유2. 종관 일기예보3. 수치예보4. 열역학 제1법칙의 의미5. 스톰 상승류의 회전잠재력을 나타내는 척도로 호도그래프에서 지상 1 km로부터3 km까지의 유입류 벡터(vector)로 둘러싸인 면적으로 정의되는 불안정지표6. 전향전 태풍의 북서진을 지향하는 효과7. 수치모델에서 사용하는 공간 이산화(離散化, discretization) (2가지 방법)8. 기상레이더 에코 중 밝은 띠(bright band) 에코가 나타나는 원인9. 수은기압계로 관측한 기압을 해면기압으로 환산할 때 필요한 보정의 종류와 보정원리10. 안개의 생성조건 (3가지)11. 다음 그림은 북반구에서 발달한 온난 저기압을 등압선과..

제109회 기상예보기술사 기출문제

※ 다음 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10점)1. 다음 기상 전문을 보고 아래의 질문에 답하시오.(1) 권계면 고도의 노점온도(2) TTAA에 3번째 줄의 77141, 26139, 43008에서 43008의 해석(3) 95.7 hPa 면의 기온(4) 925 hPa 면의 기온(5) 850 hPa 면의 노점온도  2. 지구온난화 예측을 불확실하게 하는 요인 3가지3. 대기의 에어로졸(aerosol) 정의 및 입자의 크기에 따른 수농도 분포의 도식화4. 지표대기층(Boundary layer)에서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잠열과 현열의 비5. 전선의 형성, 발달, 그리고 쇠약에 영향을 미치는 대기 흐름 중 가장 중요한 운동학적 양(kinematic quantity)6. 종관 규모 운동에 동반되는 수..

제127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기출문제 및 예상답안

2024 자연생태복원 기사 필기 - 기타 자격증 | 쿠팡쿠팡에서 2024 자연생태복원 기사 필기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기타 자격증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www.coupang.com   ※ 다음 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10점)1. 코리더(Corridor: 통로)의 유형과 기능코리더(Corridor)는 생태계의 연결성을 유지하고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코리더의 유형과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코리더의 유형  1. 선형 코리더- 도로, 철도, 하천변을 따라 설치된 통로- 식생대나 돌담 등을 이용하여 조성  2. 육교형 코리더- 도로 위를 횡단하는 육교 형태로 설치- 횡단부가 넓은 곳이나 절토 또는 장애물 등..

제122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기출문제 및 예상답안

※ 다음 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10점)1. 녹색전환(Green Transition)녹색전환(Green Transition)은 지속가능한 사회를 구축하기 위해 에너지, 산업, 경제 구조를 친환경적으로 전환하는 과정입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탄소중립 목표: 일본은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재생에너지 확대, 원자력 활용, 성장지향형 탄소 과금 도입 등 GX(Green Transformation)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녹색금융: 탈탄소화를 위해 재생에너지, 전기화, 그린수소 등 기술에 막대한 자본 투자가 필요하며, 개발도상국에서는 혼합금융과 국제적 협력이 중요합니다. • 산업 클러스터 대응: 미국과 EU는 녹색전환으로 인한 경제적 여파를 최소화하고, 친환경 기..

제121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기출문제 및 예상답안

※ 다음 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10점)1. 산경표(山經表)와 산경도(山經圖)산경표(山經表)와 산경도(山經圖)는 조선시대의 전통적인 지리 인식 체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산경표(山經表):1. 18세기에 찬표된 우리 산의 족보로, 대간, 정맥, 기맥, 지맥상의 산과 고개 1600여 개를 수록하고 있습니다.2. 조선 영조 때의 실학자인 신경준이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며, 한반도 멧줄기의 발원지와 분포를 강물의 수계를 따져 가계도처럼 표시한 것이 특징입니다.3. 산줄기를 크기에 따라 대간-정맥(정간)-기맥-지맥 등으로 나누어 표현했습니다.  산경도(山經圖):1. 우리 조상들의 전통적인 지리관에 입각한 산줄기 중심의 지도를 말합니다.2. 1대간 1정간 13정맥과 수많은 지맥들을 포..

728x90
반응형
LIST